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주포, 화력의 미학.
현 월오탱 내의 자주포는 최고의 화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고의 공격력, 최고의 관통력, 최고의 공격범위, 최고의 폭발범위를 가지고있죠.
거기다가 상대 탱크의 모듈을 부수는거에 자주포만한게 없습니다.
-이런식으로 맞추기만하면 상대는 모듈이 왠만하면 부서집니다. 교전인 상대의 모듈을 부수면 그 상대와 붙고있는 우리팀의 전차가 이기기가 쉬워지는건 당연하구요.
2. 자주포, 맵핵의 미학.
자주포는 유일하게 맵을 3인칭으로 볼수있는 클래스입니다. 오브젝트의 파괴등으로 상대전차의 위치를 알수있고, 벽뒤에 있는 상대전차의 정확한 위치와 그 전차의 포신이 바라보는곳을 알수있죠.
그 포신의 위치를 알수있으므로 우리팀 전차가 히트앤런하기좋은 오더를 내릴수있는 클래스입니다.
-이런식으로 상대탱크의 포방향을 알수있습니다. 상대 탱크의 포가 어딜 향하고 있으니 때려도 괜찮다 식으로 오더를 내리시면 됩니다. 오른쪽의 스크린샷처럼 수풀에 있는 적은 마우스를 가져다 대시면 포의 방향이 잘보입니다.
(왼쪽의 탱크에 색깔이 있는건 약점스킨인데, 저는 자주포를 주로 타는데 왜 깔았는지.. 지금도 모르겠음.)
자주포는 이런식으로 상대 탱크의 포탄의 궤적을 알수있습니다. (철갑탄의 경우에는 흰색 고폭탄의 경우에는 주황색)
왼쪽의 화면은 고폭탄입니다.
그리고 자주포가 쏘면 왼쪽처럼 포탄궤적이 뚜렷하게 보입니다. 이걸 응용하여 보이지않는 자주포를 죽일수가 있습니다.(대포병이라고하죠.) 왼쪽화면을 보시면 자주포가 포탄을 쏘면 궤적이 남는데 궤적이 자주포의 약간 앞부터 시작하는걸 볼수있습니다. 그러면 이제 오른쪽화면을 보시면 제가 시작점에 빨간색으로 포인트를 줬습니다.
여기서 자주포의 위치는 빨간색의 뒤쪽이 되는거지요. 그러면 자주포를 맞추기위해선 빨간색의 뒷부분에 쏴야지 자주포가 맞는다는걸 알수있습니다.
왼쪽의 화면을 보시면 약간 뒤라고 하늘색의 원안에다가 쏘셔도 안됩니다. 주변에 떨어질 확률이 높고 맞더라도 궤도에 맞아서 안터질 확률이 있습니다.
오른쪽의 화면에 녹색으로 칠해둔 부분에 쏘시면 맞더라도 궤도에 맞지않고 주변에 떨어질 확률도 낮으며 거의 다 맞습니다. 오른쪽 화면의 원을 보시면 자주포의 뒤에도 원이 그려져있는걸 볼수있습니다. 상대 탱크의 높이때문에 탱크의 뒤쪽으로 쏘셔도 맞는다는 뜻입니다. 쏘고 뒤로 빠지는 자주포를 운좋게 잡을수도있구요.
(이게 지금은 탱크가 저티어 자주포라 크기가 작아서 원이 커보이는거지, 고티어 자주포들은 대부분 크기가 큰편이라 저 원이 부족하지않습니다.)
상대 탄의 궤적을 보고 상대의 위치를 알수있고 그 탄의 시작점을 이용하여 보이지않는 상대 탱크를 맞출수도 있습니다.
3. 자주포, 곡사의 미학.
자주포는 월오탱에서 흔하지않은 곡사를 사용하는 전차입니다.
곡사는 직사에 비해 활용도가 무궁무진합니다. 예를 들어 자신의 앞에 오브젝트가 있어도 그걸 무시하고 쏠수있고 낮은 오브젝트 뒤에 있는 상대를 맞추거나 폭발범위를 이용하여 데미지를 줄수도 있습니다.
때로는 곡사로 맞출수없는 탱크를 직사로 맞출수도 있구요.
-왼쪽처럼 직사로는 언덕때문에 각이 안나오지만 오른쪽의 자주포의 위성모드로는 각이나옵니다.
자신의 직사로 각이 안나온다는건 상대방도 자신이 보고있는 방향의 직사로는 자신을 때릴수없다는뜻입니다.
-이런식으로 직사로는 바위때문에 각이 안나오지만 위성모드로는 각이나옵니다.
이렇게 바위뒤에 있으면 바위앞에선 자주포를 때릴수 없다는 뜻이지요.
오른쪽의 화면을 보시면 상대 탱크의 주포가 어딜 향하고 있는지 알수있습니다.
다른탱크와 마찬가지로 자주는 애드온이 있으면 운용하기가 초반에 2배정도 편해집니다.
자주포의 방열위치는 경험으로 아는게 중요하고, 방열위치 한곳에서만 쏘는곳이 아니라 한발쏘면 움직인뒤 쏘는 방식으로 플레이하는게 최고의 방열위치입니다.
자주포 입문자들에게 도움되는 글을 적을생각으로 적었습니다.
글은 대충썼으니, 이제 천천히 이미지넣고 깔끔하게 다듬으면 될듯..
-몇차 수정까지 해야 완벽하게 될지 모르겠지만 계속 수정해나갈생각입니다.
현재 최고티어 자주포는 빵국8티어인데 한국섭은 특정한 시간대를 제외하곤 8티어 자주포를 못타기 때문에 스크린샷은 험멜과 프리스트로 찍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