숄차,마운틴 빌드 기준이긴 합니다
기존 빌드에 마운틴1, 레더 10랩으로 바꾸고, 소스작열 > 레더겁화로 바꿔서 쓰는 빌드는
개인적인 별로 메리트를 못느껴서 저번에 다뤘던 숄차, 마운틴 빌드와의 딜비교만으로도 충분한 것 같아요
▶ 광기 딜비교와 추천 빌드
▶ 광기 로스트빌드를 통한 DPS비교
먼저 제가 생각하는 광기가 감당할만한 쿨타임은 빌드별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일격-뭉가
치명24 신속16 금주1 최적화2 일격2
치명24 신속16 금주2 최적화1 일격2
일격-뭉가는 무마를 안가니까 쿨타임을 많이 땡겨도 되긴하는데
사실 최적화2를 찍으면 금주를 1밖에 못찍어서
마나소모가 꺼려지시는 분은 금주2 최적화1이 나을듯 해요
(2) 무마-뭉가
치명30 신속10 예감2 최적화1 무마2
치명30 신속10 예감2 최적화0 무마2
일격으로 채우던 치적을 치명 특성과 예감으로 보충해야 해서
마나소모에 대한 견해에 따라 금주0 최적화1 or 금주1 최적화0 이렇게 나뉩니다
어떤 분은 팔찌나 치적 시너지로 인해, 예감을 줄이고 금주, 한돌, 최적화에 더 투자할 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무마-뭉가가 일격-뭉가보다 고점이 막 뛰어나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치적 팔찌나 치적시너지가 있을 때에 한정해서는 더 좋은 것 같아요)
(3) 무마-마용
치명24 신속16 금주2 최적화1 무마2
무마-마용은 이미 충분한 치적을 확보할 수 있어서
2티어 노드를 찍을 때 더 자유롭게 찍을 수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신속16, 최적화1, 무마2가 감당할 수 있는 쿨타임의 한계선으로 생각하고 있어요
DPS 상으로는 쿨타임을 최대한 챙기는게 무조건 더 높게 나옵니다
하지만 로아는 레이드 특성상, 보스의 패턴이나 기믹으로 인해
쿨타임이 DPS로 완벽하게 치환되는 경우는 절대로 없습니다
그래서 사실 본인이 레이드를 돌면서,
감당할 수 있을 만큼의 쿨타임과 기믹으로 인한 쿨누수가 이정도면 괜찮다고 생각하는 선까지만
쿨타임에 투자하고 나머지는 한방 데미지를 높여줄 수 있는 딜증 효과에 투자하는게 더 좋습니다
그래서 앞서 저는 신속16, 최적화1, 무마2가 감당할 수 있는 쿨타임의 한계선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실전에서는 최적화1을 한계돌파1로 바꿔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런 쿨타임과 관련된 선택들을 취향이라고 뭉뚱그려 표현했지만,
사실은 정답과 더 가까운 선택지가 있을겁니다
그런데 매 레이드마다 패턴과 기믹에 따른 쿨누수를 얼만큼 딜적으로 치환해서 계산해야할지,
플레이스타일마다 달라지는 쿨타임에 대한 딜증을 어떻게 치환할지
로그기록이 없는한 머릿속으로 예상해볼 수 밖에 없네요
그래서 '위와 같은 요소들을 고려해서 취향껏 쿨타임을 택하세요' 라고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뭔가 큰 방향 정도는 제시하는게 좋겠죠
생각보다 로아는 라이트하게 즐기시는 분이 훨씬 많아요
로아와에서 순위 검색해서 랭커분들 세팅 그대로 옮겨서 하시는 분들도 굉장히 많아요
유튜브에서 세팅 검색해서 사용하시는 분들도 많고요
광기의 전반적인 세팅과 사이클을 정리한 공략글을 작성하고 싶긴한데
이렇게 딥하고 방대한 내용을 담아야 하나 계속 고민이네요
어지럽기만 하고 뭔가 사용자의 취향에 맡겨야 해서 뉴비분들은 더 혼란스러울 것 같아요
진화노드만 해도 저렇게 선택지가 엄청 많이 갈리니까요
(팔찌 옵션, 치적 시너지 등도 고려하면 더 분화됩니다)
잠시 얘기가 옆으로 샜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오겠습니다
"그래서 도대체 숄차,마운틴 빌드는
일격-뭉가, 무마-뭉가, 무마-마용 중에 뭘 쓰라는건가요"
숄차, 마운틴 빌드를 처음에 연구할 때는 레더와 마운틴이 일격의 적용을 받으니
일격-뭉가 + 블슬이면 떨어진 치적 3.2%를 커버할 수 있고,
치적이 떨어진 만큼 일격의 치적증가가 효율이 더 높아져서
무마-마용 + 퓨메와도 차이가 별로 없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원래도 편차가 크지만 고점이 더 높은 뭉가, 편차가 적지만 고점은 뭉가보다 좀더 낮은 마용
이렇게 나뉘었는데 로스트빌드 만져보니까 일격을 통한 데미지 증가가 그리 크지 않네요
그래서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무마-마용 + 퓨메를 사용하는게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여전히 치적 잘 떠서 고점이 뜨면 뭉가가 더 데미지가 크게 뜨는건 맞습니다
전에는 뭉가가 50-120 / 마용이 70-80 의 딜 퍼포먼스를 낸다고 가정하면,
뭉가가 마용보다 더 낮은 딜 퍼포먼스를 보이는 경우보다,
마용을 상회하는 퍼포먼스를 보이는 확률이 더 높으니
MVP 집계와 관련해서 더 좋았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단순하게 생각하면, 뭉가가 마용의 퍼포먼스를 상회할 확률이
전보다 낮아졌기 때문에, 좀더 안정적인 딜 분포를 보이는 마용이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가끔씩 고점이 터져서 가족사진에 밑줄을 보는걸 더 우선시 하거나
한방한방 뜨는 딜이 더 높게 뜨는게 좋으시다면 뭉가를 추천합니다
<진화>
<깨달음>
<도약>
<보석 및 트포>
<룬>
위 세팅을 베이스로 입맛따라 조금씩 수정하시길 바랍니다
진화노드의 쿨타임과 마나소모와 관련된 선택지인
금주, 한돌, 최적화는
위에서 언급한 내용들을 고려해서 찍으시고
팔찌 옵션, 치적시너지를 고려해서 특성비를 맞추거나
뭉가를 쓸지 정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도약 1티어는
카제 2막에서는 초각성스킬 5렙,
그 이외는 초각성기 5렙을
찍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도약 2티어 퓨메 노드는
아래 글을 참고해서 찍어주세요
웬만하면 분노증폭을 택하는 케이스가 많을 겁니다
룬은 언제나 자유롭게 선택
추가로 노려볼만한 딜 상승 선택지
▶ 레더-날움과 마운틴-대지충돌을 통한 딜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