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보드의 작동상태, 오류 등을 코드 정보를 통해 제공하는 Dr. Debug, 디버그 코드는 사용자 매뉴얼에서 안내하고 있다.
HDD의 전원 상태 관리 및 보안을 위한 HDD Saver 커넥터
파워 LED 헤더, 전면 패널 헤더, 섀시 스피커 헤드, 2포트 지원이 가능한 전면 USB 2.0 헤더 x 2개를 확인할 수 있다.
클리어 CMOS 점퍼, 파월 팬 커넥터, COM 포트 헤드가 위치하고 있다.
3개의 PCI-Express 3.0 x16 슬롯과 3개의 PCI-Express 2.0 x1 슬롯으로 구성 되었으며 뛰어난 확장성과 활용능력을 제공하고 있다. 메모리 슬롯과 동일하게 확장슬롯과 카드가 접촉되는 금속 부분에 15미크로(μ) 금도금이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Z87 보다 Z97 칩셋이 적용된 메인보드가 좀 더 특별한 이유는 신 기술이 접목된 스토리지 확장성 부분이라 할 수 있겠다. SATA-Express, M.2, SATA3 6Gbps 등 인터페이스 부분이 좀 더 다양해졌기 때문에 Z87 대비 뛰어난 확장성과 활용능력을 제공한다.
3세대 듀얼 스택 모스펫(Mosfet)이 적용된 12페이즈 전원부를 확인할 수 있다. 언급했던 것처럼 슈퍼 알로이 설계를 통해 향상된 내구성과 안정성을 제공한다. 3세대 듀얼 스택 모스펫은 확장된 면적으로 낮은 RDS(ON)저항 과 1.2미리옴(㏁)의 DSM에 이르며 효율적인 CPU V코어 전원공급이 가능하다.
메모리 전원부는 애즈락 Extreme 시리즈에 공통적으로 적용된 NexFET 모스펫으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차세대 NexFET 모스펫은 보다 효율적으로 DRAM 슬롯의 전원을 제어하고 더 높은 효율과 더 낮은 온도를 제공하는 2.9㏁의 낮은 RDS를 제공한다.
2개의 CPU 팬 커넥터(4Pin/3Pin)와 2개의 섀시 팬 커넥터(3Pin), 1개의 파워 팬 커넥터, 1개의 섀시 팬 커넥터(4Pin)가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ATA Express를 제외한 8개의 SATA 포트가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ATA3 0~5 까지는 Z97 칩셋에서 네이트브로, SATA3 A0~A1는 ASMedia ASM1061 칩셋에서 지원한다.
클리어 CMOS 점퍼
CR2032 규격의 3V 리튬 배터리는 CMOS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제거 시 바이오스가 초기화 됨
Z97 Extreme6와 마찬가지로 분리 독립 설계된 사운드 부분이 마음에 든다. 현재 출시되는 애즈락 메인보드 대부분에 사용되는 Purity Sound 2가 적용되었다. 지금까지 온보드 칩셋의 내장 사운드의 경우는 음질에 큰 기대를 할 수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ASRock Extreme4는 칩셋(리얼텍 ALC 1150)위에 노이즈 제거를 위한 금속 덮개 처리를 통해 노이즈를 억제하고 있다. 여기에 사운드 기기 전용 니치콘 파일 골드 캐패시터가 탑재되어 충분히 만족스러운 사운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인텔 WG1218V 칩셋이 적용된 기가비트 랜 10/100/1000 Mb/s를 확인할 수 있다.
인텔 Z97 칩셋
메인 바이오스 1개와 백업용 바이오스 1개로 구성된 듀얼 바이오스를 확인할 수 있다. 바이오스 바로 위에 위치한 바이오스 선택 스위치는 바이오스 A 또는 B를 선택해서 시스템 부팅에 사용할 수 있다.
일반 캐패시터(10,000시간) 대비 12,000시간의 뛰어난 내구성을 자랑하는 일본산 백금 캐패시터(Nichoicon 12K Platinum Caps)가 적용되었다.
다양한 영상 출력 단자(D-Sub, DVI-D, HDMI, DP port)와 USB 단자(USB 3.0 x6) 7.1 채널 HD 오디오 단자, 기가비트 랜포트 등이 위치한 후면 패널부를 확인할 수 있다. .
후면에 위치한 2개의 USB 3.0을 담당하는 ASM1042AE 칩셋
HDMI 포트의 컨트롤 및 4K 출력을 가능케하는 asmedia ASM1442K 칩셋.
입출력 기기와 하드웨어 각부의 온도를 모니터링 하는 I/O 컨트롤러인 nuvoTon의 NCT6791D 칩셋.
XXL 사이즈의 초대형 알루미늄 합금 히트싱크를 확인할 수 있고 써멀 패드가 부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원부 및 메인보드 칩셋의 과열은 걱정할 필요가 없어 보일 정도로 큰 사이즈를 자랑한다.
ASRock Z97 Extreme4의 성능을 테스트 하는데 있어서 동일 칩셋이 적용된 Z97 비교제품 하나와 H97 칩셋이 적용된 타 제조사 제품, 이전에 언급했던 Z97 Extreme6를 언급하기로 하겠다. 측정된 값의 신뢰도와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메인보드를 제외한 나머지 장치 및 운영체제는 동일하게 적용되었으며 벤치마크 도구 및 게임의 옵션 또한 동일하다. 하지만 테스트에 사용된 도구 및 시스템 환경에 차이가 있으므로 100% 신뢰할 수 없으며, 사용자의 시스템과 비교 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싱글코어의 원주율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인 Super PI / mod1.5 XS를 통해 1M 측정이 완료된 시간(70.138s)을 기준으로 세 제품의 경과기간을 비교한 결과 거의 비슷한 속도를 보여주고 있다. 어느 제품이 앞선 성능을 보인다고 할 수 없으며 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하이퍼스레딩을 지원하는 CPU의 연산속도를 계산하는 wPrime을 통해서 측정된 1024M의 소요시간을 보면 Z97 Extreme6에 이어 Z97 Extreme4가 가장 빠른 수행능력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인코딩은 프로세서의 성능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보기가 되며, 프로세서의 성능에 따라서 인코딩 속도가 다르게 측정된다. Vimark를 통해서 각각의 보드에서 인코딩 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보면 많은 차이는 아니지만 Z97 Extreme6가 가장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Z97 Exterme4의 경우도 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두 프로그램 모두 CPU / Open GL 테스트에서 만족스러운 점수를 보여주고 있다. 각각의 점수 차는 거의 차이가 없을 정도로 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1920 x 1080 해상도에서 진행된 테스트 결과 중에서 그래픽, CPU 물리엔진 점수만을 그래프로 표시했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거의 비슷한 결과 값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Z97 Extreme4가 가장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PU 물리엔진 점수와 그래픽 점수만을 그래프로 표시한 결과 Z97 Extreme4가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고성능 게임용으로 두 캐릭터의 결투를 그려낸 FIRE STRIKE를 통해 측정된 결과에서도 세 가지 메인보드 모두 비슷한 수치를 보여줬고 SKY DIVER와 동일하게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1920 x 1080 해상도로 세 가지 제품 모두 동일한 환경( 영상 품질 LOW)에서 진행되었으며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Z97 Extreme4가 가장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PS 게임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20FPS를 충족시켜야 하는데 평균 17.467을 기록했다.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총 3회에 걸쳐서 반복된 테스트 값 중 그 중간 값을 기준으로 세 가지 메인보드의 평균을 그래프로 표시한 결과 11.4 FPS로 Z97 Extreme6와 동일한 측정치를 보여줬다. 성능 상으로는 대부분 비슷하다.
1920x1080 해상도에서 동일한 테스트를 거쳐 측정된 결과 값은 평균 20.444로 FPS게임을 원활하게 즐기는데 최소 충족조건인 20FPS를 넘겼다. 게임 로딩에 소요된 시간도 만족스럽고 끊김이 없는 부드러운 화면 전환을 경험할 수 있었다. Z97 Extreme6 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1920 x 1080 해상도, 고급 그래픽 옵션에서 ‘Low’를 선택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 11.344의 낮은 프레임을 보여줬다. 그만큼 고 사양을 요구하는 게임이다. 네 가지 메인보드 중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원활한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는 그래픽카드 추가는 필수인 것 같다.

일반가정 사용자를 위한 일반적인 작업을 반영하는 테스트를 통해서 성능을 측정했는데 테스트에 사용되는 요소는 홈 웹, 브라우징, 게임, 사진 편집, 비디오 채팅의 워크로드를 포함하고 있다. 테스트를 통해 총점을 그래프로 표시했다. 9 시리즈 칩셋이 적용된 제품들 모두 거의 비슷한 수치를 보여줬는데, 이번에는 비교 제품이 약간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결과를 보면 거의 비슷한 점수로 오차범위에 들어가는 성능이다.
메모리 벤치마크 도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 값은 총 5회에 걸쳐서 진행되었다. 읽기, 쓰기, 복사, 지연시간을 그래프로 표시했는데 지연 시간의 경우 수치가 낮을수록 좋고 읽기, 쓰기, 복사의 경우 높을수록 좋다. 제품 모두 비슷한 수치로 정상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고 Z97 Extreme4 또한 비교 제품들과 거의 비슷한 수치로 높거나 비슷한 수치를 보여준다.
4가지 벤치마크 툴을 통해서 측정한 순차 읽기 / 쓰기 속도는 일반 SATA 6Gb/s SSD를 장착후 측정한 속도 보다 기대 이상의 뛰어난 속도를 보여주고 있다. 순차 읽기 속도가 777.5MB/s, 쓰기 속도 또한 699.8의 놀라운 속도를 보여줬다. OS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4K 속도는 SSD의 체감속도를 결정하는 요인인데 만족스러운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PCIe Gen2 x1 M.2의 대역폭을 지원할 만한 M.2 SSD가 보급화 되면 Z97 메인보드의 장점이 더욱 부각될 것이다.
기존에 Clean시 측정된 순차 읽기 / 쓰기 속도는 547 / 302 MB/s 였고, Dirty(49%) 상태에서 측정된 속도는 522.3 / 304 MB/s로 측정 되었다. SSD 중에서 만족스러운 속도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족할 만한 수준의 성능을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애즈락 Z97 Extreme4에 적용된 칩셋은 인텔의 WG1218V 칩셋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가비트 랜(10/100/1000Mb/s)이며 Intel® LAN이 제공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랜 칩셋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 업로드 / 다운로드 측정을 통해 테스트 한 결과 다운로드 94.9Mbps, 업로드 95Mbps의 만족스러운 속도를 제공하고 있다.
IDLE / LOAD시의 소비전력을 측정한 결과 비교제품 들 모두 거의 동일한 수준의 소비전력을 보여주고 있다. 100% 로드시 144W 수준으로 거의 비슷하다.
오버클럭은 프로세서 마다 수율이 다르기 때문에 필자는 번들쿨러 상태에서 전압: 1.21v, 캐시 전압 1.1v, 전력관리 All Off 상태에서 Prime95, LinX 안정화 테스트를 통해 4.200MHz를 통과했다.
CINEBENCH RELEASE 11.5 / CINEBENCH R15 테스트를 통해 오버클럭 전 후의 값을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다. 두 가지 테스트 항목 모두 오버클럭 전 보다 상당히 높은 수치로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측정되는데 소요되는 시간도 짧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메모리의 경우 램 타이밍 및 전압에 변화를 주지 않고 메모리 내부에 최적의 오버클럭 수치를 저장, 이를 지원하는 메인보드에 장착해 최족의 메모리 속도를 자동 설정해 주는 XMP 기능을 적용 전 / 후의 수치를 비교했다. 쓰기를 제외한 읽기, 복사, 지연시간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KY DIVER를 통해서 오버클럭 전 / 후의 값을 비교한 결과 CPU 물리처리 성능의 경우 약 9% 향상되었고 그래픽 성능의 경우 17.9%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re STRIKE의 경우 CPU 물리처리 점수의 경우 19.5% 향상되었고 그래픽 성능은 오버클럭 전 보다 16.8%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DD 세이버 기능은 쉽게 말해 HDD의 전원을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OS 상에서 손쉽게 On/Off 시킬 수 있는 기능이다. 뿐만 아니라 개인정보가 담긴 HDD의 데이터 및 자료 유출을 예방할 수 있고 사용자의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HDD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전원을 OFF 시키면 에너지 절감 및 하드디스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을 내재하고 있다.
HDD Saver 전원 케이블을 HDD 세이버 스티커를 제거하고 4pin 커넥터를 연결 후 하드디스크와 연결하면 된다. UEFI 바이오스의 도구 탭에서 HDD Saver을 ‘Enable’ 시키고 재부팅하면 자동으로 UEFI로 재진입하며, 장치 검사 후 운영체제로 부팅된다.
운영체제 진입 후 ASRock에서 제공되는 A-Tuning의 Tools 항목에서 ‘HDD Saver’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전원이 OFF 상태이며 <컴퓨터 속성>에서도 하드디스크가 활성화 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ools의 HDD Saver 항목의 전원을 ‘ON’ 시키면 HDD 세이버 커넥터에 연결된 모든 장치가 활성화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활성화 하는데 시간이 소요된다.)
개인정보 보호 및 A-Tuning의 HDD Saver 기능을 위해 패스워드가 제공된다. 패스워드는 최대 8자를 지원하며 HDD Power On/OFF의 단축키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고 다음 부팅시 HDD의 전원 상태를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일반 사용자부터 헤비 유저까지 모두를 만족시키는 ASRock Z97 Extreme6
메인보드 선택 시 개인의 목적에 부합 되는지가 고려해야 할 첫 번째 기준이라고 한다면 이제는 일반인들도 부담 없이 하이엔드 급 메인보드의 성능을 경험할 수 있는 가격대로 오버클럭에 도전할 수 있는 안정성을 제공하고 다양한 확장성과 애즈락 만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술들을 경험할 수 있게 되었다.
Z97 Extreme4는 슈퍼 알로이 설계를 통한 12 페이즈의 전원부 구성과 12K Platinum Capacitor, 듀얼 스택 모스펫 적용으로 오버클러킹 환경에서 높은 안정성과 내구성을 제공하며, 1920 x 1080 해상도의 가독성이 좋은 UEFI 바이오스를 통해 좀 더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는 환경도 제공한다. 여기에 듀얼 바이오스 기능도 탑재되어 메인 바이오스에 문제가 발생하면 백업 바이오스로 복구가 가능 한 것도 장점 중 하나라고 할 수 있겠다.
조금 더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는 Z97 칩셋 메인보드를 사용하고 싶지만 금액 적으로 부담되어 업그레이드를 망설이거나 새로운 시스템 구성을 계획했던 사용자라면 필요한 기능과 성능만으로 무장한 Z97 Extreme4를 통해 하이엔드 급 메인보드의 퍼포먼스를 경험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내년에 출시하게 될 ‘브로드웰’ 까지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하스웰 / 하스웰 리프레시의 성능을 먼저 만끽해 보는 것도 좋은 선택이라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