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차 분석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구축전차] OBJ.268 손쉽게 익히기~

아이콘 뽀그리데프콘
댓글: 27 개
조회: 9073
추천: 17
2013-09-26 03:00:04
안녕하세요~ 즐겜유저 신념네버다이입니다.

걍 못한다고 입터는 것보단 가르쳐주는 게 낫다고 생각해서

10티어별로 교육영상을 올리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추첨을 받으니 OBJ.268 이 많더군요..

그래서 2시간만에 

기동형 구축전차의 특성이 찍힌 영상과

OBJ.268 전차의 고유 특성이 찍힌 영상을 구했습니다.

기동형 구축전차의 특성으로써는 

준수한 도탄능력과 

준수한 속력과 선회능력

준수한 한발 데미지 와 분당데미지

준수한 위장값 등등 를 가지고있습니다~

한마디로 미듐과 비슷하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구축전차의 아킬레스건이 있습니다..

적들이 막고 있는 라인은 혼자서 손쉽게 못 뚫는 것입니다.

그래서 막힌 곳보다는 되도록이면 널널한 곳을 잘 찾아가는 게 기동형 구축전차의 운용방법입니다.

마치 미듐과 같죠..

먼저 서서 쪼으고 나오는 얘들 쏘는 것~..



영상: WOT] OBJ.268 기동형구축병과 운용방법,YOUTUBE



잘보셨나요? 절대로 무리 하지 않습니다.. (뭐 팀빨도 있었던거 같지만 ㅋ)

근데 왜 T110E3와 무리하게 맞다이 쳤는지 궁금할것입니다~. (그냥 잔챙이 처리생각할지도 ㅋㅋ)

잘 보시면 T110E3와는 무리하게 맞다이 친건 아닙니다 

이유는 헤드온 입니다..

서로의 주포를 맞대고 싸우는 걸 헤드온이라 하는 데~

굳이 쏘고 도망치면 되는 걸 왜 헤드온을 거는가~!?

 흠....

각 전차에는 나라별로 특징이 있습니다.

소련만 말하자면 

장갑을 활용하는 방법에는 헤드온 하는 방법과

기동을 활용하는 방법에는 빠르게 내리막길 타는 방법이 있습니다.


영상: WOT] OBJ.268 전차 고유의 특성.YOUTUBE


내리막길을 타면서 빠르게 전장을 점령하는 전차 고유의 특성을 살려봤습니다..

잘 찍힌 건 아니지만 전영상에서 T110E3와 헤드온 도 했구요.



넵~ 분명히 캐리영상은 아닙니다~.

여러분~

하지만 교육영상이기에 잘 알아주시길 바랍니다 ..

그럼 다들 즐겜하시며~ 글을 적은 저에게 추천이란 보상을 내려주소서 ㅎ

ㅃㅃ

Lv72 뽀그리데프콘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27)

새로고침
  • 소주하양13-09-27 18:54
    신고|공감 확인
    솔직히 말해봐요 님 전차랭킹가서 공격력순 정렬 클릭했더니 268이 제일 밑에서 두번째에있어서 포가 ㅄ라고한거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답글이동
    비공감0공감 3
  • 쿠키먹자13-09-26 07:02
    신고|공감 확인
    제가 생각하기에 마지막 E3를 맞딜한게 
    E3의 체력 1400 + 장전 16초
    자신의 체력 풀피 + 장전 14초라서
    동시에 사격했다 한들 장전이 더 빠른건 268쪽이라 무조건 이길수 있는 상황으로 보이네요. 더군다가 골탄까지 넣었으니 도탄에 의한 변수는 거의 없다고 봐도 될 정도죠.
    혹시라도 도탄난다 해도 후방에 아군이 충분하니 이겻을거구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달빛소울13-09-26 10:28
    신고|공감 확인
    야 이게바로 입벤이구나
    타보지도않고 전차리뷰를 싸갈기네 ㅉㅉ
    268장갑이랑 포는 동티어 구축중에 263다음으로 병신인데다
    부각 좌우포각도 병신이라
    위장 하나로 먹고살아야하는 탱큰데 ㅉㅉ
    답글
    비공감0공감0
  • 게이밍노트북13-09-26 22:19
    신고|공감 확인
    ??? 자기가 타고있는 전차니까 영상올린거아닌가
    268포가 병신이라는 말은 어떤 멍청한 대가리를 가지신 분이 지껄이는거지
    DPM3000에 단점이라고는 탄속밖에 없는 무결점 주포를 가지고 도대체 왜 개소리를하는거냐
    답글
    비공감0공감0
  • HanGukLoVe13-09-26 22:57
    신고|공감 확인
    뭐지 이병신은
    답글
    비공감0공감0
  • 도루도라13-09-27 12:07
    신고|공감 확인
    뭐 다른건 몰라도 268 포는 구축중 제일 좋은 편인데;
    답글
    비공감0공감0
  • Garrysout13-09-27 16:03
    신고|공감 확인
    263장갑보다 안좋은건 맞는데 263이 탑클래스라서
    답글
    비공감0공감0
  • 소주하양13-09-27 18:54
    신고|공감 확인
    솔직히 말해봐요 님 전차랭킹가서 공격력순 정렬 클릭했더니 268이 제일 밑에서 두번째에있어서 포가 ㅄ라고한거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답글
    비공감0공감 3
  • 1010213-09-28 01:26
    신고|공감 확인
    이분 268에 원킬 나셨답니다
    글 내려주세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짬장바코13-09-26 10:59
    신고|공감 확인
    268은... 소련 기동구축이아니라... 화력구축입니다;;
    263이...소련 기동구축트리죠..
    그리고.. 포슈처럼 돌격형에 특화되어있진않은거같아요..
    음.. 또.. 헤드온은.. 주포와 주포를 맞대는게아니라..
    머리를 맞댄다..라는것으로.. 포탑을 적에게 갔다 대는걸 말하죠..
    적 정면에 주포끼리 맞대는게아니라..적 옆구리에 정면으로 바짝 포탑을 갔다대는것도 헤드온건다.. 라고 표현하죠.. 구지.. 서로 주포끼리 맞대지않아도..말이죠 ㅎ
    답글
    비공감0공감0
  • 벗으면강해짐13-09-26 11:40
    신고|공감 확인
    1   헤드온 그말이 그말인거 같은데 사소한걸로 트집잡지좀 맙시다 

    11  263이 기동성이 뛰어난건 맞는데 268도 이정도면 나름 흠잡을데 없는 기동성인데 
    뭐 한놈이 화력트리면 다른트리는 무조건 기동트리라고 정해져 있는것도 아니고
    중간정도의 특성도 있으면 각각 사람마다 견해가 다를수도 있지
    입벤이니 뭐니 님들 생각에 안 맞으면 다 입벤이고 님들 생각이 정석임?
    저런 리플 단 사람 몇몇때문에 입벤이라고 욕먹는거라곤 생각 안 함?
    답글
    비공감0공감0
  • 짬장바코13-09-26 18:02
    신고|공감 확인
    주포를 맞대는거와 포탑을 적에게 갔다붙이는거와는 확연히 다르죠.. 적주포가 날 안쳐다보면 헤드온아닌게 됩니까? 아니잖아요? 그리고.. 소련트리내에서 구축두기를놓고.. 화력트리.기동트리라고 부르는건 누구라도 아는사실인데요.. ㅡ.ㅡ;
    나름 흠잡을데없는 기동성이면 기동트리인가요? 나름흠잡을데없이 튼튼하면 모조리 장갑트리고요? 님이야 말로 택도없는곳에 딴지걸고계신거에요.. 누가 글을 올리면 잘못올리거나 착각해서 올렸어도 무조건 맞다맞다 하는게 맞는겁니까? 틀린부분이있어서 알려드린건데 그게 제 3자인 님이 발끈할 이유가있나요?
    그리고.. 268에 대해 말씀하셧는데.. 268 보유중이신가요?
    답글
    비공감0공감 2
  • RainMelody13-09-26 18:40
    신고|공감 확인
    짬장비코님 말이 다 맞습니당 소련은 기동,화력 트리로 확실히 나뉘구요 헤드온은 정말 서로머리를 부딪히고 꿍꿍 하는상태를 말하는게 상식이지요 암..
    답글
    비공감0공감0
  • Prand13-10-01 21:03
    신고|공감 확인
    또 못하는놈이 멍청한소리하네 268급 기동력이면 충분히 기동구축 타이틀 받을만하지. 아주 입벤으로 탱크를 배워서 획일화엔 도가트셨어 ㅉㅉ
    답글
    비공감0공감0
  • RainMelody13-10-02 10:05
    신고|공감 확인
    10티어야 특성을 나누는게 무의미하다 해도 분명 소련 구축은 7티어부터 트리가 기동화력 으로 확실히 나뉘잖아요? 그냥 그렇다구여ㅎㅎ
    답글
    비공감0공감0
  • 메를린13-09-26 11:44
    신고|공감 확인
    좋은영상 잘봤습니다. 

    사용하시는 xvm이 어떤 종류인지 혹시 가능하다면 모드공유좀 부탁드립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와지끈뚝딱13-09-26 12:26
    신고|공감 확인
    첫영상 마지막은 무리하게 도아님... 그냥 들어갈상황...이기고 있던상황에 e3가 피가 반피인걸 알고있고 268 자신은 풀피...한발정도 먼저 맞아도 이길수있는상황... 헤드온은 추가로 붙는 옵션같은거일뿐.... 그냥 들어가도 되는상황.... 가까운데서 쏘고 도망갈 피료가 읍는상황...그냥 말이 필요없는 상황....
    무튼교육용으로 헤드온이란것은 요런걸 말하는거다 라고  생각하겟음 ㅋ 
    영상은 잘보고가요 ㅋ
    답글
    비공감0공감0
  • Deufel13-09-26 19:39
    신고|공감 확인
    영상 잘봤습니다
    이 영상을 까시는 분들은 더 좋은 플레이를 하시는거 같은데 영상 공유좀 하십시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뽀그리데프콘13-09-26 19:53
    신고|공감 확인
    제가 탱크를 기동과 화력 두개 로 나눈 것이 아니라
    기동형과 몸빵형으로 나눈겁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게이밍노트북13-09-26 22:17
    신고|공감 확인
    소련구축에 몸빵형은 없습니다
    몸빵은 E3밖에 안되죠. 좋게 잡아서 야이백까지 친다할지라도
    기동, 화력밖에 없음
    답글
    비공감0공감0
  • 뽀그리데프콘13-09-27 15:36
    신고|공감 확인
    아 이 글 급하게 적다보니 ㅋㅋ
    위장 외의 운용방법에 설명한다고 적는 걸 생략해버렸네요 ㅎ;;;
    답글
    비공감0공감0
  • 눈뜨고다녀13-09-28 11:26
    신고|공감 확인
    영상과 교육 잘봤습니다  704타고있는데 도움이되겠네요~
    근데 데프콘님 한가지부탁이있는데 사용하시고 계신 모드가 정말 제마음에 쏙듭니다 
    혹 사용하시는 모드 공유 좀 부탁드려도될지 여쭤볼게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자세똑바로해13-09-28 21:13
    신고|공감 확인
    막힌곳 뚫어주는게 구축이기도 한데 ?
    답글
    비공감0공감0
  • 돼지와인간13-09-29 10:22
    신고|공감 확인
    월탱의 기존질서를 송두리채 뒤흔들 혁명가 등장 ㄷㄷ
    답글
    비공감0공감0
  • 돼지와인간13-09-29 10:29
    신고|공감 확인
    포슈는 초기동형에 초몸빵형인가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1010213-09-29 19:04
    신고|공감 확인
    아니라고 말 못함 큭큭큭크
    답글
    비공감0공감0
  • Kiku1213-09-30 22:26
    신고|공감 확인
    우리 클랜장님을 여기서 보다니 올ㅋㅋㅋ
    저도 곧 268예비 전차장으로서 글 잘읽고 갑니다.ㅎㅎ
    답글
    비공감0공감0
  • 쿵후허슬S13-11-08 04:37
    신고|공감 확인
    돌격구축vs저격구축 이다 말이많은데..내생각엔 때에따라다른것같은데...
    268 상부 은근히 도탄 개잘나고,dpm이 구축치곤 괜찮아서 글 선회력 좋아서 궤도샷흡수 유도하기도 좋습니다.
     때에 따라서는 돌격구축해도됨 제일한심한게 나 구축이니깐 저격할래 하고 아군 다 쳐디지던 말던지혼자 뒤에서 각도안나오는데 저격하는 구축들이 제일한심해....글고 그런님들 보면 평균이하레이팅..ㅠㅠ

    차라리 영상처럼 적당히돌격(포치처럼 몸빵하라는애기가아님 아군이랑 같이 1.2선?
    )하는게 팀에 훨씬도움이됩니다...난 704타고 평경 1100,승률 60퍼 졸업했는데,
    9탑일때 적당히 돌격하는게 딜많이할때도있음...피통믿고 나한대 맞아서 300달고 너한대 맞으면 800달지 하면서 잡는거지..물론 혼자 처나가서 뒤지는 바보짓은하지말고
    아니면 초반 저격하다 영 각이 안나오다 싶으면,난 풀피겠다 적들은 어느정도 피까인상테니 중후반에 피통믿고, 밀땐 밀어야합니다. 
    좀 공격적으로 몰다보니 268타고 광학끼고, 정찰병,정찰임무따기도하죠..
    답글
    비공감0공감0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월탱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