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머 토론장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토론] 나의 생각

아이콘 kino임
댓글: 58 개
조회: 3351
추천: 4
비공감: 4
2015-12-12 18:50:44

기성세대가 청년 개개인의 변화를 요구하는게 몰염치하게 느껴지듯 소비자 변화를 요구하는것 역시 

몰염치하게 느껴질 뿐입니다.

내가 '개인적'으로 청년 취업이 힘들어지는건 문제라고 느끼니 비판할 뿐이지만 .. 그런 의견이 모여서 

결국 여론이 되는것 아닌가요?



'정규직이 마음을 바꿔야 비정규직 문제 해결된다' 
'청년들이 노오력해야 청년실업 해결된다' 
'소비자가 변해야 게임업계가 변화한다' 

말 자체론 전부 틀릴것도 없습니다. 문제 해결을 위해 누구의 변화를 요구할것이냐. 

단지 관점 차이일뿐입니다. 



기업도,소비자도 변하지 않을거란 스팀님의 예상은 잘 알겠습니다.

내 주장의 기본적인 논조는 게임산업에 어떤 변화가 온다면 그건 공급자에 의한 변화라고 말한겁니다.  

파워팔이가 완화되는건 소비자 불만/불매/게임사 비판등으로 이뤄지는게 아니라 파워팔이를 하지 않는 

완성도 높은 게임의 등장으로 변한다는거죠. 설령 그 게임이 외국기업이라 해도 별다른 외부존재는 아니고 .. 
결국 공급자/생산자 아닙니까. 



정치도 별반 다르지 않은게 .. 불만이 존재한다고 해서 개혁이 이뤄지는게 아니며, 

그 불만에 귀기울이고 능력을 발휘하여 변화시켜줄 강력한 지도자와 조직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민주주의 하나의 이데아에 불과하며, 진짜 세상이 돌아하는 방식인 이를 벗어난 적이 한번도 없어요.  

('소비자가 모르는 우리회사의 현실' 운운하며 '소비자님 변해주세요' 하는 머저리들 짜증나는 이유 이기도합니다.)

 

기업은 리더가 있고 조직화 되어 있기 때문에 변화시킬 '힘'도 결국 기업이 가집니다.
철학과 비젼 / 능력과 자본을 가진 기업 CEO 지시에 따라 경쟁력(힘) 있는제품을 시장에 제공하면 .. 

그때부터 시장 상황은 변합니다. 그 제품이 가진 힘만큼 변하겠죠.  



법 하나를 만들어도 기업 피해를 막아주는 법이 소비자 피해를 막아주는 법보다 훨씬 
강력하게 

일사천리로 제정됩니다. '자유시장경제'에서 기업은 소비자가 걱정해줄정도의 '약자'들이 아닙니다. 

소비자들의 이해관계는 금전적 이익도 아니고, 취향으로 결정되니 .. 조직을 구성한들 수익을 위해 

뭉친 기업 구성원과 달리 결속력이 약합니다. 결국 개인 입장을 벗어나지 못하고 영향력이 제한적이죠
이렇기 때문에 소비자는 기업으로 부터 보호해줄 필요가 있으며 현재도 공권력의 보호를 받고 있습니요. 

(법령과 조직화된 공공기관을 통해서요) 시장에서 소비자가 기업보다 힘을 가진 입장 서지 못해요. 




구직자/노동자/소비자 
시장과 산업에서 파생된 여러 문제를 이들에게 해결하라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은데요...

제가 그런 의견을 매우 싫어하는 사람인거죠. 

내글을 통해 세상에서 무엇이 옳은지 그른지를 판가름 하진 못하겠지만  적어도 kino란 닉넴을 쓰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는 알수 있을겁니다.

Lv62 kino임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