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메인보드] [2부] 인텔 i5 6600K + ASUS Z170 PRO Gaming Review [오버클러킹 & 성능편]

v프링글스v
조회: 6803
2015-09-15 18:27:35

11.JPG

 

 

※ 스크롤의 압박이 상당히 심하기 때문에 페이지 별로 깔끔하게 보실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감상하시길 바랍니다. ^^
 
인텔 i5 6600K + ASUS Z170 PRO Gaming Review
 
 
 
 
 
오버클러킹 & O.C 가이드

 
스카이레이크와 Z170 메인보드가 출시된지 얼마되지 않아서 현재 오버클럭 방법이나 특성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족합니다.
 
과거와는 다르게 오버클럭이 많이 대중화 되었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일반 유저가 접근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영역이기 때문에 오버클럭을 위한 주요 내용들을 간단하게 정리해봤습니다.
 
우선 스카이레이크로 오면서 기존의 하스웰/하스웰 리프레쉬와 어떻게 오버클럭 접근 방식이 달라졌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버클럭을 접근하는 차이점 비교
1.jpg
 
두 프로세서간의 가장 큰 오버클럭 방식의 차이점은 클럭과 전압이 '완전한 비동화 vs 부분적인 비동기화' 의 차이입니다.
 
하스웰/하스웰 리프레쉬에서는 CPU와 Cache 클럭의 비동기화, FIVR의 통합으로 인한 오버클럭 설정 항목의 세분화, Uncore 부분이 완전히 독립된 구조로 따로 일정 수율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오버클럭이 기존보다 상당히 복잡해졌고, 최적의 Input, Cache 전압을 찾기 위해서 상당한 노력과 시간을 들여야 했었습니다.
 
그리고 FIVR로 인한 높은 발열로 인해 오버클럭의 제약도 상당히 심했죠.
 
 
그러나 스카이레이크에서는 FIVR이 제거됨에 따라 샌디/아이비브릿지와 오버클럭 방식이 비슷해져 하스웰 세대보다 오버클럭 난이도가 대폭 쉬워졌습니다.
 
물론 하스웰 세대 처럼 CPU & Cache 클럭은 비동기화 된 상태로 남아있지만, 전압이 동기화 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Uncore 영역의 전압을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구조로 변경되었습니다. 즉, 더이상 최적의 Input, Cache 전압을 찾기 위해서 흰머리 날만큼 고생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입니다. ㅎㅎㅎ
 
 
안정화 특성은 샌디/아이비브릿지와 같이 CPU 전압이 가장 중요해졌고, 오버클럭을 성공하기 위해 메인보드의 능력 또한 매우 중요해졌습니다.
 
메인보드의 능력으로는 안정적이고 정확한 전원 공급을 위해 탄탄하고 품질 좋은 전원부 구성과 제조사의 BIOS 및 O.C 최적화 능력, LLC (Load Line Calibration, 전압 보정) 셋팅이 얼마나 전압 보정을 잘해주느냐의 요소로 볼 수 있습니다.
  
 
스카이레이크에서 오버클럭이 쉬워졌니 마니 백번 천번 설명하는 것 보다 어떻게 하면 쉽고, 효율적으로 오버클럭을 성공할 수 있고, 안정화에 도달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게 백번 천번 낫겠죠? 그래서 오버클럭 방법과 안정화 팁, BIOS 화면을 보면서 셋팅하는 방법에 대해서 핵심적인 내용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카이레이크 CPU 오버클럭과 안정화 방법
- i5 6600K @ 4.5GHz 국민 오버클럭 기준 -
 
1. CPU 오버클럭 전에 메모리 오버클럭을 먼저 하자!
  모든 BIOS 셋팅은 그대로 놔둔채 메모리 클럭 설정 (삼성 DDR4 기준 2666MHz ~ 3000MHz)
 
  메모리 타이밍 설정 (삼성 DDR4 기준 16-16-16-36-AUTO-2T)
  - 부팅이 안될 경우 AUTO를 400 ~ 450 정도로 아주 넉넉하게 풀어주고, 계속 부팅이 안되면 메모리 클럭을 내림
 
  전압: 1.35v 설정 후 차근차근 다이어트
 
  안정화: HyperPI 0.99b 32M 테스트
  - MEMTEST, Prime95, Linx는 HyperPI 보다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비추천
  - HyperPI 연산이 안정적으로 끝나면, 메모리 타이밍 중 DRAM REF Cycle Time (400 ~ 450 부분)을 조금씩 조여줌
  - 이후 전압 다이어트
 
 
2. CPU & Cache 배수 설정, CPU 전압 설정, 최적의 LLC 설정
  메모리 클럭은 기본으로 놔둔채 CPU & Cache 배수 설정, CPU 전압 설정
 
  CPU 배수: 45 배수, Cache 배수: CPU 배수와 2 ~ 4배수 정도 낮게 설정
    (캐쉬 배수를 CPU 배수와 동기화 시킬 경우 상당한 CPU 전압을 요구함)
 
  CPU 전압: i5 6600K 기준 4.5GHz 평균 요구 전압으로 예상되는 1.2x ~ 1.3v 내에서 권장
  - Linx 20회가 돌아가는 최소 CPU 전압까지 다이어트
 
  나머지 전압: AUTO
 
  최적 LLC 설정: ASUS Z170 메인보드는 Level 5 ~ 6이 최적 옵션 (PRO Gaming, Z170-A, Z170-P는 Level 5)
 
  안정화: Linx 20회
  - 일정한 GFlops 값 요구
  - 메모리 8GB 기준: 6144MB ~ 6800MB 사이로 할당 / 메모리 16GB 기준: 12GB ~ 14GB 사이로 할당
 
 
3. CPU 오버클럭 + 메모리 오버클럭 후 안정화
  Linx 20회를 통과하는 CPU 전압 요구량이 달라 질 수 있음 → CPU 전압을 1 스텝씩 높혀줌 (0.005v 단위)
  안정적으로 Linx 20회 통과후, CPU 전압을 1~2 스텝 올려 실사용 하면서 블루스크린이 뜨지 않는다면 그대로 사용해도 무방함 (실사용 테스트는 인코딩을 해보는 것을 적극적으로 추천!)
 
 
※ 전력 관리 옵션 설정
  Intel Speed Step, C-State 는 안정화 전압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전부 비활성화한 상태에서 안정화하는 것을 권장
  실사용시에도 안정적으로 잘 구동이 된다면, Intel Speed Step, C1E 정도만 활성화 시키는 것을 권장
 
 
 
 
안정화 및 블루스크린 코드 대처 방법
 
1. 안정화 테스트 - 메모리 오버클럭
안정화 테스트시 CPU 오버클럭 보다 메모리 오버클럭을 먼저하는 것은 메모리 오버클럭에 의해 CPU 전압 요구량도 달라 질 수 있기 때문이며, 메모리 오버클럭을 나중에 할 경우 오버 실패시 이게 CPU 전압 문제인지, 메모리 전압 문제인지, 메모리 타이밍 문제인지, 아님 세부 전압 문제인지 원인을 파악하기가 힘든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메모리 오버클럭 안정화는 CPU 오버클럭에 비하면 상당히 쉬운편입니다. 어차피 CPU 오버클럭 안정화 테스트를 진행하면서 메모리 오버클럭까지 같이 테스트되기 때문에 메모리 단독으로 오버클럭을 할 때에는 Linx나 Prime95 같이 부하가 매우 심한 안정화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죠.
 
추천하는 프로그램은 HyperPI 0.99b 이며, 32M 테스트를 통해 단시간에 대략적인 메모리 수율과 타이밍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CPU 오버클럭 후 안정화 단계에서의 수율과 거의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적극 권장하는 방법입니다.
 
 
1-0.jpg
 
 
위와 같이 연산값은 '32M' 로 설정, 우선순위는 '높음' 으로 설정 후 시작하시면 됩니다.
 
CPU의 각 스레드를 모두 활용하기 때문에 SuperPI 보다 부하가 더 걸려 에러 검출이 보다 빠른 장점이 있고, 메모리 클럭 및 메모리 타이밍이 파이값 연산에 민감하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단시간 내에 메모리 오버클럭의 수율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2. 안정화 테스트 - CPU 오버클럭
안정화 방법에는 사용자의 오버클럭 경험에 따라 그 방법들이 다 제각각 이지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실사용을 하면서 블루스크린이나 프리징, 재부팅 등의 오버클럭 실패 증상이 발생할 때마다 전압을 조금씩 더 올려주는 것입니다.
 
하지만 자신의 시스템에 맞는 아무런 기준점 없이 처음부터 이러한 방법을 통해 오버클럭을 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안정화 툴을 사용하여 그 기준점을 파악하고, 안정화의 신뢰도를 가지게 되는 것이죠.
 
 
안정화 툴로 가장 많이 쓰이는 프로그램은 단연 Linx와 Prime95가 있습니다. 둘다 장단점이 있지만, 시간 절약의 장점 때문에 Linx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1-1.jpg
 
 
Linx 중 가장 널리쓰이는 버전은 Linx 0.6.4 AVX Edition 입니다.
 
Linx도 AVX2 연산을 지원하는 0.6.5 버전이 있기 때문에 '0.6.5 버전으로 테스트를 해야 완벽한 안정화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아니다 0.6.4 AVX 버전만으로도 충분하다!' 라는 엇갈린 의견들이 많았었습니다.
 
 
오랫동안 오버클럭을 해오면서 느낀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Linx나 Prime95나 그저 어디까지나 '내 시스템에 적합한 오버클럭과 전압의 기준점을 찾는 테스트' 그리고 '실사용시 안정적인 PC 구동이 가능한 100%에 가까운 안정화 신뢰도 수준을 가늠하는 테스트' 인 것이지 100% 안정화라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Linx나 Prime95를 아무리 많은 횟수, 시간을 들여 통과했다고 하더라도 실사용시 블루스크린이 뜨는 경우를 너무나 많이 경험했기 때문입니다.
 
 
Linx 0.6.5의 경우는 AVX2 명령어 연산으로 GFlops 값이 대폭 상승하게 되고, 발열도 월등히 상승하게 됩니다. 물론 스카이레이크에서는 하스웰 보다는 온도가 덜 상승하지만, 높은 온도로 인해 오버클럭 수율을 저평가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Linx로 안정화 테스트는 Linx 0.6.4 AVX Edition 또는 Linx 0.6.4 For Haswell 버전으로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Linx의 메모리 할당은
- 시스템 메모리 8GB 기준: 6144MB ~ 6800MB 사이로 잡아주는 것을 권장
- 시스템 메모리 16GB 기준: 12GB ~ 14GB 사이로 잡아주는 것을 권장
 
 
보통 20회 기준으로 테스트를 진행하며 (더 많은 횟수를 지정해도 무방) GFlops 값이 일정하면, 실사용시에도 상당히 높은 수준의 안정화 신뢰도를 가졌다고 판단하면 되며, 실사용을 하다가 블루스크린이나 프리징, 재부팅의 증상이 발생한다면 CPU 전압을 1 스텝 (0.005v 단위) 씩 올려주면서 실사용하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블루스크린 코드 대처 방법
오버클럭을 하게 되면서 가장 많이 만나게될 블루스크린 코드는 '124''101' 코드입니다.
 
스카이레이크에서는 앞선 오버클럭 접근 방법 차이점 표에서도 정리해놨듯이 어느정도 안정화 수준의 전압에 도달하면, 블루스크린 대신 Linx의 에러만 발생시켜 버립니다.
 
때문에 블루스크린 발생 빈도가 기존 세대들 보다는 현저하게 줄어들었고, 전압 다이어트 및 오버클럭 안정화가 좀 더 수월하게 되었습니다.
 
 
아직 스카이레이크 오버클럭과 블루스크린 대처 방법에 대한 정보가 너무 부족하기 때문에 이번 리뷰를 진행하면서 겪었던 부분에 대해서만 간단히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124 블루스크린 코드
 - 일반적으로는 CPU 전압 부족에 의해 발생
 - CPU와 전원부의 과도한 발열에 의해서도 발생함
 
※ 대처법: CPU 전압을 올려주고, 효과적인 전원부 쿨링을 위한 시스템 내부 쿨링에 좀 더 신경을 써줌
 
 
101 블루스크린 코드
 - CPU 배수 대비 너무 낮거나 혹은 너무 높은 Cache 배수 설정 (적정 배수는 CPU 배수보다 2~4 배수 정도 낮게 설정)
 - CPU 전압 부족 (즉, Cache 전압 부족) 에 의해 발생
 
※ 대처법: CPU 배수 대비 적절한 Cache 배수 설정, CPU 전압을 올려줌
 
 
124 블루스크린 코드나 101 코드나 공통 대처법은 'CPU 전압을 좀 더 올려주는 것'이고, 샌디/아이비브릿지 세대의 블루스크린 대처 방법과 거의 동일하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어때요~ 아주 간단하쥬~? ㅎㅎㅎ
 
 
 
 
ASUS Z170 Series O.C Guide ( i5 6600K @ 4.5GHz 국민 오버클럭 기준)
 
지금부터 작성되는 오버클럭 가이드는 오버클럭에 대해 어려워하는 초보 유저분들을 위해 참고가 될 수 있도록 작성하였으며, 테스트에 사용된 시스템에 국한된 설정값이기 때문에 반드시 앞서 설명한 오버클럭 방법과 안정화를 거쳐 개개인의 시스템에 적합한 오버클럭 설정값을 찾아야 됩니다.
 
왜냐하면 오버클럭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CPU 뽑기! 즉, CPU 수율이며, 기타 메인보드 수율, 메모리 수율도 영향을 많이 미치기 때문에 개개인의 시스템 마다 오버클럭을 성공할 수 있는 한계와 편차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따라서 이 오버클럭 가이드는 어떤 것들을 설정해야 되는지에 대해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 세부 전압 옵션을 제외하고는 ASUS Z170 Series의 오버클럭 메뉴 구성이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ROG 시리즈나 Signature 시리즈 사용자들도 충분히 참고하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2.jpg
 
전력 관리 옵션을 제외한 모든 오버클럭 설정은 'Ai Tweaker' 에서 할 수 있습니다.
 
Ai Overclock Tuner: AUTO 또는 Manual (X.M.P 지원 메모리 사용시 X.M.P 옵션 활성화)
Manual 설정시 BCLK 주파수 설정 부분이 활성화되며, AUTO로 설정하여도 BCLK는 100.00MHz로 고정되기 때문에 기본값으로 두어도 무방함
 
ASUS MultiCore Enhancement: Disabled
배수 오버클럭이 불가능한 Non-K 버전에서 터보부스트의 최대 배수를 유지시켜주는 기능으로 오버클럭시 비활성화
 
CPU Core Ratio: Sync All Cores, 45 배수 설정
모든 코어에 동일한 배수를 설정할 수 있도록 Sync All Cores 옵션을 선택한 후 45 배수 설정
 
 
3.jpg
 
DRAM Frequency: 2666MHz ~ 3000MHz
뒤에 이어질 성능 테스트에서는 삼성 DDR4 4G x 2의 구성으로 테스트를 하였고, 오버클럭은 8G x 2의 구성으로 테스트를 진행하였는데 용량에 관계없이 두 구성 전부 3000MHz 오버클럭이 가능하였습니다. 물론 제품마다 편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자신의 시스템에 적합한 메모리 클럭을 찾아 설정하시면 됩니다.
 
TPU: Keep Current Settings
TPU1은 AIR, TPU2는 Water 쿨링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자동 오버클럭 튜닝을 진행합니다. 일반적인 수동 오버클럭을 위해서는 Keep Current Settings 을 그대로 유지
 
CPU SVID Support: Disabled
CPU와 메인보드의 PWM 컨트롤러 (DiGi+ VRM) 사이의 전력 공급 및 CPU VID 전압 관리를 하는 기능으로 오버클럭시 비활성화
 
 
4.jpg
 
DRAM Timing Control: 삼성 DDR4 기준 2666MHz 이상 클럭에서 권장 타이밍은 16-16-36-AUTO-2T
메모리 오버클럭의 경우 사용자의 메모리 모듈 특성에 따라 타이밍 셋팅도 달라지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설정을 해주시길 바라며, 높은 메모리 클럭을 위해서는 DRAM REF Cycle Time을 300ns 이상 풀어주어야 합니다. (400 ~ 450ns 정도로 아주 넉넉히 풀어주었다가 타이밍을 조여나가는 것을 추천)
5.jpg
 
CPU Load-line Calibration: Level 5 (아래의 표 참고)
ASUS Z170 메인보드는 Level 5 ~ 6 이 최적의 LLC 설정값
 
CPU Power Duty Control & CPU Power Phase Control: Extreme 또는 AUTO  
더욱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서 Extreme 설정을 권장하며, 4.5GHz 오버클럭시에는 기본값으로 설정해도 무방합니다. 그러나 4.7GHz 이상 고클럭 또는 Extreme 오버클럭시에는 더욱 높은 전력과 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해야 되기 때문에 Extreme 설정은 필수
 

※ LLC 설정에 따른 CPU 전압 변동 및 최적의 LLC 옵션
6.jpg
 
7.jpg
 
 
 
8.jpg
 
위 네모칸의 항목들은 전력 한계치를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풀로드시 설정된 한계치 보다 소비전력을 초과하게 되면, 배수하락 (쓰로틀링) 이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4.5GHz 오버클럭과 같이 일반적인 오버클럭시에는 제조사 기본값으로 두는 것을 권장하며, 고클럭 오버클럭시에는 풀로드시 소비전력을 고려하여 넉넉하게 설정해주는 것이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9.jpg
 
CPU Cache Ratio: 41 ~ 43 배수 설정
Cache 배수는 CPU 배수 보다 2 ~ 4배수 낮은 설정을 권장, CPU 배수와 Cache 배수의 차이가 적어질 수록 CPU 전압 요구량이 높아짐
 
 
10.jpg
 
CPU Core/Cache Voltage: Manual Mode 권장, 자신의 CPU에 맞는 최적의 전압값을 설정
전압 모드 설정에는 AUTO / Manual Mode / Offset Mode / Adaptive Mode 가 있습니다.
 
Offset Mode 와 Adaptive Mode는 IDLE 시 CPU 전압과 클럭을 다운시켜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전압이 유동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Manual Mode로 오버클럭을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DRAM Voltage: 자신의 메모리에 맞는 최적의 전압값을 설정
팁이라면 1.35v 설정 후 최대 메모리 오버클럭을 하고, 메모리 타이밍 조이기 및 전압 다이어트를 하는 방식을 권장
 
 
11.jpg
 
Intel Speed Step & CPU C-State: Disabled
전력관리 기술은 안정화 전압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안정화 테스트 단계에서는 전부 비활성화 시키는 것을 권장
 
 
 
4.5GHz OverClocked
12.jpg
 
가장 널리쓰이는 안정화 툴인 Linx로 에러없이 20회 완주한 모습입니다. (실내온도 26도 기준) GFlops 값도 일정하게 아주 잘 나와주었군요.
 
 
Linx로 안정화 테스트시 중요한 점은 GFlops 값이 일정해야 된다는 것입니다. (오차범위 ±1 정도)
 
Linx를 20 ~ 50회 통과하거나 Prime95 (v28.x 버전 권장)를 4시간 이상 통과를 했다고 해서 완벽하게 실사용 환경에서도 에러없이 잘 돌아가는 것은 아닙니다.
 
CPU에 극한의 부하를 주어 100%에 근접하는 상당히 높은 확률의 안정성이 확보되었다는 것을 의미하지 100% 완벽하게 안정화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진 않습니다.
따라서 안정화 테스트 후 실사용을 하면서 에러가 발생할 때에는 추가적으로 CPU 전압을 조금씩 더 올려주면서 사용하면 됩니다.
 
 
4.7GHz Settings & OverClocked
13.jpg
 
14.jpg
 
4.5GHz에서 추가적으로 CPU 전압만 더 올려주어 손쉽게 4.7GHz 오버클럭을 달성
 
 
 
 
 
성능 테스트

 
Test System & Settings
1.jpg
 
성능 테스트에 사용된 시스템 정보와 클럭 설정입니다.
 
4/8 스레드 CPU인 4790K이 포함되어 있어서 기본클럭은 각각의 CPU 최대 터보부스트 클럭으로 고정하였고, 4790K는 하이퍼스레딩을 OFF 시켜 4690K와 동일하게 셋팅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CPU 성능 테스트
연산 - wPrime v2.10
2.jpg
 
3.jpg
 
 
 
메모리 - AIDA64 Cache & Memory Benchmark
4.jpg
 
5.jpg
 
6.jpg
 
 
 
랜더링 - CineBench R15
7.jpg
 
8.jpg
 
 
 
압축 - 7 Zip x64
9.jpg
  
 
 
인코딩 - HandBrake x64
10.jpg
  
 
 
게임 물리 연산 - 3DMARK 11 & 3DMARK Fire Strike Physics
11.jpg
 
 
 
게이밍 성능 테스트
3DMARK 11 그래픽 스코어
12.jpg
 
 
 
3DMARK Fire Strike 그래픽 스코어
13.jpg
 
 
 
Grand Theft Auto V
14.jpg
 
※ 그래픽 옵션은 쿨엔조이 GTA V 벤치마크 옵션을 그대로 적용
15.jpg
  
 
 
The Witcher 3: Wild Hunt
16.jpg
 
 
 
 
성능 테스트 결과 정리
17.jpg
 
18.jpg
 
 
성능 결과에 대해서는 위의 정리표를 참고하시길 바라며 아주 간단히 요약하자면,
 
CPU 성능: 기본클럭에서 뿐만아니라 동클럭에서도 이전 세대 대비 확실한 성능 향상이 있으며, 특히 랜더링과 인코딩에서 엄청난 성능 향상을 보여주고 있음. 또한, 3DMARK Fire Strike 피직스 연산에서의 성능 향상도 상당히 인상적인 부분.
 
게이밍 성능: 외장그래픽 사용시 CPU 의존도가 높은 게임에서는 큰 폭은 아니지만 어느정도 성능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겠으며 (온라인 게임 포함), 그 외에는 GPU 파워가 게임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실상 성능 향상은 미비한 수준
 
 
'하스웰/하스웰 리프레쉬 사용자 보다는 샌디/아이비브릿지 유저들이 진지하게 고민해봐도 괜찮을만큼의 성능 향상!'
 
 
 
 
 
온도 & 소비전력 테스트

 
온도 테스트
1.온도측정.jpg
 
온도 테스트에는 가장 널리 쓰이는 RealTemp 3.70을 사용하였으며, 가장 높은 온도가 기록되는 Package 온도를 측정하였습니다.
 
 
2.jpg
 
  
온도 테스트 결과
 
메인보드마다 기본전압을 잡는 것이 다 다르기 때문에 3570K의 기본전압 1.09v에 맞춰 전압을 고정하고 온도를 측정하였습니다.
 
6600K는 샌디브릿지 처럼 따로 솔더링 방식으로 IHS (뚜껑) 를 결합한 것도 아닌데 온도가 정말 압도적이군요. 또한, 4.5GHz 오버클럭시 1.24v 로 비교군 중 가장 높은 전압을 주었음에도 풀로드시 온도는 가장 낮은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정말 좋군요!!! 
 
참고로 테스트된 3570K는 온도와 수율이 상당히 좋은 편에 속하는 CPU이고, 4790K의 경우 평균치 보다는 좀 더 상위급의 온도와 수율을 가진 CPU 입니다. 이를 감안하더라도 6600K가 상당히 좋은 온도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서 14nm 제조 공정 및 FIVR이 제거된 위력을 확실히 느낄 수 있었습니다. 
 
CPU 온도는 제품마다 편차가 다 다르기 때문에 이 결과는 그저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데빌스캐년 지못미~ ㅠㅠ
 

 
 
소비전력 테스트
3.소비전력 측정.JPG
 
소비전력 테스트는 인스펙터2 SE로 측정하였으며, 성능 측정 동안에 최소/최대 소비전력값을 평균내어 기록하였습니다. 소비전력 수치는 시스템 전체 소비전력에 해당합니다.
 
 
4.jpg
 
5.jpg
 
 
소비전력 테스트 결과
 
CPU의 TDP 스펙은 3570K - 77W, 4790K - 88W, 6600K - 91W로 6600K가 가장 높습니다.
 
기본클럭에서 1.09v의 동일 전압으로 고정을 하고 소비전력을 측정한 결과나 오버클럭시에나 모두 6600K의 소비전력이 비교군 중 가장 우수했습니다. 
 
소비전력에는 기본적인 TDP 스펙 뿐만아니라 '발열''누설 전류', '전력 효율'도 함께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스카이레이크에서 FIVR이 제거되었지만 하스웰 아키텍처 만큼이나 전력 효율에 상당히 신경을 썼다고 볼 수 있겠으며, 14nm 제조 공정으로 누설 전류를 더욱 개선하고, 낮아진 발열과 함께 전체적으로 불필요한 소비전력이 줄어들었다고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사용 총평

 
1.JPG
 
2.jpg
 
3.JPG
 
4.JPG
 
5.JPG
 
6.JPG
 
7.JPG
 
8.JPG
 
9.JPG
 
10.jpg
 
11.JPG
 
12.jpg
 
 
지금까지 ASUS Z170 PRO Gaming 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ASUS Z170 PRO Gaming을 사용하면서 가장 처음 느낀점은 '이게 ROG인가 아닌가?' 착각이 들 정도로 ROG 시리즈와 매우 흡사하다는 것이었습니다.
 
비록 ROG의 상징적인 외형과 포스는 느낄 수 없었지만, 하드웨어 기능과 구성 / 유틸리티 / BIOS 화면까지 ROG 시리즈에 특화된 기능과 장점을 많은 부분 적용하고 있어서 마치 내가 고급형의 ROG 시리즈 메인보드를 사용하는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블랙 PCB와 검/빨 색상의 방열판 디자인으로 고급스러운 외형 갖춤
8+2 페이즈의 전원부와 Low RDS(On) 모스펫, 일제 블랙 캐패시터를 적용하여 탄탄한 전원부를 구성함으로써 오버클럭시 더욱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
 

오버클럭을 위한 BIOS의 메뉴 구성 및 최적화가 매우 잘되어 있음
SATA Express, M.2 슬롯, USB 3.1 Type A & C 모두 지원 등 차세대 저장 장치 인터페이스를 모두 지원
 
하드웨어의 능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유틸리티의 구현 및 하드웨어와의 연계성
세심한 부분에서도 사용자를 위한 배려와 뛰어난 사용자 편의성
 
오디오부, 모델 네이밍 부의 레드 LED 지원으로 시각적으로 뛰어난 튜닝 효과 제공
완벽에 가까운 높은 완성도
 
 
ASUS Z170 PRO Gaming 왈: '나는 왜 ROG가 아닌것인가? ㅠㅠ'
  
 
 
Z170 PRO Gaming이 포지션은 메인스트림급이지만, 강력한 하드웨어 구성, 모든 차세대 저장 장치 인터페이스 지원, 레드 LED를 통한 시각적으로 뛰어난 튜닝 효과를 제공하면서도 ROG 시리즈에 특화된 강력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PRO Gaming 시리즈만의 최고의 강점입니다.
 
즉, 중급 ~ 중고급형 모델들이 포진한 메인스트림급에서 ROG 시리즈에 특화된 강력한 기능들을 더 다수의 유저들이 경험할 수 있도록 보급화 시킨 모델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하드웨어의 능력을 100%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완성도 높은 유틸리티의 구현과 하드웨어와의 긴밀한 연계성, 뛰어난 사용자 조작 편의성은 타 제조사와는 차원을 달리하는 수준이며, CPU Installation Tool Kit과 같은 세심한 부분에서도 사용자를 배려하는 요소는 분명 ASUS 메인보드에서만 제공되는 차별화된 장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ASUS는 어떻게 하면 자사의 제품을 더 가치있게 하고, 높은 사용자 만족도를 이끌어 낼 수 있는지 잘 아는 것 같습니다.
 
주요 메인보드 4사 (ASUS, GIGABYTE, ASRock, MSI) 중 ASUS가 단연 NO.1 메인보드 업체이긴 하지만, 하스웰 세대 부터 메인보드의 품질은 이미 상향 평준화가 되었기 때문에 더이상 하드웨어의 기술력과 품질만으로는 차별화 될 수 없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그러한 점에서 ASUS 만의 차별화된 강력한 기능, 완벽에 가까운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간의 연계성, 사용자 편의성, 세심한 부분에서도 사용자를 배려하는 유저 친화적인 요소들은 분명 사용자에게 더욱 매력적이고, 가치있는 부분으로 어필할 수 있으며, 스카이레이크 프로세서의 강력한 성능과 함께 더 쾌적하고, 더 높은 사용자 만족도를 느낄 수 있게 해줄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것이 바로 ASUS의 퀄리티! 진리의 ASUS ! 라는 말을 세삼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던.....'
 
 
 
스카이레이크 오버클럭과 ASUS Z170 메인보드 사용자, 앞으로 구매를 염두해두고 있는 모든 분들에게 이 리뷰가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고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이상으로 인텔 i5 6600K + ASUS Z170 PRO Gaming Review 를 모두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스크롤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읽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감사합니다. _(_ _)_ 꾸벅~
 
 

 

 
 
 
 
※ 이 리뷰는 STCOM & 파코즈를 통해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
 
 
 
키워드: ASUS Z170 PRO Gaming, ASUS 메인보드, Z170 메인보드, PRO Gaming 시리즈, 인텔 스카이레이크 프로세서, 인텔 I5 6600K, 스카이레이크 오버클러킹, STCOM
 
 
 
 
 

Lv48 v프링글스v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