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공략은 정답이 아니며 파티 조합에 따라, 숙련도 따라, 어픽스 따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습니다.
대회 참여하며 찍었던 영상이 그래도 택틱 수행을 염두에 두며 했는지라 참고하기에 편하실 것 같아 동일멤버로 한 영상으로만 올리려고 합니다.
1. 영혼의 아귀
쫄과 네임드 모두 어려운 던전입니다.
물리평타가 특히 강하게 들어오므로 탱커는 이를 대비한 세팅을 준비해야 합니다.
첫쫄 감금패스로 쿨기 관리 용이하게 배분했습니다.
몹은 각각의 특징이 있지만 대부분 근딜이 어렵다고 보면 됩니다.
첫구간 간단히 조심할 특징이라면
지킴이 : 전방 휘적휘적 큰 데미지를 쓰는데 걸어가다가 진행방향이 막힌 경우 막타를 탱에게 걸어와서 쓰므로 모든 파티원은 이를 확인해야 합니다.
노예 상인 : 가시돋힌 창은 회피 메커니즘으로 회피할 수 있지만 피하는 걸 추천합니다. 터지는 디버프에 딜러 개인생존기 뽑을 것.
방패 여전사 : 탱을 녹이려고 있는 몹입니다. 탱커의 탱킹 능력에 따라 우선순위가 바뀝니다.
[이미론]
짧은 주기로 탱에게 강한 마뎀공격을 하는데 외생기 포함하여 최소 7번 이상을 배정해야 합니다.
바닥을 밟을수록 쫄이 덜 나오니 쫄을 적게 뽑도록 딜러 생존기 분배하여 지워주세요.
대략 생존기 키고 250-350만 들어옵니다.
[하르바론]
낫 피하기, 쫄을 근딜 가까이에 뽑아주기 둘만 지켜지면 되는 네임드이지만 낫 패턴이 더럽게 오는 때가 반드시 있기 때문에 기본이 탄탄해야 죽지 않을 수 있습니다.
특히 원딜이 캐스팅 욕심을 안부릴수록 쉽게 잡을 수 있습니다.
생존전설을 착용해서 낫에 안죽을 수 있는 건 아니지만(물론 프라다+생존기 키면 살 수 있음) 기타 바닥데미지도 있기 때문에 생존세팅을 추천합니다.
파편화는 그망, 얼방, 무적, 탈태 순간 등으로 씹을 수 있고, 씹지 못하면 스턴, 이감기를 배정하고 빠르게 광쳐야 합니다.
3원딜 조합이 아닌 이상 원거리는 탱커와 가까이 매스무빙을 해줘서 구속된 종복을 넴드 주변에서 뽑아줘서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합니다.
이후 쫄구간 특징으로는
용사 - 근딜 1명의 차단 배정 필요, 광역침묵 비격 면역, 칼차단해야 안전하게 쿨이 옵니다.
치유사, 소환사 - 근딜 1명으로 모자라므로 광역 침묵과 스턴을 섞어서 써야 합니다.
[헬리아]
오프닝 블러드와 풀쿨기로 3개의 촉수를 녹이고 다음 파괴자 촉수, 새로 나온 거머 촉수 2개를 녹이는 와중 탱커가 3번 파괴자를 붙들고 있는게 가장 이상적입니다.
딜러 힐러가 조심해야 할 타이밍은 처음 3개의 촉수를 녹일 때 즈음 2번 파괴자가 나오는데 이 나오는 위치는 랜덤이지만 정해진 위치 중에서 나오게 됩니다.
그러므로 안전지대를 미리 찾아가서 촉수에게 맞지 않아야 합니다.
안일하면 무조건 죽습니다.
2. 용맹의 전당
첫구간은 다 몰아줍니다. 두번째 구간은 비전투 메즈가 2개 있다면 무조건 패스하는 것이 좋습니다.
용 때문에 힐업기와 딜쿨기가 빠지기 마련인데 하임달에서 타격이 큽니다. 블러드 타이밍 땡기는 데에도 애로사항이 있구요.
[하임달]
기존 쐐기와 공략 상의 차이점이 없습니다. 실수하면 죽는 것 밖에는 주의할 게 없습니다.
처음 브레스 위치는 탱커가 봐주고 2, 3번을 원거리가 봐주는 게 편한 듯 합니다.
쫄이 많은 곳에선 무리 경화가 아니라면 메즈는 어지간하면 안해보는 게 좋습니다.
룬 조각사 - 파편화에 차단배정, 아로새기기는 가급적 광역메즈로 끊기게 해주세요.
천둥술사 - 분노 때 점사 1순위지만 경화, 무리, 분노가 아니라면 광역적으로 봐주면서 오프닝 폭딜을 넣는게 좋습니다.
비술사 - 차단이 남으면 광휘, 치유의 룬 다 자르고 남지 않으면 광휘만 자르고 룬은 드리블 해줍니다.
명사수 - 관통 사격 맞으면 지상렬.
비술사를 1마리씩 잡도록 적절히 몰아서 전당 내부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블러드가 히리야 앞에서 오도록 배정하세요.
[히리야]
생존전설을 반드시 차세요.
번개쪽에서 시작, 광역기는 깡힐업으로
방패 맞고 신성 충전하며 오는 3-4-5번 빛 축출은 작은 생존기를 쓰고 맞을 것
방패 맞고 번개쪽 광역기에 공생기 힐업기 배정
광역기 끝난 직후 빛축출+연쇄번개가 한명에게 모두 들어오는 경우 무적기를 쓰되 없으면 죽고 전부 받을 것
의 반복입니다.
무전의 경우 방태, 드루의 경우 곰폼 광재, 냉법의 경우 얼보를 쉴 새 없이 돌려야 하는 네임드입니다.
파티 단위의 숙련도가 아주 많이 필요합니다.
[펜리르]
원거리는 기본적으로 펜리르에 붙고 산개 패턴 때에만 잠깐 나갔다가 들어옵니다.
힐업+생존기로 주시를 살 수 있으면 말뚝딜, 안되면 동굴로 뛰는 걸 추천합니다.
[신왕 스코발드]
힐러 근딜 생존전설 강력추천
기본적으로 지옥쇄도는 맞는 게 아니라 피합니다.
자기가 이동기가 없으면 생존기를 쓸 수 있어야 합니다.
라그나로크 때 탱커에게 딱 겹쳐서 맞아야 직후 오는 지옥쇄도+방패각 틀어짐 때문에 전멸하지 않습니다.
2근딜인데 그 중 무전, 도적이 없다면 프라다 차고 기도하는 수 밖엔 없습니다.
[오딘]
별 차이가 없습니다.
3. 넬타리온의 둥지
1넴 전은 그냥 시원하게 몰아서 광치면 됩니다.
[로크모라]
산산조각 직전에 쫄이 생성되곤 하는데 쫄이 2마리 남아 있을 때 0% 100%보다 50% 50%가 더 안전합니다.
산산조각 직전에 단일 스킬 글쿨을 아껴서 풀체력으로 죽지 않도록 관리해줘야 합니다.
생각보다 이게 정말 안되는데 탱 근딜 원딜 힐러 할 것 없이 글쿨 아꼈다가 마지막 딜을 넣어줘야 합니다.
딜러 생존전설 강력추천.
산사태를 한번이라도 맞으면 투척병, 바위부수기 등 후속타로 죽을 수 있습니다.
단 한번도 맞으면 안됩니다.
탱에겐 쓰지 않으므로 근딜은 근딜끼리, 원딜은 원딜끼리 서로의 위치를 미리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단, 근거리 평타 사거리에 탱커가 없다면 산사태도 쓰지 않으므로 드리블하면 다소 편의가 있습니다만
그러면 탱커의 딜이 들어가지 않으므로 장단점을 따져보세요.
괴수의 균열 방해는 스턴, 행동불가, 죽손류 등으로 3번까지는 배정해야 합니다.
조물사 차단 새면 누군가 죽습니다.
탱 - 근 - 원 - 원 - 탱 - 근 정도로 6번까진 무리 없이 할 수 있는데 이 안에 잡으면 좋고 안되면 위험하겠죠.
[바위구체자 울라로그]
힐쿨기와 딜러 생존기는 사이페이즈에 씁니다.
탱커가 개인 생존기 배분만 잘 하면 위험할 게 없습니다.
[나락사스]
힐 요구량이 괴랄한 네임드로 딜러 생존세팅, 그 중에서도 자생력 좋은 세팅 추천합니다.
속박투사의 투척은 투척병과 다르게 연번처럼 튕기기 때문에 약산개가 필요합니다.
점사 우선순위는 속박투사 - 전갈 순이 무난합니다.
전갈을 먼저 잡으면 속박투사는 40미터 드리블이 가능하지만 힐업 난이도가 올라갑니다.
전갈은 나름 고르게 주기적으로 들어오는데 속박투사는 무작위로 급격히 들어오므로 그대로 두면 급사 위험이 높기 때문입니다.
[다르그룰]
원딜진의 매스무빙과 탱커의 파킹숙련도가 난이도를 급격히 낮출 수 있는 네임드입니다.
개인적으로 정말 어렵다고 생각하고 타임라인을 완전히 숙지해야 합니다.
마그마 분출을 하나의 페이즈로 보았을 때 3번까지는 수정가시 3개가 나오지만 4번째 부터 2개가 나오므로 사실상 광폭에 돌입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쫄 순간딜도 중요하지만 결국 페이즈는 시간순서라 네임드 딜 역시 중요합니다.
주의할 점은 가시 두 개가 붙어 있는 경우 쫄이 하나의 가시를 먹은 후에 바로 옆 가시를 먹으면 스턴이 안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가시를 적당히 띄워서 뽑아야 하는 원딜의 무빙이 중요합니다.
그런데 확실하게 원딜에게 가시 유도가 되려면 탱과 근딜을 제외한 원딜 힐러가 3명 이상이어야 합니다.
딜로 잠금해제하는 무전이 없는 2근딜 조합이면 엄청난 헬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