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이벤트에서는 보상이 보다 세분화 됐다. 먼저 선착순 1천 등까지는 프로필 배경+아이콘+테두리에 성진우 스킨과 염색 스킨이 지급되며 이때 지급되는 염색 스킨은 적갈색의 배합을 보여준다. 1,001등부터 3,000등까지는 다른 보상은 동일하며 염색 스킨의 메인 컬러가 연보라빛으로 바뀐다. 마지막으로 3,001등부터 6,000등 까지는 테두리와 염색 스킨을 제외한 프로필 배경, 프로필 아이콘, 짙은 보라색 스킨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외 클리어 인원이 3,000명에 도달하면 전체 헌터를 대상으로 시간의 표식 I 30개, 시간의 표식 II 30개, 커스텀 모집 티켓 20장과 100만 골드, 마력이 깃든 옷감 1,000개가 지급된다.




현재 이벤트 난이도는 지금까지 진행된 하드 선착순 이벤트 중에서는 그나마 가장 쉽다는 평이 나오고 있다. 특히 기존에는 요구 전투력을 크게 상회해야 클리어가 가능했던것에 비해, 이번에는 요구 전투력에 턱걸이로 걸쳐도 클리어가 가능하다는 것이 이러한 평가가 나온 원인으로 보인다.
추가로 이번 업데이트에서 보석 2페이지가 추가되다보니 유저들의 전투력이 상당히 뛰어올라 조건을 갖추기 좀 더 쉬워졌고, 애초에 최상위 유저들은 이번 하드모드에서 요구하는 전투력을 이미 아득히 상회하고 있기까지 하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지금까지 오랜 시간 게임을 플레이온 유저들에 한한 이야기다. 요구 전투력 근처만 되도 클리어하기 쉽다는 것이 이 요구 전투력을 누구나 쉽게 달성할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이다.
요그문트 하드의 요구 전투력은 175만에서 185만이며 각 층별로는 첫 보스인 베델리아가 175만(헌터 모드), 두 번째 보스인 다보르카는 180만(성진우 모드), 마지막 요그문트전은 185만(성진우 모드), 180만(헌터 모드)를 각각 요구한다. 실제로도 이 정도 전투력이면 클리어가 가능해, 180만대 전투력으로 최종 클리어를 인증한 유저들도 다수 확인됐다. 반면 170만대 이하 클리어 인증은 확인하지 못했으며, 페널티를 안고서도 클리어할 정도로 가벼운 난이도는 아닌 것으로 풀이된다.



전수 데이터를 본다면 다를 수 있지만, 현재 유저들은 미레이보다는 수해인이 있어야 편하고, 성진우 모드에서는 풍속 세팅이 잘 되어 있어야 편하다고 평가한다.
헌터전에서는 아무래도 수해인 덱이 기믹을 수행하기 편한 것이 크다. 적의 회복을 제한하거나, 마비를 활용해 패턴을 끊는 플레이 등 미레이를 필두로한 풍속성 덱보다는 수해인을 기반으로 한 수속성 덱이 기믹 풀이에 유리하다. 실제로 전투력 컷이 아슬아슬한 경우 미레이로 클리어하기가 훨씬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다.
성진우 모드는 풍속성이 주로 쓰이고 있다. 윈터팽과 함께 수속성 성능이 전반적으로 케어가 들어갔지만 갑옷 부수기와 윈드 슈라우드, 악마왕의 단검 등 종합 화력이 뛰어난 풍속성 덱이 스킬 화력이 부족한 수속성보다는 우위를 점하는 모습이다.
이외 이번에 출시된 레나트 니어만의 경우 성능이 상당히 뛰어난 것으로 이야기되고 있는데, 최상위권 유저들을 제외하면 아직 진화나 아티팩트 세팅 등 육성도가 부족하여 많이 쓰이지는 않는 모습이다.

이러한 정보에 유저들이 언급한 덱 편성 및 아티팩트 세팅까지 종합해보면 클리어 덱을 어느정도 뽑아볼 수 있다. 먼저 1층 베델리아전에서는 서린+메이린+수해인 조합을 추천한다. 아티팩트 세팅은 서린이 혼돈의 욕망(or불타는 탐욕), 메이린은 대주술사에 페리도트를 사용하고 수해인은 낙인4+흑요석4를 추천한다. 이 중 메이린은 불타는 축복 8세트 등 발이에이션이 좀 더 다양했고, 수해인의 경우 저주4+흑요석4도 가능하지만 저주는 버프 누적에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2층 다보르카전에서는 풍속성 덱을 편성하자. 성진우는 스톰브링어+악마왕의 단검을 착용하고 스킬은 갑옷 부수기 - 진공파와 소닉 스트림 - 윈드 슈라우드가 사실상 고정이다. 기본 브레이크는 필요하지 않으므로 성진우 화력을 높여줄 약점 속성 서포터 메이린, 한세미 등을 팀에 편성하자. 다보르카전은 이번 하드 모드에서 가장 쉽다고 평가되지만 정신없이 순간이동을 하기 때문에 각종 스킬을 허공에 낭비하기 쉽다. 이것에 주의하며 차곡차곡 딜을 쌓자.
3층 요그문트전 성진우 모드에서는 무기와 스킬은 동일하게 가져가되, 서포트 헌터로 고토 류지or서린, 메이린 피셔, 수해인을 추천한다. 고토 류지나 서린을 데려가는 이유는 브레이크 타이밍을 당겨 화력 누수를 막고, 마지막 페이즈의 브레이크 패턴에도 안전하게 대응하기 위함이다. 메이린 피셔는 성진우를 가장 잘 보조하는 대표적인 서포터이며, 수해인은 딜링 보조 및 2번째 특수 패턴인 환각 페이즈(체력 310~320줄)에서 요그문트가 체력을 회복하는 것을 막기 위해 편성한다.
마지막 요그문트전 헌터 모드에서는 1층과 동일한 편성으로 진행하면 된다. 자신의 전투력이 요구 전투력 대비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면 체력 회복 때문에 미레이로는 공략이 상당히 어려우니 되도록이면 수해인 덱으로 진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 본인 및 유저들의 클리어 후기를 종합한 것으로, 더 좋은 조합이나 세팅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