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 인벤 초보자 가이드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던전&레이드] 초보들이 보면 좋을 레이드 입찰룰

CooLnayana
댓글: 11 개
조회: 25357
추천: 101
2011-04-06 17:34:49

목차

1. 게임상에서의 기본적인 입찰 방식

2. 정규 공대에서의 입찰 방식

2-1 주사위

2-2 포인트 제도

3. 막공(주사위 입찰 팟)에서의 입찰 방식

3-1 저득팟

3-2 주특저득팟

3-3 골드묻기 주사위 팟

4. 막공(골드 팟)에서의 입찰 방식

4-1 올분팟

4-2 무득팟

4-3 무득+올분팟

5. 막공에서의 예외적인 경우

5-1 벌금제

5-2 디피제한팟

5-3 1인1입팟

 

 

1. 게임상에서의 기본적인 입찰 방식

와우에서는 여러가지 입찰 방식이 있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자유롭게 먹을 수 있는 방식, 주사위를 굴리되 착용 가능자만 굴리는 방식, 모두 주사위를 굴릴 수 있는 방식, 아이템 담당자가 획득한 후 받을 사람에게 직접 전달하는 방식 등이 있습니다. 또한 템 등급에 따라 어떤 템은 자유롭게 먹을 수 있고, 어떤 등급이상은 주사위를 한다 같은 방식도 있습니다.

다만 이번엔 기본적으로 무작위 던전에서 녹템 이상의 템이 나오는 경우 등장하는 창을 가지고 설명하겠습니다.

 

입찰: 아이템을 먹겠다는 것을 표현하는 행위. 차비와 마력추출보다 우선순위로 아이템을 먹을 수 있습니다.

입찰자가 2명 이상이면 입찰자들끼리 자동적으로 1-100사이의 숫자가 임의대로 나오게 되며, 그 중 높은 숫자가 나온 입찰자가 아이템을 먹게 됩니다..

차비: 아이템을 먹기는 하겠지만, 그리 필요없다는 것을 표현하는 행위. 입찰보다는 후순위이며, 마력추출과는 동순위입니다.

입찰자가 한 명이라도 있으면 차비를 누른 사람은 주사위를 굴릴 수 없습니다. 입찰자가 없고, 차비나 마력추출을 누른 사람이 2명 이상일 경우 1-100사이의 숫자가 임의로 나오며, 입찰과 동일하게 가장 높은 숫자를 출력한 사람이 아이템을 획득합니다.

마력추출: 마법부여사가 있을 경우 활성화되며, 아이템 자체보다는 아이템을 마법부여 재료로 바꿔 가지겠다는 것을 표현하는 행위. 차비와 동순위이며 차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아이템을 먹습니다. 다만 마력추출을 선택한 사람이 높은 숫자를 나오게 할 경우, 아이템 자체를 가지는 것이 아닌 마법부여 재료로 가지게 됩니다.

포기: 말 그대로 아이템을 먹지 않겠다는 것을 표현하는 행위. 입찰, 차비, 마력추출보다 후순위이며, 모두 다 포기를 누른다고 해서 아이템을 주사위로 가져가지는 않습니다.

 

 

2. 정규 공대의 입찰 방식

정규 공대는 일정 시간에, 일정한 사람들이 모여서 레이드를 하는 공격대를 말합니다. 보통의 막공과는 달리 각 공대마다 이름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해외에서는 길드=정규 공대로 생각하는 경우도 많다.), 여러번 손발을 맞추다보니 막공보다는 레이드 진도를 빼는 속도가 빠릅니다. 마지막으로 공대에 가입하기 위해선 여러가지 규정이 많으며, 탈퇴도 쉽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정규 공대에서는 주사위 입찰과 포인트 입찰 2종류가 있습니다.

 

2-1 주사위

오리지널 초기에 많이 사용되었던 입찰룰입니다. 먹고 싶은 아이템의 경우 주사위를 굴려 먹는 방식입니다. 장점으로는 골드 소모없이 먹고 싶은 아이템을 먹을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단점으로는 주사위를 굴릴때마다 100%먹는 보장이 없고, 필요없는 템도 주사위를 굴리며, 먹고 싶은 템을 다 먹을 경우 정규 공대에서 탈퇴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습니다.

결국 주사위로 아이템을 먹는 것에 사람들의 불만이 많아져 생겨난 것이 포인트제도입니다.

2-2 포인트 제도

오리지널 중후반에 등장한 입찰룰입니다. 많은 정규 공대에서 사용하는 입찰룰입니다.

정규 공대에 참석하거나 기여해 얻는 포인트를 이용해 아이템을 먹는 방식입니다. 장점으로는 포인트가 많이 있으면, 여러 템을 먹을 수 있었고, 주사위 방식과 마찬가지로 골드를 소모하지 않는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또한 포인트를 모으는 방식이 여러가지라 열심히 참여하고, 많이 기여하면 포인트 자체를 많이 얻을 수도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정규 공대에 오래 남아있는 사람들은 속칭 '포인트 깡패(이하 포깡)'가 되어 아이템을 선점하는 경우가 많으며, 처음 정규 공대에 참여한 사람들은 '마이너스 포인트(이하 마포)'가 되어 아이템을 먹는 기회가 줄어드는 경우도 많습니다.

포인트 제도에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많은 공대에서는 신입 공대원들에게 약간의 이익을 주며, 포깡을 막기 위해 일정한 수준의 포인트까지만 허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3. 막공(주사위 입찰 팟)에서의 입찰 방식

막공이란 막 모은 공대의 줄임말로써, 지정된 시간에 모여 출발하는 고정막공과 아무때나 모으는 일반막공이 있습니다. 고정막공의 경우 정규공대와 비슷하지만, 가입과 탈퇴가 자유로우며, 따로 규칙등을 만들지 않습니다.

 

3-1 저득팟

아이템을 적게 먹은 사람의 기회를 늘려주자는 취지의 입찰 룰로써, 예를 들어 설명합니다.

A는 xxx보스를 잡기 전까지 2개의 아이템을 획득했고, B는 1개의 아이템을 획득했습니다. xxx보스를 잡고 z템이 나왔는데 A와 B가 먹겠다고 했을 경우 B에게 우선권을 줘 B가 먹지 않을경우 A가 먹을 수 있게 하는 룰입니다.

3-2 주특저득팟

저득팟과 비슷한 개념이지만, 추가적으로 주특과 부특의 차이까지 고려한 입찰 룰입니다. 위의 예에서 더 보태보도록 합니다.

A는 탱특성이며 2개의 아이템을 먹은 상황, B는 딜특성이며 1개의 아이템을 먹은 상황입니다. z템이 나왔는데 탱특성에 적합한 능력치가 붙어있으면, A가 B보다 템을 더 먹었지만 A에게 우선순위가 있습니다.

 

다만 주특의 범위가 어디까지냐는 논란이 있습니다.

ⓐ탱/딜/힐로 분류-탱/근딜/원딜/힐 특성에 따라 분류합니다. 즉 전사의 경우 방어특성은 탱특성, 무기/분노 특성은 근딜 특성으로 분류합니다.

ⓑ적중/정신력/기타능력치로 분류-천 캐스터의 경우 적중이 붙으면 법/흑/암사, 정신력이 붙으면 암사/신사/수사, 적중과 정신력 없이 가속이나 치명타 등이 붙은 템은 모든 천 캐스터 템으로 분류하는 사람들과, 적중=법/흑, 정신력=암사/신사/수사, 기타 능력치=법/흑 선순위 암사/신사/수사 후순위로 분류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각 직업의 주요특성/부가특성에 따라 분류-특히 도적의 경우 단검이 효율적인 특성과 다른 무기가 효율적인 특성이 있으며, 여기에는 모두 딜특성이므로 단검이 효율적인 특성이더라도 먹을 수 있다는 사람과, 단검이 효율적인 특성이면 단검만 먹어야 한다는 사람이 있습니다.  

 

3-3 골드 묻기 주사위 팟

주로 3-1의 방식이나 3-2의 방식으로 아이템을 먹은 사람에게 일정량의 골드를 받으며, 레이드 행위가 끝나면 아이템을 하나도 먹지 못한 사람들에게 분배하는 형식입니다. 만약 아이템을 모든 사람들이 다 먹었다면 모든 사람들에게 분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위의 예를 들어 설명합니다.

A는 아이템을 2개 먹었고, B는 아이템을 1개 먹었으며, 저득팟이라 z템은 B가 먹었습니다. 아이템을 하나 먹을때마다 500골씩 내고 먹었으며 z템을 끝으로 레이드 행위가 종료되었다면, 아이템을 먹지 못한 사람들에게 A와 B가 낸 2000골을 분배합니다.

즉 A,B만이 아이템을 먹었고 C,D,E,F는 아이템을 먹지 못했다면 이 4명에게 500골씩 분배하는 것입니다.

 

골드팟의 입찰룰은 다음글에서 계속됩니다.

Lv44 CooLnayana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와우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