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글 할때마다, 핑으로 하는 의사소통이 가져오는 스노볼링을 극단적으로 느끼고 있음
단적으로 부캐할 때 핑사소통 하냐 안하냐에 따라 승률이 10%는 왔다갔다하는 느낌
보통 부캐할 땐 피곤해서 핑사소통은 잘 안하긴 함
본인 즐겨 사용하는 핑사소통 몇가지 소개하고감
1. 적정글 위치 빽핑
정글러 입장에서 너무 당연한건데 라이너는 모르는 경우. 어느정도 티어 높아져도 진짜 진짜 많음
그래서 본인이 적정글 위치 파악되는 순간마다 뺵핑으로 고지해줘야함
아래는 모두 양쪽다 정법이라는 기준하에 작성 역법이나 이런 건 알아서 하셈
1) 상대가 5캠 내지 풀캠정글인 경우
- 3:15초에 정법기준 윗바위게 도착했을 때 윗버프쪽 수정초 터트리고 적정글 안보일 시
아래쪽 바위게에 빽핑 한번.
이 빽핑 한번으로 바텀 첫갱 확률이 비약적으로 감소함
2) 상대가 버버두 내지 4캠 갱 가능성이 높은 경우
- 예를들어 상대 엘리스면 2:50초 경에 적블루-두꺼비 사이 빽핑 한번.
이 한번으로 정법기준 탑 생존가능성이 비약적으로 상승함
3) 첫바위게 교전 끝난 후
- 보통 양쪽 다 정법후 윗바위게에서 밀려난 쪽은 귀환 후 아래쪽 동선을 탐
이때가 약 3:30~4:00 사이인데 이때 적정글 귀환이 대략 확인되었으면
바텀 라인쪽에 빽핑 한번.
첫귀환후 바텀갱 확률 급감함
4) 동선 갈렸을 때
- 반대편 라인쪽으로 한-두번 빽핑
과도한 빽핑(3연뺵, 4연뺵, 6연뺵)은 좋지 않은게 라인전 흐름이 완전 깨져버릴 수 있음
라이너가 스킬샷각 보다가 빽핑으로 얼타다가 딜교 손해날 수도 있고
과도하게 위축될 수 있음. 확실히 터지는 상황 확인한 거 아닌이상 연빽핑은 자제
5) 상대가 용/전령 오브젝트 챙길 수 있는 경우 / 내가 확인할 수 없을 때
- 오브젝트 챙길 수 있으니까 조심해라는 의미에서는 1빽핑
우리 라이너들이 충분히 견제 가능할 정도인 경우는 2~3 미아핑 (갈고리)
보통 용/전령에 2~3미아핑 찍히면 근처 라이너가 무조건 확인하러 감
단, 확인이 되도 견제가 안되는 경우에는 아예 핑을 찍지 않거나 1뺵핑 정도만 찍어야함
괜히 줘야되는 각에서 2~3미아핑 찍으면 근처 라이너가 무리하다가 킬까지 헌납하는 경우 상당히 많음
2. 합류핑
가고있음 핑을 말하는 건데 이것도 쓰는데 노하우가 있음
1) 갱을갈 때
- 가고있음 핑 1번이면 족함 3~4번 찍으면 라이너가 급해진다.
갱각은 기본적으로 정글러 갱각과 라이너 호응각을 같이보는 것이므로 라이너가 각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면
뺄 여지도 남겨둬야 함 따라서 플레이를 강요하는 연핑을 찍기보단
1번만 찍는 게 좋음
2) 특정 라인 근처에 있을 때
- 이거 중요한데 정글러가 근처에 있으면 라이너 입장에선 정글이 갱을 오는지 근처 캠을 먹고 뺄건지
시야를 잡으러 오는건지 아무생각 없이 오는건지 구분이 안감
그래서 라인 근처에 갔을 때 내 의도를 확실히 보여주어야 함
예를들어 미드쪽 적칼부 카정들어갈꺼면 적칼부 카정에 가고있음 핑 1번
내 칼부를 먹으면서 미드쪽을 보고 있으면 내 칼부쪽에 가고있음 핑 1번
아래쪽 부시를 통해 갱각을 볼거면 아래쪽 부시에 가고있음 핑 1번
이런식으로 내 움직임을 확실히 가고있음 핑으로 보여주는 게 중요함 그에 맞춰 라이너도 플레이를 결정하고
혼란이 없어짐
3) 커버 정치 핑
- 이건 내가 개발한 건데 정치방지에 엄청나게 탁월한 효과가 있음
라이너 심리상 본인 정글러가 근처에 있는데 자기가 솔킬 / 갱킹을 당해서 죽으면
본능적으로 근처에 있는 정글한테 남탓을 시전하거든?
이때 뒤늦게라도 라인에 가고있음 핑을 찍으면 정치확률이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함
여기서 뒤늦은 가고있음 핑은
'내가 너를 신경쓰고 있었다 나는 최대한 빨리 가고 있었는데 너가 어쩔 수 없이(속뜻: ㅂ신이라) 죽었다'
정도의 의미로 인식되어 정치확률이 급감함
라이너 멘탈보존 의미도 있어서 꽤 효용성이 큼
3. 옵젝핑
- 나는 솔랭할 때 옵젝핑은 전적으로 정글이 결정하는거라 생각함
그래서 무조건 내 판단을 따르고 라이너의 옵젝핑에 대해 다음과 같이 대처함
1) 바텀에서 갱킹당하고 전령 찍을 때 / 탑에서 갱킹당하고 용찍을 때 / 바텀에서 2렙갱 당하고 적블루 찍을 때
- 이게 진짜 ㅈ같은 패턴인데
바텀갱킹 당해서 전령먹을 수 있으면 핑안찍어도 내가 알아서 먹고
바텀이 갱킹 당해도 상체 힘 안좋아서 전령먹을 수 없으면 못먹는건데
후자의 경우에 바텀에서 핑이 찍히면 이후에 정치거리가됨.
바텀갱 당했는데 전령안먹고 모함?
나는 그래서 이 경우 전령에 가고있음 핑을 한 번 찍어줌
실제로 먹을 생각이 없어도 찍어줌.
'내가 니 의견을 수용해서 전령각을 보긴 봤다' 정도의 의미
그래도 정치 들어오면 어쩔 수 없음
2) 도구가 옵젝핑찍을 때
- 1번사례와 비슷한데 옵젝핑을 서폿이 찍는 경우가 있음
본인 경험상 서포터의 옵젝핑이 진짜 최악임
주관적 경험으로
옵젝핑은 정글 다음으로는 미드 > 탑 순서로 잘 보고 그 다음이 바텀임
개중에 최악의 최악은 라인전 진 서폿의 옵젝핑임
라인전 진 서폿이 옵젝핑을 찍는 순간 나는 그 서폿 핑 게임 끝까지 차단함
절대 그 서폿의 핑은 향후 게임에 도움이 안됨
3) 용/바론 핑
- 용핑은 종류가 여러가진데 몇가지만 서술하겠음
핵심은 핑으로 버스트/스틸/전투 세가지 태세를 확실히 표현해주는 게 중요함
버스트핑 - 용에 alt 마우스 왼클릭 연타
땡겨먹핑 - 1빽핑 후 땡겨지는 쪽으로 가고있음 핑
스틸핑 - 1가고있음 핑 후 내 강타 핑으로 쳌 (팀원이 스틸각을 도와줄 수 있음)
전투핑 - 스틸핑과 반댄데 뺏기더라도 전투를 보겠다고 하면 스틸핑 대신 적 챔피언 무리 쪽으로 가고있음 핑을 3회 정도 찍어주면 전투각을 보자는 신호로 받아들여짐
나 강타 없음 핑 - 강타 쿨인 것을 반드시 고지해줘야함 (중요)
딜중지 핑 - 용바론 쪽에 죽기살기로 연빽핑 (피지컬 중요함 죽기살기로 쳐야 딜중지 될까말까임)
- 라이너가 노근본 바론칠 때도 연뺵핑 찍어서 중지시켜야함
4. 도움핑
라이너 부를 때 쓰는 핑임
1) 적정글과 교전 시
- 기본적으로 1~2 도움핑 빠르게 찍어줘야함
근데 이기는 교전각인지 뺴는 교전각인지 판단하는 게 중요함
이기는 교전각이면 포커싱 상대를 알트핑으로 찍어주는 게 좋고
도망치는 상황이면 도움핑 후 빽핑으로 본인이 뺄것임을 알려주는 게 좋음
그래야 곱창교전이 안 일어남
2) 미드부를 때
- 가끔 미드들이 정글 반대로 움직이거나 정글만 따라다니는 애들이 있는데
반대로 움직이면 커버움직임, 같은방향으로 움직이면 합류움직임인데
이상하게 배워서 상황에맞게 쓰질 못하고 엉뚱하게 움직이는 애들이 있음
그럴땐 미드의 움직임을 내가 핑으로 좀 컨트롤을 해줘야하는데
미드 라인쪽에 도움핑을 한 번 찍고
그다음에 미드가 움직여줬으면 하는 방향으로 2~3회 도움핑을 찍으면
미드가 그쪽으로 움직여줌
3) 도구 부를 떄
- 바텀은 사람이 2명이라 그런지 도움핑에 반응이 조금 느린 느낌임
그리고 보통 원딜이 올라올필요는 없고 대부분 도구가 올라와야되는데
미드랑 비슷하게 부르면 되는데 유독 반응이 좀 이상한 경우가 있어서
탭눌러서 도구를 한번 찍고 도움핑을 찍는 게 반응성이 더 좋음
이유는 모르겠음 그냥 그렇게 해야 잘 올라옴
4) 망나니 부를 때
- 망나니는 사실 핑이 필요가 없는게 어느정도 티어 이상이면
탑근처 합류각에 대한 판단은 정글보다 탑이 더 잘 아는 경우가 태반임
얘네는 도움핑 안찍어도 올 수 있는 각이면 오고 못오는 각이면 아무리 찍어도 안옴
근데 2~3렙 구간에는 좀 찍어줘야함
이때는 탑라이너들이 혼신을다해 스킬샷 평타 한방한방으로 향후 탑라인의 승패 거취를 결정하고 있는 시간이라
맵리도 안되고 반응성도 늦음
5. 마지막
- 아무개 (살아있음) x 6
이 핑은 절대 찍지 말도록 아무리 개 트롤짓을 하는애가 있어도
이걸 안찍으면 승률이 5%는 오름
- 갑자기 생각나서 추가한건데 핑난사(연핑)에 대해서.
연핑을 많이 치면 게임속도가 빨라짐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얘네 데리고 이길 수 없다
게임 난장판으로 만들어보자 라고 할 때 내가 쓰는 방법인데
고의적으로 연핑을 게임 내내 찍으면 좋은쪾이든 나쁜쪽이든 게임속도 빨라지고 개판으로 흘러감
정상적으로 이길 수 있다 싶을 땐 연핑을 최대한 자제하는 편
팀원 멘탈이 흔들리고 급해지고 게임이 뒤죽박죽이 되어버림.
끗 다쓰고 나니 꽤 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