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GS 현장에서 만난 남택원 대표는 "약 20년 전, 일본에 온라인 게임이 막 보급되던 시기에 '붉은보석'이 서비스되면서 좋은 성과를 거뒀다"며 "물론 선점효과도 있었겠지만, 일본 시장을 위한 업데이트를 많이 하고 일본 유저와 열심히 소통하는 등 최선을 다했다"며 오랜 서비스의 소감을 밝혔다.
오랜 서비스 비결로 남택원 대표는 현지 전용 콘텐츠 개발을 꼽았다. 남 대표는 "일반적으로 한국 게임사가 일본에 온라인 게임을 서비스하면, 한국 위주로 만들던 것을 일본용으로 커스텀하는 정도였다"며 "우리는 일본 유저를 위한 콘텐츠를 꽤 많이 개발했던 게 주요하게 적용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소개했다.
남 대표는 한국 유저와 일본 유저가 일반적으로 사회에서 보이는 특징이 게임 플레이에도 반영된다고 전했다. 예로 일본 유저는 사냥터에서 줄을 서서 사냥하는 등 그들만의 규칙을 지킨다는 것이다. 남 대표는 "아마 일본인들은 남에게 폐를 끼치지 말라는 게 신조처럼 되어있는데, 이런 게 반영된 듯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반면, 우리(한국) 유저는 진취적이라고 해야 할까, 플레이에서도 그런 성향이 드러나더라"고 덧붙였다.
엘엔케이가 일본에서 붉은보석을 선보인 건 정말 개척하는 일이었다. 우리나라는 콘솔 보급보다 PC와 인터넷 보급이 더 빨랐다. 일본은 예전부터 콘솔이 잘 보급되어 게임을 즐겼고, PC와 인터넷도 비교적 우리나라보다 보급 속도 느렸다. 남 대표는 "일본 게이머에게 '게임=콘솔'이란 인식이 견고하게 있다 보니, 조금씩 해나가는 과정의 연속이었다"며 "일본 PC와 인터넷 보급과 '붉은보석' 이용률이 서로 같이 성장하는 것을 느꼈다"고 설명했다.
남택원 대표는 오랫동안 일본 게임시장을 지켜봤다. 이번 TGS에서 남 대표는 "10년 전 TGS는 거의 모바일 게임이 대부분이었는데, 이제는 관련 부스가 많이 줄어든 거 같아 재밌게 느낀다"며 "시장이 계속 변하는 거 같다"고 평가했다. 이어 "일본은 콘솔 시장이 워낙 견고하니 줄어든 모바일이 콘솔로 가겠지만, 앞으로는 PC 시장이 더 커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내다봤다.
예로 과거에 콘솔은 PC의 1/3 가격이란 인식이 있었다. 지금은 콘솔 가격 상승으로 차이가 줄어들고 있다. 남 대표는 "이제 소니나 Xbox 독점은 별 의미 없는 거 같다"며 "있다면 닌텐도 정도인데 애매한 수준인 거 같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에서도 PC-콘솔-모바일 게임 시장 구도에 변화가 있을 거 같은데, 내년 TGS에 오면 확인할 수 있을 거 같다"고 덧붙였다.

'붉은보석' 일본 서비스는 올해 2월부터 엘엔케이가 직접 맡는다. 변화에 대해 남 대표는 "일본 퍼블리셔에 큰 변화가 생겨서, 유저에게 직접 다가가기 위해서 직접 서비스 변경으로 결정했다"며 "확실히 유저 가까이서 의견을 듣고 우리가 직접 하면 더 많은 걸 해줄 수 있을 거 같았다"고 이유를 전했다. 이어 "상투적일 수도 있겠지만 유저와 더 소통하고 싶은 욕심이 생겨 직접 서비스를 택했다"며 "유저에게 다가가려면 직접 하는 거 말곤 답이 없겠더라"고 강조했다.
남 대표는 이번 TGS에 참가한 것 역시 "유저와 만나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그는 "아마 일본에서 '붉은보석'을 한 유저는 정말 오래 했을 것이다"라며 "그들과 직접 만나 인사하고 선물을 나눠주고 싶어서 참가하게 됐다"고 말했다. TGS 현장에서 엘엔케이가 '붉은보석' 일본 유저와 이야기를 나누고 선물을 주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엘엔케이는 현장에 오지 못하는 유저를 위해 온라인으로 참여할 수 있는 특별 이벤트도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