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과 노하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실험] 강환불 확률분포함수 추정 (3) Raw data

빅팜팜
댓글: 11 개
조회: 19318
추천: 30
2020-02-12 18:55:01

목표했던 10000개에는 조금 못 미치지만, 앱솔랩스 장비에 대한 9820개의 표본 추출을 끝냈다.

공유할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 각 표본의 추가옵션 리스트
2. 각 표본의 추가옵션 단계 (이중추옵, 단일추옵 포함)
3. 확률분포
4. 분석에 사용한 코드 (Python3, Numpy 필요)

이 글에서는 데이터를 사용하고자 하는 분들을 위해 데이터 구조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하겠다.

바로 이어서 다음 글에서는 
1. 표본 상위 N%에 대한 주스텟 환산점수의 기대치
2. 올스텟 - 점프력 이외 다른 옵션들간의 상관관계

를 분석하도록 하겠다.

=====================================================================================

첨부된 압축파일에는 4개의 파일이 존재한다.

1. AddOption.dat
2. AddLevel.dat
3. ProbDistribution.dat
4. Analyzer.py

AddOption.dat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이 파일은 각 샘플 추가옵션의 실제 값을 나타낸다.



라벨 순서대로 
힘,덱,인트,럭,체력,마나,공격력,마법공격력,방어력,이동속도,점프력,올스텟,착용 레벨 감소
를 의미한다.


AddLevel.dat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이 파일은 각 샘플의 추가옵션을 단계로 환산한 것을 나타낸다.
(추가옵션 단계는 http://www.inven.co.kr/board/maple/2304/9699 참조)



모든 라벨은 앞의 파일과 같지만, DSD, DSI, DSL, DDI, DDL, DIL은 각각
힘-덱스, 힘-인트, 힘-럭, 덱스-인트, 덱스-럭, 인트-럭 이중추옵을 의미한다.

이중스텟과 단일스텟은 가능한 경우의수가 두 개 이상일 수 있는데, 만약 세 개의 경우가 가능하다면

경우 1: 가중치 0.33
경우 2: 가중치 0.33
경우 3: 가중치 0.33

즉 각 경우의 수가 0.33번 발생했다고 간주한다.

위의 표에서 WEI는 이 가중치를 의미한다.

힘덱인럭 45 45 45 45인 아이템의 경우 가능한 총 경우의 수가 8개이므로, 가중치는 1/8 = 0.125이다.


ProbDistribution.dat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표는 각 추옵의 각 단계에 대한 등장확률을 나타낸다.
두 번째 표는 대응되는 값들의 95% 신뢰수준에서의 불확실성을 나타낸다.

추옵은 한 아이템에 4개가 등장하기 때문에, 첫 번째 표를 모두 더하면 4가 된다.


Analyzer.py는 추옵 -> 단계 변환 과정이나 통계적 불확실성 추정 과정을 확인하고 싶은 분들을 위해 첨부했다.

추옵 계산기에 사용하고 싶거나 과정을 한번 보고 싶다면 받아서 확인하면 된다.

코드 오류 지적은 언제든지 환영함



글이 너무 길어질거 같아서 글을 나눌건데,
바로 이어서 다음 글에서는 점프력-올스텟 이외의 옵션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해봄

Lv54 빅팜팜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메이플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