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조 : 1위 ROX, 2위 G2
키포인트 : ROX가 패배를 하느냐, 와카가 얼마나 고춧가루를 뿌려주느냐
A조는 꿀조인만큼 예측도 쉽다. 일단 가장 최근의 대회인 서머 시즌에서의 폼, 평소의 기량들을 전부 합쳐봤을때 락스를 쉽게 꺾을 팀은 A조에 단연코 없다. 특히 언제나 락스의 캐리롤을 맡고 있는 스멥과 비벼볼만한 탑 인재풀이 A조에는 전무하다. 허구헌날 갱당해주는 와카 탑솔은 논외로 치고, 스프링 이후로 뿌리째 무너진 다르샨과 G2에서 퍽즈 다음 가는 구멍 취급을 받고 있는 익스펙트가 있을뿐.
이제 문제는 G2와 CLG 중 누가 2위를 차지하느냐인데, 이번 섬머 시즌에 폭망한 CLG로써는 어렵다고 본다. CLG는 다르샨의 폼이 좋던 시절 스플릿 위주 운영으로 스마트하게 게임을 이길 수 있는 팀이었지만, 다르샨의 폼이 떨어지고 난 뒤에는 스틱세이의 캐리력에 올인하고 그 외에 것들은 선수들 특유의 잔머리로 메꾸는 이질적인 팀으로 변했는데, 결국 스틱세이가 흔들리면 팀 전체가 흔들리는 아주 명확한 약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섬머 한정) 아무리 운영에 뇌가 없다지만 모였을 때의 파괴력 하나로 2연 우승을 달성한 G2와의 비교는 G2의 우세를 점치고 싶다. 결국 이 둘의 2위 싸움은 와카한테 얼마나 고춧가루를 맞느냐이지만, CLG는 후히가 폼이 엄청 올라오지 않는 이상 G2와의 만남에서 맥을 못 출것이다.
B조 : (순위 상관없이) IM 진출, FW 탈락, 나머지는 불투명
키포인트 : 잼구와 벵기의 폼, 카사가 정글이 구멍인 팀이 많은 이 조에서 얼마나 활약할 수 있느냐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롤드컵 역사상 최악의 조다. 일단 스프링/섬머 우승이라지만 현재 리그 수준 자체에 의문부호가 달리고 있는 LMS의 FW, 국제대회 최강자였지만 섬머시즌을 죽쒀버린 슼과 현재 2시드들보다 분위기가 좋은 IM과 C9이 맞붙는데, 솔직히 말하자면 나는 이 조의 순위 예측을 FW가 조별 예선 탈락할 것이라는 것과 IM의 선전 밖에 예측을 못하겠다.
FW의 운영법은 MSI 때나 섬머 플옵 때나 비슷한데, 이긴 경기에서도 총 딜량이 상대팀보다 적은 게임이 꽤나 많이 나오는 통계가 증명하듯 FW는 합류전이든 오브젝트든 어떠한 한 지점에 올인하는 전략을 자주 쓴다. 만약 여기서 이득을 보고 분위기를 잡으면 스노우볼을 한껏 굴리고, 실패하거나 한번이라도 제동이 걸리면 NL의 캐리력 부재로 지는 게임이 대다수인데, ESC 에버의 리즈 시절이 연상될 정도로 딜러 기량을 필두로 끈끈한 늪롤을 구사하는 IM에게는 씨알도 안 먹힐 운영법같고, 합류전의 핵심인 텔 주도권에서 MMD가 물오른 임팩트에게 우세를 점할 확률은 0에 수렴하는데다가 미티어스가 개노답 모드였던 결승전에서 TSM 상대로 계속 잘 버텨주었던 C9의 라이너들 또한 저런 올인형 운영에 끈끈하게 잘 버틸거 같다. 아주부 블레이즈의 M5 상대 패배부터 중화권 팀에 일격을 당한 IEM 쇼크까지, 역사적으로 저런 올인형 운영에 약했던 한국팀이기에 FW가 한국팀 킬러 기믹을 얻었다고 생각하는데, FW는 SKT를 두번 다 이기는 것을 전제로 깔고 다른 팀 상대로 승리를 거둬야 가능성이 그나마 있다고 보고, 상술한 모든 것을 뒤집을 변수는 슼의 정글이 얼마나 폼이 올라왔느냐일 것이다.
C조 : 1위 EDG, 2위 H2K
키포인트 : H2K vs AHQ, 역시나 와카가 얼마나 고춧가루를 뿌려주느냐
C조는 A조와 마찬가지로 1강 2중 1약이 형성되었는데, 역시나 H2K와 ahq의 2위 싸움이 관건이다. 그리고 나는 이 둘의 전력으로만 놓고 따지면 H2k의 손을 들어주고 싶다. 사실 H2K가 유럽에서 모든 라인에 A급 선수들을 데리고도 저평가받는 이유는 다전제 3, 4세트 쯤에 귀신에 홀린듯 쓰레기가 돼버리는 얀코스 때문에 정규시즌 잘하고도 플옵에서 죽쑤기 때문인데, H2K의 리즈 시절을 이끌었던 포기븐 체제의 H2K는 조별 리그에서 증명할 준비가 충분히 돼있는 팀이다. 특히 AHQ는 현재 서문갓의 부진이 너무나도 뼈아픈 상황인데, 류는 이번 플옵에서 물오른 모습을 보여주면서 허리 싸움에서도 우위를 점할 거 같고, 밴더와 포기븐 듀오 또한 안과 알비스 듀오에게 우위를 점할 것 같다.
D조 : 1위 TSM, 2위 삼성
키포인트 : 코베의 폼 회복
작년 프나틱처럼 서양권에서 기대를 크게 걸어도 될만한 팀이 올해 나왔는데, 바로 바이오프로스트 체제의 TSM이다. TSM의 이기는 법을 보면 작년 EDG의 리즈 시절을 보는 듯 한데, 커리어하이를 갱신하고 있는 비역슨과 더블리프트를 위시로 싸움지향적이지만 오브젝트나 타워 등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싸우고, 불리한 싸움도 비역슨과 덥맆의 기량으로 뒤집어버리는 한방을 가졌다는 점에서 고평가받을 만한 팀이라고 생각한다. RNG는 정규시즌에서 정체된 모습을 보여주면서 스카웃의 제드, 데프트의 바루스 꼴픽에도 무력하게 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서 TSM과 단단한 삼성 상대로 맥을 못 출것 같다. 키포인트는 스플라이스가 얼마나 선전해주느냐인데, 정규시즌에서 유체원 평가받던 시절은 어디 가고 이번 선발전에서 UoL의 명백한 구멍인 베리타스에게도 라인전에서 떡발릴 정도로 부진한 모습인데, 얼마나 정규시즌 때의 폼으로 돌아가느냐가 고춧가루의 원천이 될거라고 생각한다.
두 줄 요약 :
1. ROX, G2, EDG, H2K, TSM, 삼성 8강 진출
2. B조는 한치 앞도 모르겠는데 IM이 선전하고, FW는 거품이 빠질 때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