쐐기돌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정보] 쐐기 고단을 트라이 하는 분들을 위한 팁 3(저편)

콧심
댓글: 24 개
조회: 10214
추천: 93
2022-05-11 18:18:13
이전글:


1. 마나스톰 부부 전투 중에 밀하우스와 전투 중이면 밀리피센트가, 밀리피센트가 전투 중이면 마나스톰이 주기적으로 플레이어에게 스킬을 쓰는데, 가장 가까운 사람을 대상으로 합니다. 어느 정도 이하의 단수에서는 크게 치명적이지 않지만 일정 단수 이상에서는 탱커가 비 전투중인 보스와 가장 가깝게 위치해서 탱이 맞아주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2. 학카르 방 가는 길에 위치해 있는 아탈라이 어둠마법 사술사가 사용하는 치유의 물결은 자신의 피통이 40% 이하일 때만 치유의 물결을 사용합니다. 차단이 새면 체력이 100%가 되어버리니 사술사 피통이 반피쯤 되면 차단을 하나씩 들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3. 보통 가면맨 혹은 마동석 이라고 부르는 격노한 영혼은 두개의 스킬을 씁니다. 주변에 바닥을 까는 격노한 가면과 광역데미지를 주는 분노 스킬을 쓰는데, 대부분의 경우에 격노한 영혼을 먼저 씁니다. 그래서 대부분 두번째 순서에 오는 분노에 항아리나 생존기 등을 설계를 하는데, 가끔 분노를 먼저 써서 준비되지 않은 상태로 광역 데미지를 맞아서 전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격노한 영혼이 전투가 시작된 후 2~3초 안에 평타를 때리지 못하면 분노를 먼저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탱커는 격노한 영혼을 풀링 할 때 멀리서 땡기는 것 보다는 가까이 가서 땡기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항아리 범위 등의 이유로 격노한 영혼을 풀링 자리에서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면 한번에 멀리 이동하는 것 보다는 짧게 짧게 끊어서 한 두대씩 맞으면서 이동시키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4. 막넴인 무에젤라는 본페이즈와 사이페이즈가 있는 네임드 입니다. 경화 주간 높은 단수에서는 메카곤 앞 장군 두 마리를 패스하는 경우가 많은데, 만일 1사이페 이후에 2본페이즈가 메카곤 쪽 단상에서 시작되면 장군이 애드가 나서 돌이 박살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사이페이즈 이후에 오는 본페이즈 단상을 유도를 할 수 있습니다. 플레이어를 4개의 그룹으로 찢어서 NW NE SW SE 방향으로 무에젤라의 환영을 처리하러 보내면 두번째 본페이즈는 동서남북 4개의 단상 중 랜덤한 곳으로 가게 됩니다. 그러나 두개의 그룹으로 찢어서 NW와 NE 방향으로 보낸다면 두 번째 무에젤라 본페이즈는 북쪽 단상에서 할 수 있게 됩니다. 사이페이즈에 플레이어가 가는 단상 사이에서 본페이즈를 진행하게 되는 로직이 적용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이를 이용해서 무에젤라를 어느 단상에서 시작하든 안정적으로 막넴을 잡을 수 있습니다.

5. 자이엑사 쪽 가는 길에 있는 스프리건 상처잡이는 1 어글자가 일정거리보다 멀리 있으면 흡수의 아지랑이라는 스킬을 사용해서 파티를 박살 낼 수 있습니다. 탱커는 너무 멀리 드리블 치는 일이 없도록 하면 좋습니다.

6. 자이엑사 쪽 가는 길에 있는 새끼 칼날부리는 전투 개시 후 겁에 질린 울음이라는 스킬을 사용하는데, 캐스팅이 완료가 되면 울부짖어서 시야에 있는 모든 칼날부리를 다 땡겨옵니다. 따라서 근처에 칼날부리가 아무리 많아도 벽이나 지형지물을 이용해 새끼칼날부리의 시야에 칼날부리가 없다면 아무리 울어도 칼날부리들은 오지 않습니다.

7. 자이엑사 쪽 가는 길에 있는 텃세하는 칼날부리는 탱커를 가장 아프게 때리는 몹들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마냥 아프다고 드리블을 일정 시간 이어가게 되면 주변에 있는 근딜들을 때려서 박살내버리는 일이 종종 있습니다. 그러니 아프더라도 7~8초에 한번씩은 몇대 맞아주는 습관을 기르시는게 좋습니다.

8. 많은 분들이 아시겠지만 학카르 가는 길에 처음 만나는 몹 3마리는 도비터가 없어도 벽에 잘 붙어서 가면 패스할 수 있습니다.

9. 메카곤 가는 길에 있는 댕-댕무리에서 워오를 잡고 워오 지속시간 안에 안전하게 석유 3마리 무리까지 패스할 수 있는 시간 마지노선은 댕-댕 무리에서 전투 풀리고 출발하는 기준으로 15초입니다. 

10. 영혼약탈자 학카르가 사용하는 피의 방벽은 도감에 나와있듯이 학카르가 소환하는 쫄에게도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피의 방벽의 쉴드량은 피의 방벽으로 준 데미지에 비례하기 때문에, 피의 방벽때는 뎀감기를 켜주고, 쫄을 최대한 적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 던전은 티르너가 될 예정인데 잠깐 생각해도 티르너는 뭐가 없어서 뭘 써야 할 지 고민이네요 반응 댓글로 남겨주시는 분들 항상 감사드립니다.

Lv30 콧심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와우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