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 인벤 초보자 가이드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던전&레이드] 탱커학 개론[스압주의]

쿠아곰
댓글: 4 개
조회: 23623
추천: 53
2011-06-23 02:56:10

주의 : 제목은 저렇게 적었지만, 사실상 인던 입문자에게 정도만 도움되는 내용입니다.

레이드 하드모드를 별 무리없이 돌고 계신 분들이라면 그닥 도움이 안될수도 있습니다.

또한, 일부 내용은 다른 사람들과 의견이 갈릴 수 있음을 숙지하고 이 글을 봐 주시기 바랍니다.

 

1. 탱커란?

 

탱커는 파티플레이에서 가장 앞에 서서 적의 공격을 대부분 받아내야 하는 클레스입니다. 탱커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파티의 방패 같은 역할이죠.

 

그래서 탱커는 파티에서 가장 먼저 죽어야 하는 클레스입니다. 방패가 깨지기도 전에 사람이 먼저 죽으면 방패는 쓸모없는거니까요.

가끔 이 말을 오해하시는 분들이 계신데요. 또하나 중요한 목표가 있습니다. 오래 버텨야 한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탱커의 역할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파티 내에서 가장 먼저 죽어야 하지만, 버틸수 있는한 가장 오래 버텨야 하는 역할"

입니다.

 

탱커가 자기 역할을 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싶다면

1. 자기가 전투중에 죽었는가?

2. 자기보다 먼저 죽은 딜러가 있는가? 있다면 왜 죽었는가?

3. 자기가 죽을때, 힐러의 마나는 바닥난 상태였는가?

 

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일단, 자기가 전투중에 죽었다면, 무엇인가가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만약 딜러가 죽어있다면, 딜러가 맞아선 안돼는 스킬에 맞아 죽은건지, 보스가 때려서 죽은것인지를 생각해보세요. 만약 보스가 때려서 죽은거라면, 자신이 도발기를 사용하고, 그 이후에 계속 때려서 위협수준을 확보했는지를 생각하시고요.

만약 힐러의 마나가 바닥난 상태였다면, 문제는 탱커에게 있을수도 있고, 딜러에게 있을수도 있고, 힐러에게 있을 수도 있습니다. 딜러가 크게 피가 빠질만한 몹이 아니었따면 힐러의 유효 치유량과 초과 치유량을 보시고, 초과 치유량이 많지 않다면, 탱 방식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 탱커가 되려면?

 

일단 와우를 하려면 케릭터를 만들어야 하듯, 탱커를 하려면 탱커를 할 수 있는 클레스를 고르셔야겠죠.

와우 내에서 탱커를 할 수 있는 클레스는

전사, 성기사, 드루이드, 죽음의 기사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죽음의 기사는 계정 내에 레벨 55 이상인 케릭터가 있어야 합니다. 다른 서버에 있어도 상관없고요.

 

일단 위 케릭터를 만들었다면 이제 최소 레벨 15까지는 키웁니다.

레벨 10이 되면 특성이라는걸 찍게 되는데, 전사는 방어 특성, 성기사는 보호 특성, 드루이드는 야성 특성, 죽음의 기사는(이미 55렙 이상이지만요)혈기 특성을 찍으면 탱킹이 가능합니다.

레벨 15가 되면 무작위 던젼(단축키 I)시스템이 활성화가 되지요. 무작위 던젼을 신청해서 입장하는 순간, 탱커로써의 플레이가 시작됩니다.

 

여기까지는 처음부터 탱커에 발을 들일때까지를 알려드린거고요. 이제부터 좀 한다는 탱커가 되기까지 해야할 일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와우에선 스텟을 찍지 않고, 아이템을 통해 스텟을 맞추지요. 여기서, 전사, 성기사, 죽음의 기사 같은 판금 클레스와 드루이드는 세팅이 조금 나뉘게 됩니다.

 

일단 판금을 입는(레벨 40 이전이라면 사슬을 입고 있겠지요.) 분들이라면, 힘과 체력을 위주로 아이템을 드세요. 간혹 자기는 성기사고 마나 쓴다고 지능 붙은 판금을 입고서 나는 탱커다 하시는 분들 계시는데, 순식간에 차단당합니다. 진짜로. 물론 이건 레벨이 어느정도 높아져서(대충 60대 이후?) 적절한 템세팅 없이 파티플이 힘들어질 때부터입니다. 30이나 40대에는 지능템을 좀 입고 계셔도 크게 문제되진 않을겁니다.

 아, 민첩성이 붙은건 회피 올려줘서 좋지 않느냐고 하시는 분들에게 충고하자면, 조만간 패치돼서 민첩성에 의한 회피율 증가 효과는 사라진다고 하더라고요. 애도를 표합니다.

 

그리고 밑에 적중이니 숙련이니 치명타니 이런게 붙는 아이템을 자주 보게 되실겁니다. 이중에서 치명타 및 주문 극대화 적중도, 가속도 붙은 아이템들은 딜러에게 양보하세요. 탱커에게 위 두 옵션은 효용성이 좋지 않습니다.

탱커가 노려야 하는 옵션은 회피 숙련도, 무기 막기 숙련도, 적중도, 숙련도 이 4가지 옵션(80 이후라면 +특화력으로 5가지)으로 능력치가 구성된 아이템들입니다. 이런 옵션이 붙은 아이템들은 기존 템들과 능력치를 비교해서 입으시면 됩니다.

 

드루이드이시라면 민첩성과 체력을 위주로 아이템을 드시면 됩니다. 성기사와 마찬가지로 지능이나 정신력은 필요없습니다.

드루이드는 도적과 야성 드루이드가 템세팅이 같습니다. 다만 탱커를 하실 분이라면 마법부여나 보석, 장신구에서 세팅차이가 조금 다를 뿐이기 때문에, 민첩가죽 나오면 일단 드시고 보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드루이드는 무기 막기가 없기 때문에, 장신구가 무기 막기 확률을 올려준다면, 차라리 판금딜러를 주세요. 그 딜러가 나중에 자기 옆에서 탱하는 사람이 될수도 있습니다.(물론 같은 서버라면 말이죠.)

 

특성은, 개인 취향에 따라 찍는거니까, 크게 뭐라고 드릴 부분은 없는데, 특성중에 치명타 맞을 확률을 줄여주는 특성은 필수입니다. 나는 탱커다 하시고 이 특성을 빼고 찍으시면, 그냥 잉여가 됩니다. 특성에 모든 포인트를 투자했을 경우, 앉아있을때나, 기공 부작용이 뜨지 않는 이상, 몹을 상대로 치명타를 맞을 확률은 0%이 됩니다.

 

자세하게 어떤 스텟을 어느 수준까지 맞춰야 하는지는 각 직업 게시판에 탱킹으로 검색하시면 대부분 나올겁니다.(죽게는 아예 대문을 참조하셔도 좋고요)

 

3. How to Tanking

 

탱커는 흔히 두가지 상황에 맞닥뜨리게 됩니다.

 

딱봐도 세보이는놈 한두놈과 상대하게 되거나, 별로 안세보이는 놈들(경우에 따라서는 세보일수 있습니다.) 여럿을 상대하거나.

 

한두놈을 상대할때는(어쩌면 한두놈 상대하다가도 볼 수 있을 수도 있습니다.)몹이 자신을 보는데, 여럿을 상대할때는 몹이 나만 보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으실 것입니다.

 

이 이유는 위협 수준(혹은 어그로라고도 합니다.)이라는 것에 있는데요. 몹은 보통 위협수준이 가장 높은 사람을 보고 공격합니다.

이 위협 수준은 몹을 때리거나, 몹과 싸우고 있는 사람에게 이로운 효과를 주면 올라갑니다.

 

하지만, 실전에서는 쪼렙때를 제외하면, 탱커가 딜러보다 더 많은 데미지를 주기란 힘이 듭니다. 그래서, 탱커들에게는 각각 스킬이 있습니다.

 

전사는 방어 태세

성기사는 정의의 격노

드루이드는 곰 형상(사실 드루이드 변신중에는 곰이 가장 튼튼해 보이잖아요. 똥빼미가 더 튼튼하다는 태클은 안받습니다.)

죽음의 기사의 혈기의 형상

 

위 스킬을 활성화 시킨다음에 공격을 하면, 타 딜러에 비해 적은 데미지로도 쉽게 위협 수준을 획득하실수 있습니다. 정의의 격노를 제외한 나머지 3스킬은 방어도 향상 등의 효과도 있으니 탱킹을 한다면 반드시 써야겠죠?

 

그러면 탱커는 위협수준이 넘어가서 몹이 다른 사람을 보면 손을 놓아야 할까요? 그렇진 않습니다. 탱커는 그 몹을 열심히 공격해서 위협수준을 올려서 자신을 보게 만들수도 있고, 도발기를 이용해서 즉시 자신을 보게 만들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때려서 위협수준을 획득하는 것은 그동안 힐러가 탱커보다 물렁한 딜러를 살리기 위해 힐을 해야 한다는 부담감도 있고, 그 사이에 딜러가 죽을 경우도 있습니다.

반면 도발기는 쿨타임이라는게 존재해서 마구잡이로 난사할 수가 없지요.

 

그래서 작은 쫄이 여러마리가 다른 아군을 볼때는 광역 도발기를 사용하거나, 죽음과 부패(쭉음의 기사의 경우 광역 도발기 대신 이 스킬이 있습니다.)를 사용하여 위협수준을 확보하여 다시 자신을 보게 만드시면 되고

큰쫄 한두마리가 아군을 볼때는 재빨리 도발기를 사용하셔서 자신을 보게 하시면 됩니다.

 

 

 

몹이 자신만 때린다면, 아마 탱커가 가장 먼저 죽을겁니다. 하지만, 탱커가 많이맞는다고 해서 찢어지면 그건 탱커가 아니지요. 그래서 탱커들은 탱커마다 생존기라는 것이 존재합니다.(물론 스킬이름이 생존기가 아닌건 아실겁니다.)

생존기는 크게

1.생명력 최대치를 늘려주거나 받는 치유량을 늘려주는 유형

2.받는 데미지 자체를 감소시켜주는 유형

3.무기 막기 확률, 회피율, 방패 막기 성공률 등을 올려주는 유형

 

세 종류로 나눌수 있습니다. 편의상 1,2,3번 유형으로 나누겠습니다.

 

1번 유형의 생존기는 적의 공격력이 갑자기 올라가거나, 힐러가 마나가 적어서 큰힐을 주는게 부담스러울때 사용합니다.

2번 유형의 생존기는 적의 공격력이 갑자기 올라가거나, 힐러가 마나가 바닥나거나, 파티원들 전체적으로 체력이 낮아서 힐러가 탱커 힐에 집중할 수 없을때 돌립니다.

3번 유형의 생존기는 주로 공격이 적중하면 안좋은 경우(적중할때마다 적이 강화되거나, 아군이 약화되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위에 유형별로 사용법을 적긴 했습니다만, 상황에 따라서 유연하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예를 들어서 검은날개 강림지의 키마이론 같은 경우는 공격 한방 한방이 매우 아프기 때문에 1,2번 유형의 생존기보다는 3번 유형의 생존기가 더 큰 위력을 발휘합니다. 특히 이중공격 같은 상황에서는 말이죠.

 

생존기는

안쓰면 바보고

막쓰면 낭비고

적절한 때에 적절한 스킬을 사용하면 고수입니다.

 

아, 생존기는 같이 돌리는 경우 효과가 줄어듭니다.

매 초마다 100씩 20초동안 공격을 받는다고 할때, 두 생존기가 10초동안 데미지를 반감시킨다면

두개를 같이 돌릴경우

10초동안 25데미지를 받고, 남은 10초동안 100의 데미지를 그대로 받으면 1250 데미지를 받지만

두개를 시간에 맞춰서 따로 돌리면

20초 동안 50데미지를 받아서 1000 데미지를 받습니다.

 

물론 상황에 따라서는 모든 생존기를 같이 돌려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예외를 제외하면 위처럼 따로 따로 돌리는게 좋습니다.

 

4. 센스 있는 탱커가 되기 위해선

 

생존기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쿨마다 돌려라

일부 강타구간이 존재하는 적이 아니라면, 생존기는 쿨마다 돌려주시면 좋습니다. 탱커가 생존기를 돌려주면, 힐러는 그만큼 힐 부담이 줄어들고(힐부담이 안줄어들었다면 그건 힐러가 바보인겁니다.) 탱커 자신의 생존률도 올라갑니다.

다만, 몹이 강타구간이 있다면 그 구간에서 생존기를 돌려주시는게 좋습니다.

이때 돌리는 생존기는 보통 쿨다운이 1분인 것을 돌리는게 좋습니다. 3분짜리 생존기는 효과가 좋기 때문에, 위급한 상황을 위해 남겨두도록 합시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어그로를 잡고 나서 머리를 돌려라

일부 몹의 경우는 탱커가 다른 파티원과 같이 맞지 않으면 매우 위험한 스킬들이 있습니다.(소용돌이 누각의 폭풍 새끼용 같은 경우, 혹은 바라딘 요새의 쫄몹, 아즈갈로스 유성베기 등등) 이런 경우에는 파티원들과 뭉쳐서 같이 맞으시는게 좋지만,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머리를 돌려주세요. 몹을 정면에서 상대한다면 몹도 무기 막기를 합니다. 심지어 야드도 못하는 무기 막기를 야수몹이 하는 경우도 있지요. 그래서 딜러들이 몹의 후방에서 공격을 해야하는데, 탱커가 머리를 돌려주면, 딜러들이 멀리 움직일 필요가 없어집니다. 또한, 어떤 보스는 정면을 향해서 광역공격을 하는 경우도 있는데, 탱커가 머리를 돌려주면, 딜러나 힐러들의 이동 없이 최소한으로 데미지를 줄일 수 있습니다.

 

5. 마치며

 

처음에는 글이 길어지지 않을줄 알고, 이펙트도 좀 넣고 썼습니다만, 쓰다보니 한시간 내내 쓰게 되었네요.

 

저는 이 글이 이제 막 탱커를 입문하시는 분들이 부담 없이 도전하셨으면 해서 썼습니다.

 

사실 탱커는 근접딜러의 연장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딜러가 생각해야 하는 딜량 대신에, 자신의 생존과, 위협수준을 생각한다고 보시면 되지요. 그 외에는 다른게 없습니다.

 

사실, 딜러학 개론이나 힐러학 개론도 쓰고 싶긴 하지만, 힐러는 만렙을 찍은게 없어서, 힐러학 개론은 만렙찍은 힐러가 생길때쯤 쓰게 될거 같습니다. 딜러학 개론은 이게 반응이 좋으면 쓰게 될수도 있고요.

Lv76 쿠아곰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와우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