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버>, EMI 전자파 및 컴포넌트의 잡음을 최소화 시키는 PCB 쉴딩과 DTS 커넥터 등이 탑재된 퓨리티 사운드2,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자신의 PC에 실시간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애즈락 클라우드 기능 등이 있다.
내용물을 살펴보면 빠른 설치 가이드, 소프트웨어 설치 가이드, 애즈락 홈클라우드 기술서, 드라이버 DVD, HDD Saver 전원 케이블, SATA3 6Gb/s 케이블, M.2 고정 나사 및 미니 PCIe 고정나사, SLI 브릿지, I/O 쉴드, 메인보드 본체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인텔 LGA 1150 Socket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고 하스웰, 하스웰 리프레시, 5세대 프로세서인 브로드웰을 완벽 지원하고 있다.
8핀 ATX 12V 전원 커넥터
듀얼 채널을 지원하는 4개의 DDR3 슬롯(240Pin)은 최대 32GB 지원, 인텔 익스트림 메모리 프로파일(XMP 1.3/1.2) 지원 한다.
2개 포트 지원이 가능한 USB 3.0 온보드 헤더
오픈 케이스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해주는 온보드 전원 및 리셋버튼
HDD의 전원 상태 관리 및 보안을 위한 HDD Saver 커넥터
메인보드의 작동상태, 오류 등을 코드 정보를 통해 제공하는 Dr. Debug, 디버그 코드는 사용자 매뉴얼에서 안내하고 있다.
2개의 USB 2.0 온보드 헤더(전면 4개의 포트 지원), USB 3.0 온보드 헤더(전면 2개의 포트 지원)
전면 패널 오디오 헤더, COM port 헤더, PCIe 전원 커넥터를 확인할 수 있다.
2개의 PCI-Express 3.0 x16 슬롯과 PCI-Express 2.0 x16 1개, 2개의 PCI-Express 2.0 x1 슬롯, 미니 PCI-Express 등으로 구성 되었으며 뛰어난 확장성과 활용능력을 제공하고 있다.
Z97 Extreme6가 좀 더 특별해 질 수 있는 부분이 바로 스토리지 확장성 부분이라 할 수 있겠다. SATA-Express, e-SATA, M.2, 울트라 M.2, SATA3 6Gbps 등 인터페이스 부분이 다양하기 때문에 뛰어난 확장성과 활용능력을 제공한다. 동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는 제품의 경우 좀 더 뛰어난 성능을 자랑하는 애즈락만의 울트라 M.2만 놓고 보더라고 그 차이점은 명백하다. 30mm, 42mm, 60mm, 80mm, 110mm 5가 타입의 장치를 지원한다.
3세대 듀얼 스택 모스펫(Mosfet)이 적용된 12페이즈 전원부를 확인할 수 있다. 언급했던 것처럼 슈퍼 알로이 설계를 통해 향상된 내구성과 안정성을 제공한다. 3세대 듀얼 스택 모스펫은 확장된 면적으로 낮은 RDS(ON)저항 과 1.2미리옴(㏁)의 DSM에 이르며 효율적인 CPU V코어 전원공급이 가능하다.
메모리 전원부는 애즈락 Extreme 시리즈에 공통적으로 적용된 NexFET 모스펫으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차세대 NexFET 모스펫은 보다 효율적으로 DRAM 슬롯의 전원을 제어하고 더 높은 효율과 더 낮은 온도를 제공하는 2.9㏁의 낮은 RDS를 제공한다.

2개의 CPU 팬 커넥터(4Pin/3Pin)와 1개의 파워 팬 커넥터(3Pin), 3개의 섀시 팬 커넥터(4Pin x1 / 3Pin x1)가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ATA Express를 제외한 10개의 SATA 포트가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ATA3 0~5 까지는 Z97 칩셋에서 네이트브로, SATA3 A1~A4는 ASMedia ASM1061 칩셋에서 지원한다.
클리어 CMOS 점퍼
CR2032 규격의 3V 리튬 배터리는 CMOS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제거시 바이오스가 초기화 된다.
분리 독립 설계된 사운드 부분이 마음에 든다. 현재 출시되는 애즈락 메인보드 대부분에 사용되는 Purity Sound 2가 적용되었다. 온보드 칩셋의 내장 사운드의 경우는 음질에 큰 기대를 할 수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ASRock Extreme6는 칩셋(리얼텍 ALC 1150)위에 노이즈 제거를 위한 금속 덮개 처리를 통해 노이즈를 억제하고 있다. 여기에 사운드 기기 전용 니치콘 파일 골드 캐패시터가 탑재되어 충분히 만족스러운 사운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듀얼 기가비트 이더넷을 지원하기 위해 리얼텍 8111GR과 인텔 WG1218V 칩셋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인텔 Z97 칩셋
메인 바이오스 1개와 백업용 바이오스 1개로 구성된 듀얼 바이오스를 확인할 수 있다. 바이오스 바로 옆에 위치한 바이오스 선택 스위치는 바이오스 A 또는 B를 선택해서 시스템 부팅에 사용할 수 있다. 문제 발생 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영상 출력 단자(DVI-D, HDMI, DP port)와 USB 단자(USB 3.0 x6) 7.1 채널 HD 오디오 단자 듀얼 기가비트 랜포트 등이 위치한 후면 패널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면 USB 3.0 헤더를 담당하는 asmedia ASM1074 칩셋
HDMI 포트의 컨트롤 및 4K 출력을 가능케하는 asmedia ASM1442K 칩셋.
입출력 기기와 하드웨어 각부의 온도를 모니터링 하는 I/O 컨트롤러인 nuvoTon의 NCT6791D 칩셋.

XXL 사이즈의 초대형 알루미늄 합금 히트싱크를 확인할 수 있고 써멀 패드가 부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원부 및 메인보드 칩셋의 과열은 걱정할 필요가 없어 보일 정도로 큰 사이즈를 자랑한다.

싱글코어의 원주율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인 Super PI / mod1.5 XS를 통해 1M 측정이 완료된 시간을 기준으로 비교 제품인 Z97X 보다 0.408초 앞서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세 제품의 경과기간을 비교한 결과 거의 비슷한 속도를 보여주고 있다.
하이퍼스레딩을 지원하는 CPU의 연산속도를 계산하는 wPrime을 통해서 측정된 1024M의 소요시간을 보면 Z97 Extreme6가 가장 빠른 수행능력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Vimark를 통해서 가각의 보드에서 인코딩 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보면 많은 차이는 아니지만 Z97 Extreme6가 가장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외로 타사의 Z97X가 A사의 H97 보다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화질 이미지를 렌더링 하는 CPU의 성능(멀티코어), 고화질 영상의 재생능력을 그래픽카드의 Open GL로 테스트 하는 벤치마크 프로그램인 CINEBENCH로 측정 후 메인보드간 점수를 그래프로 표시했다. 두 프로그램 모두 CPU / Open GL 테스트에서 Z97 Extreme6가 동일하거나(CPU) 앞서고(Open GL)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920 x 1080 해상도에서 진행된 테스트 결과 중에서 그래픽, CPU 물리엔진 점수만을 그래프로 표시했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거의 비슷한 결과 값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Z97 Extreme6가 가장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CPU 물리엔진 점수와 그래픽 점수만을 그래프로 표시한 결과 Z97 Extreme6가 거의 비슷하지만 앞서는 점수를 기록했다.
고성능 게임용으로 두 캐릭터의 결투를 그려낸 FIRE STRIKE를 통해 측정된 결과에서도 세 가지 메인보드 모두 비슷한 수치를 보여줬고 SKY DIVE와 다르게 비교제품과 비슷하거나 앞서는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2560 x 1440으로 보이는데 테스트시 진행된 해상도는 1920 x 1080 해상도로 세 가지 제품 모두 동일한 환경( 영상 품질 LOW)에서 진행되었으며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Z97 Extreme6가 가장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PS 게임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20FPS를 충족시켜야 하는데 평균 17.442를 기록했다.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총 3회에 걸쳐서 반복된 테스트 값 중 그 중간 값을 기준으로 세 가지 메인보드의 평균을 그래프로 표시한 결과 거의 비슷한 FPS를 기록했지만 경쟁사의 제품이 0.3FPS 높게 측정되었다. 사실 비교할 가치도 없이 비슷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1920 x 1080 해상도, 고급 그래픽 옵션에서 ‘Low’를 선택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 10.933의 낮은 프레임을 보여줬다. 그만큼 고사양을 요구하는 게임이다. 세 가지 메인보드 중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1920x1080 해상도에서 동일한 테스트를 거쳐 측정된 결과 값은 평균 19.589로 FPS게임을 원활하게 즐기는데 최소 충족조건인 20FPS에 근접한 수치다. 게임 로딩에 소요된 시간도 만족스럽고 끊김이 없는 부드러운 화면 전환을 경험할 수 있었다. 역시 Z97 Extreme6가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테스트를 통해 총점을 그래프로 표시했다. Z97 칩셋이 적용된 두 제품이 거의 비슷한 수치를 보여줬는데, 이번에는 비교 제품이 약간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결과를 보면 거의 비슷한 점수로 오차범위에 들어가는 성능이다.
복사, 읽기, 쓰기, 지연시간을 그래프로 표시했는데 지연 시간의 경우 수치가 낮을수록 좋고 복사, 읽기, 쓰기의 경우 높을수록 좋다고 하겠다. 이번에는 Z97 메인보드 보다 H97 제품의 복사 속도가 높게 나왔으며 나머지 항목의 대부분 비슷한 수치를 보여줬다. 제품 모두 메모리 성능을 잘 이끌어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4가지 벤치마크 툴을 통해서 측정한 순차 읽기 / 쓰기 속도는 일반 M.2 슬롯에 동일한 SSD를 장착후 측정한 속도 보다 기대 이상의 뛰어난 속도를 보여주고 있다. 순차 읽기 속도가 1000을 넘고 쓰기 속도 또한 800을 넘고 있다. OS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4K 속도는 SSD의 체감속도를 결정하는 요인인데 만족스러운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울트라 M.2 슬롯이 적용된 모델을 왜 구입하고 사용해야 하는지 이유를 분명히 파악할 수 있는 성능을 확인했다.

M.2 슬롯이 아닌 SATA3 6.0Gb/s 포트에 연결 후 CrystalDiskMark를 통해 속도를 측정했다. 기존에 Clean시 측정된 순차 읽기 / 쓰기 속도는 547 / 302 MB/s 였고, Dirty(48%) 상태에서 측정된 속도는 517.1 / 305 MB/s로 측정 되었다. SSD 중에서 만족스러운 속도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애즈락 Z97 Extreme6에 적용된 칩셋은 REALTEK 8111GR 칩셋과 인텔의 WG1218V 칩셋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듀얼 기가비트 랜을 구성하며 Intel® LAN이 제공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하다.랜 칩셋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 업로드 / 다운로드 측정을 통해 테스트 한 결과 94.9Mbps의 만족스러운 속도를 제공하고 있다.
IDLE / LOAD시의 소비전력을 측정한 결과 거의 동일한 수준의 소비전력을 보여주고 있다. 100% 로드시 144W 수준으로 비교 제품 중에서 동급 Z97X 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오버클럭은 프로세서 마다 수율이 다르기 때문에 필자는 번들쿨러 상태에서 전압: 1.21v, 캐시 전압 1.1v, 전력관리 All Off 상태에서 Prime95, LinX 안정화 테스트를 통해 4.200MHz를 통과했다.

두 가지 테스트 항목 모두 오버클럭 전 보다 상당히 높은 수치로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측정되는데 소요되는 시간도 짧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메모리의 경우 램 타이밍 및 전압에 변화를 주지 않고 메모리 내부에 최적의 오버클럭 수치를 저장, 이를 지원하는 메인보드에 장착해 최족의 메모리 속도를 자동 설정해 주는 XMP 기능을 적용 전 / 후의 수치를 비교했다. 물론 복사, 쓰기, 읽기, 지연시간 모두 적용 후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KY DIVER를 통해서 오버클럭 전 / 후의 값을 비교한 결과 CPU 물리처리 성능의 경우 약 11.5% 향상되었고 그래픽 성능의 경우 18.3%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re STRIKE의 경우 CPU 물리처리 점수의 경우 16.5% 향상되었고 그래픽 성능의 경우 18.7%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DD Saver 전원 케이블을 HDD 세이버 스티커를 제거하고 4pin 커넥터를 연결 후 하드디스크와 연결하면 된다. UEFI 바이오스의 도구 탭에서 HDD Saver을 ‘Enable’ 시키고 재부팅하면 자동으로 UEFI로 재진입하며, 장치 검사 후 운영체제로 부팅된다.
운영체제 진입 후 ASRock에서 제공되는 A-Tuning의 Tools 항목에서 ‘HDD Saver’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전원이 OFF 상태이며 <컴퓨터 속성>에서도 하드디스크가 활성화 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ools의 HDD Saver 항목의 전원을 ‘ON’ 시키면 HDD 세이버 커넥터에 연결된 모든 장치가 활성화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개인정보 보호 및 A-Tuning의 HDD Saver 기능을 위해 패스워드가 제공된다. 패스워드는 최대 8자를 지원하며 HDD Power On/OFF의 단축키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고 다음 부팅시 HDD의 전원 상태를 직접 설정할 수 있다.
프리미엄 메인보드 에즈윈 ASRock Z97 Extreme6
프리미엄급 메인보드 답게 스토리지 부분에서도 동급대비 제품 중에서 가장 뛰어난 확장성과 활용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필자가 언급했던 울트라 M.2의 성능만 보더라도 동 가격 제품 군 중에서 ASRock Z97 Extreme6의 성능을 따라올 만한 제품도 없을 것이다. SATA Express를 제외한 10개의 SATA3 포트 또한 확장성 부분에 있어서 부족함이 없는 넉넉함을 제공한다. 사용기를 통해서도 확인했듯이 동급 제품 보다 대부분 앞서는 성능을 보여주고 있고 오버클러킹이나 새롭게 도입된 ASRock 만의 기능 등을 잘 활용해서 사용한다면 일반인 에서부터 헤비 유저까지 만족할 만한 시스템으로 곧 출시될 브로드웰 까지 생각하면 가격대비 이만한 퍼포먼스를 제공하는 메인보드도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