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G: 블라인드스팟, "핵심 이용자 피드백으로 게임의 깊이 더했다"

게임뉴스 | 이두현 기자 |
크래프톤 펍지 스튜디오의 신작 'PUBG: 블라인드스팟'이 이용자 피드백을 기반으로 게임 시스템 전반을 개선하며 새로운 도약에 나선다.



▲ 'PUBG: 블라인드스팟' 양승명 PD

'블라인드스팟' 개발팀 'Arc Team'의 양승명 PD는 독일 게임스컴에서 인터뷰를 통해 지난 스팀 넥스트 페스트 이후의 주요 변화와 향후 계획을 상세히 공개했다. '블라인드스팟'은 PUBG 프랜차이즈의 일환으로 선보이는 두 번째 프로젝트다.

양 PD는 "기존 유저분들이 더 깊이 즐기실 수 있도록 시청각 만족감과 커뮤니케이션 기능 향상에 중점을 뒀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신규 캐릭터 4종과 블록아웃 형태의 신규 레벨 '요트'가 추가됐으며, 기존 병원과 쇼핑몰 맵은 전술적 다양성을 위해 리뉴얼됐다.

원활한 협동 플레이를 지원하기 위한 기능도 대거 도입됐다. 음성 채팅을 비롯해 웨이포인트, 핑 시스템이 추가되어 팀원 간의 유기적인 소통이 가능해졌다. 또한 성우 및 아나운서 보이스를 추가해 전황 파악을 용이하게 했고, 캐릭터 쉐이더와 라이팅을 개선해 그래픽 완성도를 높였다.

게임의 장기적인 동기 부여를 위해 랭크 시스템도 도입됐다. 이는 이전 빌드에서 MMR 수치를 그대로 공개했을 때 직관적이지 않다는 이용자 의견을 반영한 것이다. 해당 시스템은 'PUBG: 배틀그라운드' 매치메이킹 팀의 조언을 받아 설계됐다.

캐릭터 밸런스를 보다 정교하게 설계하기 위해 공격과 수비 역할군을 구분한 것도 특징이다. 양 PD는 "강력한 성능을 가진 스나이퍼 캐릭터 '버디'를 수비 전용으로 조정했다"며 팀 밸런스를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실내 밀리터리 슈터와 전략적 PvP' 팬을 핵심 이용자층으로 삼고 있는 만큼, 디테일에 대한 피드백도 적극 수용하고 있다. "샷건 탄피 배출 타이밍과 같은 세밀한 피드백을 반영 중"이라며 "탑다운 뷰의 한계는 있지만 리얼리티를 해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규 이용자의 적응을 돕기 위한 배려도 추가됐다. 연사 무기의 헤드샷 개념을 재구성하고, 튜토리얼을 통해 앉은 상태의 적 대응법 등을 안내해 조작 부담을 줄였다. 또한, 경기 중 이탈자가 발생하면 다른 이용자가 난입해 자동으로 자리를 채워주는 시스템을 도입해 수적 불균형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완화했다.

신규 캐릭터는 1~2개월마다 1종 추가를 목표로 개발 중이다. 개발은 새로운 가젯(특수장비)의 재미를 먼저 실험하고 그에 맞춰 캐릭터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연말까지 4종 이상 추가를 목표로 하고 있으나 확정된 일정은 아니다.

e스포츠화에 대한 준비도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양 PD는 "지스타 등 초기 단계부터 중계 시스템을 구현했으며, 옵저버 기능은 기본적인 구성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았다"고 전했다.

최근 독일 쾰른에서 열린 게임스컴에서는 PUBG 부스 내 체험존 형태로 참가해 해외 이용자들의 반응을 살폈다. 그는 "현장에서 직접 플레이한 유저들의 반응이 긍정적이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쇼케이스에 적극 참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향후 과제로는 파티 플레이와 솔로 매칭의 형평성, 오디오 및 연출 강화, 아웃게임 시스템 도입 등을 꼽았다. 꾸미기 요소나 유료화 모델은 현재 집중하고 있는 인게임 플레이 개선이 완료된 후 본격적으로 준비할 예정이다.

양 PD는 "탑다운 시점의 유기적인 협업과 FPS 못지않은 총기 액션의 손맛이 우리 게임의 핵심 재미"라며 "장르에 대한 선입견 없이 새로운 재미를 경험해보셨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1 2 3 4 5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