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하드디스크] SLC 낸드플래시 탑재 SSD! 리뷰안테크 850X ULTRA (성능)

삽살이사랑
조회: 1971
2015-05-06 20:06:20
리뷰안 850X ULTRA (울트라) 성능 SLC 낸드 플래시 SSD 추천.jpg

인텔 SLC 낸드 플래시가 탑재된 고사양 SSD 추천! 리뷰안테크 850X ULTRA (울트라)!
우리는 <SSD>의 핵심구성품 중 SSD의 성능을 좌우하는 낸드 플래시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알아봤다. <낸드 플래시는> 쉽게 SLC > MLC > TLC 순으로 성능, 안정성, 데이터 신뢰도가 높고 가격 또한 SLC 낸드가 가장 높다. SSD 전문기업 ()리뷰안테크에서 선보인 리뷰안 850X ULTRA에는 인텔 SLC 낸드 플래시가 탑재되어 그동안 <MLC 낸드 플래시>가 탑재된 대중적인 SSD 보다 더 안정적인 사용자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SATA 3 대역폭의 한계성 때문에 <SLC 낸드> 의 성능을 100% 발현하지 못하거나 MLC 낸드가 탑재된 SSD의 성능과 큰 차이가 없더라도, 안정성과 내구성, 데이터 신뢰도 부분에서 얼마나 우수한지, 테스트에 비교 군으로 사용된 SSD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봤다동일한 용량, 스펙은 아니더라도 프래그쉽 모델답게 뛰어난 성능과 내구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리뷰안 850X ULTRA>의 성능을 비교하는데 부족함이 없다. 우선 SSD의 성능 뿐만 아니라 메모리, SD 메모리의 성능을 테스트 하는 CrystailDiskMark로 테스트 한 결과 마이크론 크루셜 MX200 (240GB) 모델이 순차적 읽기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약간 뒤처지는 속도를 보여주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120GB 용량의 SSD에서 보여주는 성능으로 따져보면 상당히 뛰어난 속도를 제공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4kb 단위로 무작위 읽기. 쓰기 테스트가 진행되는 4K항목에서 성능도 만족스럽다. 4k는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와 같은 OS에서 최소 단위가 4Kb이기 때문에 SSD의 체감속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보기라 할 수 있다. SLC 낸드의 서버급 안정성 및 데이터 신뢰도뿐만 아니라 성능에 있어서도 만족할 만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AS SSD 벤치마크 에서도 비슷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셀 하나에 1비트를 저장하기 때문인지 엑세스 타임은 비교모델 보다 훨씬 빠르다. 총점으로 간단하게 SSD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데 내구성 대비 성능으로 볼 때 절대 뒤지지 않는 성능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





리뷰안 850X ULTRA (울트라) 성능1 SLC 낸드 플래시 SSD 추천.jpg

SSD 뿐만 아니라 HDD 등과 같은 스토리지의 연결 성능을 확인할 수 있은 벤치마크 툴인 ATTO Disk Benchmark를 통해 0.5~8192.0 KB 구간별 읽기, 쓰기에 대한 성능을 보면 128Kb 구간에서부터 거의 일정한 속도를 보여주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두 제품 모두 읽기에서는 비슷한 속도를 보여주지만 850X ULTRA의 쓰기속도가 약간 낮게 측정되었다. 동일한 테스트를 반복해도 거의 비슷한 수치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성능 상으로 큰 문제는 없어 보이지만 보편적인 쓰기 성능으로 볼 때 낮은 것은 사실이지만 앞에서 진행된 쓰기 속도와 비슷하기 때문에. 크게 문제될 부분은 아니다.
 
SSD의 체감속도와 밀접하게 관련된 4kb 테스트 및 성능확인이 가능한 Anvil’s Storage Benchmark로 진행된 각 테스트 영역은 만족할 만한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4K QD4, 4K QD16, 32k, 128K에서 비교 제품보다 낮은 속도를 보여주고 있지만, 보편적인 128GB SSD와 비교했을 때 보다 높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250GB SSD의 기본 성능이 원래 높기 때문에 고민할 부분은 아니지만 가격대비 성능, 안정성, 내구성과 연관 지어 생각하면 된다.
 
드라이브의 벤치마크 및 상태 확인이 가능한 HD TUNE Pro로 진행된 테스트에서 눈여겨 볼 것은 파일의 읽기, 쓰기 속도 측정과 동시에 그래프의 진폭이 없이 일정한 것이 안정성이 정말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비교제품과 비교했을 때 직진성이 훨씬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운영체제 전송속도인 버스트 레이트 또한 플래그쉽 모델인 비교제품 보다 뛰어나다. 파일 벤치마트에서 4KB 무작위 패턴으로 진행된 테스트에서는 읽기는 비교 제품 보다 우수하지만 쓰기에서는 약간 떨어지는 성능을 보여줬다. 지금까지 진행된 테스트와 거의 비슷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그래프로 보여준 쓰기 속도를 보면 비교제품이 좀 더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리뷰안 850X ULTRA (울트라) 성능2 SLC 낸드 플래시 SSD 추천.jpg

SSD의 선택은 누구에게나 공통된 목적과 이유를 제공한다. SSD의 주 특징은 빠른 부팅 및 로딩 속도는 물론 HDD의 기계음이 없는 정숙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리뷰안 850X ULTRA의 부팅속도는 얼마나 빠를까? 사실 앞에서도 언급했던 것처럼 SATA 3의 한계 때문에 어느 정도 비슷한 성능을 보여주는 것이 맞다고 할 수 있다. 두 제품 모두 객관적인 자료 수집을 위해 3DP Bench를 이용해 부팅시간을 측정한 결과 종료에서 재부팅까지 거의 비슷한 시간이 소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스톱워치를 이용해 측정한 결과치도 거의 비슷하지만 인텔 SLC 낸드 플래시가 적용된 리뷰안 850X ULTRA0.66초 정도 빠르게 측정되었다.
 
SSD의 성능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압축 / 해제를 통한 성능 테스트에서도 많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비교제품이 약간 빠른 성능을 보여줬다. 3.9GB의 동일한 용량으로 구성된 단일파일과, 2,051개의 이미지로 구성된 동일 용량의 파일을 각각의 SSD 내에서 압축, 해제를 반복한 결과의 중간 값을 그래프로 표시했는데 멀티 파일의 경우 압축 속도는 리뷰안 850X ULTRA가 약간 빠르게 측정되었고 싱글 파일을 포함한 나머지는 비교 제품이 약간 앞선 결과를 보여줬다. 하지만 용량대비 성능으로 본다면 정말 뛰어난 속도를 보여주고 있다. 10GB의 더미파일로 진행된 파일복사 테스트에서도 비교 제품과 큰 차이가 없는 파일복사 시간과 평균 524MB/s의 속도를 보여주고 있다. 단일, 복합 파일의 복사 테스트에서도 비교제품이 850X ULTRA 보다 약간 앞선 속도를 보여주고 있고, 메인으로 사용되는 파이슨 CT7 Extreme 제품과 850X ULTRA간 파일이동 시 소요되는 시간은 7.58GB의 복합파일을 비교제품에서 850X ULTRA로 이동시 19.43850X ULTRA로 이동시 18.2초가 소요되었다.





리뷰안 850X ULTRA (울트라) 성능3 SLC 낸드 플래시 SSD 추천.jpg


PC의 전반적인 성능을 테스트하는데 사용되는 벤치마크 툴인 PCMARK8에는 Storage의 성능을 테스트 할 수 있는 별도의 항목이 존재하며, 사용자가 임으로 선택한 드라이브의 성능을 테스트 할 수 있으며 테스트 방식은 실제 성능을 테스트 할 수 있도록 어도비 크리에이티브 스위트, 마이크로 오피스, 게임 등을 통해 드라이브의 성능을 테스트하게 된다. 850X ULTRA와 비교제품의 성능을 측정한 결과 대역폭에서 850X 울트라가 높게 측정되었으며 Dirty 상태에서나 Clean 상태에서도 많은 성능차를 없었기 때문에 SSD가 갖춰야할 일관된 성능을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 확실히 비교 제품 보다 스토리지 대역폭이나 테스트 소요시간에서 앞서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리뷰안 850X ULTRA (울트라) 성능4 SLC 낸드 플래시 SSD 추천.jpg

언급했던 것처럼 기존의 HDD 보다 빠른 성능을 제공하는 SSD의 장점은 빠른 부팅속도 및 빠른 로딩, 정숙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데 있다. 그렇다면 우리가 PC를 통해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게임, 웹서핑, 영상 등에서 SSD의 성능은 어떤 변화를 가져다줄까? SSDHDD의 자잘하게 끊기는 현상의 차만 보더라도 SSD의 선택이 왜 중요한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동일한 그래픽 환경 및 시스템 환경에서 이런 현상이 발생되었을 때 SSD의 선택의 어쩌면 필수인지도 모른다. 일반적으로 HDDSSD의 게임 로딩 속도는 정말 많은 차이가 있다. HDD의 로딩 속도와 비교는 하지 않아도 SSD 사용자라면 누구나 다 잘 알 것이라고 생각한다. 850X ULTRA와 비교제품의 로딩속도를 게임과 비교했을 때 플래그쉽 모델답게 비슷하거나 약간 앞서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거의 비슷한 수준의 로딩속도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측정된 구간이나 방식의 , 시스템의 차이로 개인마다 다를 수 있음) 웹서핑에서도 클릭 한 번으로 눈 깜박할 사이에 화면이 전환되고 게임도중 하드스왑에 대한 걱정을 떨쳐도 되기 때문에 SSD의 선택! 특히 수명과 관련해 SLC의 안정성과 데이터 신뢰도는 게이밍 PC에 날개를 달아주는 샘이라고 할 수 있겠다.





리뷰안 850X ULTRA (울트라) 성능-총평 SLC 낸드 플래시 SSD 추천.jpg

역시 SLC 낸드 플래시가 탑재된 SSD가 최고! 리뷰안 850X ULTRA!
골드바를 연상하게 하는 깔끔한 디자인에 성능은 물론 서버급 안정성 까지 제공하는 인텔 SLC 낸드 플래시가 탑재된 리뷰안 850X ULTRA의 성능을 통해 확인한 결과 128GB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플래그쉽 모델과 거의 비슷한 성능을 제공하고 있다. SSD의 성능은 어떤 종류의 메모리를 사용하느냐, 어떤 컨트롤러가 탑재 되었느냐가 중요한데 기존의 850X에서도 검증된 SM2246EN 컨트롤러의 성능과 인텔의 SLC 낸드 플래시의 조합으로 최고의 성능을 보장받을 수 있다. 그렇다고 SATA 3의 한계성 때문에 퍼포먼스 제품의 성능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SLC 낸드 플래시가 탑재 되었다고 해도 PCI 방식의 SSD 성능을 발현할 수 없기 때문에 데이터 안정성 및 신뢰도, 내구성에 초점을 두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성능을 통해서도 파악된 것처럼 MLC 제품과 비교 했을 때 Clean / Dirty 상태 모도 거의 일관된 성능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더욱 신뢰롭다. 지우고, 쓰기를 반복해도 많은 차이가 없음을 필자가 확인했기 때문에 가격은 좀 더 높더라도 안정성과 내구성을 생각하면 250GB 제품 보다 128GB를 선택하는 사용자도 많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250GB의 플래그쉽 모델과 성능차가 많지 않다는 것 또한 리뷰안 850X ULTRA의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250GB 제품군이 출시된다면 선택의 폭도 넓어지고 좀 더 뛰어난 활용가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MLC 250GB 제품군을 선택하느냐, 128GB SLC 제품을 선택하느냐는 여러분의 몫에 달려있지만 안정성과, 내구성을 생각한다면 분명 답을 찾았을 것이다.





리뷰안 850X ULTRA 메인사진.jpg
이 사용기는 다나와 주관 리뷰안테크에서 제공된 제품으로 작성되었습니다.




Lv12 삽살이사랑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