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모니터] 1800R 최적화된 곡률의 Curved 모니터 - 삼성 C24F390F

아이콘 나유타
댓글: 1 개
조회: 3674
2016-04-14 09:58:05


 

1460587101_8d62e440f7b9d569cda394d8bce6e

 

 2016년 04월 14일 현재 다나와 최저가는 193,000원으로 책정되어 있고, 오픈마켓 최저가는 213,670원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z02 스펙.jpg

 

모니터와 눈 사이의 거리를 고려해 만든 1800R 곡률이 적용된 특징이 있는  C24F390F 모델의 모니터로서 잔상을 최소화하는 화면 Free Sync 기술이 적용되어 있으며, 3000 : 1의 정적 명암비로 풍부한 표현력을 갖춘 제품입니다.
178도의 광시야각 VA 패널을 채용,
게임에서의 어두운 장면을 더욱 선명하고 밝게 표현해주는 게임모드가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으며, 깜빡임이 없어 눈이 편안한 플리커 프리, 블루 라이트 차단 기능, HDMI와 D-SUB 포트를 지원합니다.
 
우선 제품 박스의 모습입니다.
박스의 전면엔 
[ Essential Curved Monitor
 1800R 최적화된 곡률로 편안한 시청감
 프리싱크 기술로 안정된 생생한 게임 경험
  초슬림 디자인 ] 라는 설명 문구가 쓰여 있네요.. 

1460587175_f7af2e289ad60c79e3048c679e715

"봉인 스티커 훼손시 반출이 불가합니다" 라는 스티커가 여러 군데 붙어 있네요.
 
사실 불과 한달 전에 몇 년간 써왔던 L사의 23인치 모니터가 어느날 갑자기 고장이 나버려서
한달 전에 L사의 24인치 모니터를 구입했었는데, 그 전 모니터보다 무게가 가벼워졌더군요.
그런데, 삼성 C24F390F 모니터의 경우 그보다 더 무게가 가벼워서 놀랐습니다.
 
아래의 사진은 기본 구성품입니다.

1460587201_10c181dafad440519e5bf2f0fdb73

 스탠드와 전원 코드, 아답터(직류전원장치), HDMI케이블, 제품 CD와 보증서, 기타 설명서 등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HDMI 케이블의 실제 측정 길이는 1.5M였습니다.
그리고 전원 코드 - 플러그 쪽에 KC 인증마크와 2.5A, 250V 라고 표기되어 있습니다. 
1460587236_083dd1a0a21844a7e40de7f59f18e

1460587258_f1833ed593ce43ca5a5fc2b26e4a3

아답터(직류전원장치)의 경우  
ㅁ 인풋 : 100~240V, 0.7A, 
ㅁ 아웃풋 : 14V, 1.765A라고 출력 표기가 나와 있습니다.

(아래 쪽엔 25W라고 커다랗게 표기되어 있군요 - 최대 소비전력이 25W 이하라는 뜻)

모니터의 종류에 따라 아답터의 출력이 각기 다른 관계로 사용중에 아답터가 고장난 경우 자신이 원래 보유하고 있던 제품과 동일한 모델을 선택하여 구입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얼마 전에 구입한 LG 24인치 모니터의 아답터 출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ㅁ I/P : 100~240V, 50~60Hz, 1.1A
ㅁ O/P : 19V 2.1A / (19V 3.42A : 예전 LG 23인치)
KC, CE 등 각종 인증 마크가 잔뜩 써 있고, 최저소비효율 기준만족제품 이라고 표시되어 있으며,

주의사항이 깨알같은 글씨로 표기되어 있네요..

 
1460587302_e00e282d51a1cc1701c4dfb3b1459


 스탠드를 살펴보면,
 스탠드의 뒷판엔 철제 보강물로 덧대어져 있으며, 6개의 미끄럼 방지탭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볼트 아래쪽 화살표 설명대로 시계 방향으로 볼트를 돌려주면 고정(LOCK)이 되며,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풀어집니다.(RELEASE)

스탠드 고정용 볼트의 경우 드라이버로 돌려도 되고, 손나사 형식으로 설계되어 있어서 그냥 맨손으로도 볼트를 돌릴 수 있습니다.

1460587350_27f93497268c2b3058492dffc5c70

 
제품 보증서와 설치를 위한 설명서, 그리고.. 

1460587371_3df7a9c4bff2c5ddcc1ae9068c903

Free Sync 기술에 대한 설명서가 각종 언어로 기술되어 있네요.

Free Sync 는 AMD에 적용된 기술로 본인은 Nvidia 그래픽 카드 유저라서 이 부분은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모니터 본체는 스티로폼 완충재로 앞뒤로 감싸져서 무사히 잘 도착했네요.
1460587411_068ef347f0dca7ca5b1469989b6a3

 

모니터 본체의 뒷편입니다. 

1460587439_bb0a074b7e7dd6513fc6e36cb0996

 모니터의 뒷면엔 모델명과 KC인증마크, 서비스 센터 전화번호, 정격(14V - 1.78A) 표시,

제조년월(이 제품은 2016년 03월에 제조된 걸로 나와 있군요)이 표시되어 있으며,

주의사항으로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분해하지 마세요, 제품이 넘어지면 다칠 우려가 있으니 주의 바랍니다 라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VESA 홀 지원으로 벽걸이도 가능합니다. 가로-세로가 각각 7.5cm(75.0 mm) 정도로..
1460587466_86122ad77e50705a446be55596e98

 
스탠드 결합 장면을 간단하게 동영상으로 찍어 보았습니다~^^
[ 스탠드 조립 ]

 

스탠드와 결합한 상태의 모니터를 상하좌우의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해보았습니다.
1460587507_c1931a0b0c6b902b9bc5a6022be0d

1460587520_d77225e9252669e0c1496bdb723b8

곡면 패널 - 커브드 모니터는 처음 사용해보는 지라 뭔가 신기하고 이채롭군요~
 
다음으로 불과 한달 전에 구입했던 L사의 모니터와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460587541_2b823b008e002af5701a504f2d4d2

1460587550_2f7cde0a3801d507ed76653649396

 모니터의 색깔이 모두 블랙이며, 둘 다 논글레어가 아닌 글레어 형식의 베젤로 되어 있고,
화면 크기는 거의 비슷한 수준이며, 가장 큰 차이점은 평면 모니터와 곡면 모니터라는 점과
각각 IPS 패널과 VA 패널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입니다.
 
2개의 모니터를 동시에 시야각을 비교해보겠습니다.
(좌측이 LG 모니터이며, 우측이 삼성 모니터입니다.)

참고로 우측의 삼성 모니터가 사진상으로는 약간 뿌옇게 나오는 감이 있는데, 실제 눈으로 직접 보았을 때와 차이가 있음을 밝혀 둡니다. 고가의 DSLR 정도라면 시야에 보이는 그대로 카메라에 담을 수 있을 지는 모르겠지만, 평범한 디카로는 그 성능의 한계(?)상 빛나는 피사체를 찍을 적에 명암 - 밝기 등이 다소 높은 경우 사진상에 왜곡이 나타나더군요.. 
실제 시야 상에선 뿌옇게 나오지 않고, 굉장히 선명한 상태로 나온다는 점을 참고하세요.

1460587604_266603f569b50a7e34c9d3b44c868

1460587621_3e407bfdd4a286cf2d0aa0e72e685

1460587631_bb29d55ad6df5e4dd79edd4c45df5

1460587642_9fcdf0fd9a995ce4ac3d5eb8be117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TN패널의 모니터를 몇 년 이상 써오다가 최근에 IPS와 VA 패널을 모두 만나 보게 되었는데요, 3종류를 전부 다 써보니 차이점을 직접 실감할 수 있더군요. 색감이 가장 화사한 쪽이 TN패널이고, 그 다음이 VA, 마지막으로 IPS 였습니다.
★ 색감의 화사한 정도 : TN > VA > IPS
TN에서 IPS로 넘어갔더니, 색감이 너무 진하다고 해야 할까? 나쁘게 말하면 색상이 다소 탁해 보이는 느낌, 좋게 말하면 색상이 진하다는 느낌이 들더군요.
그랬다가 VA 패널을 만나니까 좀더 화사한 느낌 - 색상의 느낌이 좀더 따뜻하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L사를 대표하는 패널이 바로 IPS이며, 삼성의 경우 VA 패널이 대표격이며, 그 밖에도 TN패널과 PLS 패널이 있습니다.
TN패널은 낮은 생산 가격으로 인해 주로 저가의 모니터에 사용되며, 응답속도가 가장 빠른 장점이 있어서 FPS 유저들이 선호하는 모델로 알려져 있습니다.

PLS는 IPS의 일종의 변종으로 2012년 삼성 디스플레이가 개발하였으며 IPS를 대체하기 위해 나와서
IPS 대비 시야각과 밝기가 향상되었다고 하는데 아직 PLS는 경험해본 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군요..
실제 테스트 결과 VA패널의 시야각이 IPS에 필적하는 수준인 걸로 보이며, 색상이 보다 더 화사한 수준인가,
좀더 진한 수준인가의 차이점 정도가 있는 걸로 판단됩니다. VA패널은 색상 표현력이 뛰어나고 높은 명암비가 장점이며 178도의 광시야각이 특징인 메리트 넘치는 제품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양쪽 다 글레어 타입의 모니터였습니다.
글레어 타입의 특징은 유광으로 반짝거린다는 점입니다.

화면의 색상 표현이 선명하고 특히 검정의 표현력이 뛰어나 명암비가 높은 특징이 있으며,

정지 화면이나 동영상이 깨끗하게 보이는 것이 장점이 있지만,

외부 빛 (형광등 기타)의 화면 반사가 심해서 눈이 피로해질 수 있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논글레어 타입은 외부 빛의 반사가 거의 없어서 장 시간 사용해도 눈에 거의 무리가 가지 않은 장점이 있으나
글레어 타입에 비해서 정지 화면이나 영상의 색 표현력이 떨어져 보인다는 점과

화면이 약간 밝게 보이는 경우가 있다는 점이 단점으로 꼽히고 있네요.
 
듀얼 모니터 상태의 D-SUB포트에서 분리하고, 함께 동봉된 HDMI케이블을 이용하여 HDMI 포트로  C24F390모니터에 연결해보았습니다.

1460587763_f6a8f1422e7a249da9a8e6ec4509c

 
지금부터 OSD 메뉴 화면을 살펴 보겠습니다.
모니터 우측 뒷편의 조그 버튼을 눌러서

모니터 화면을 켠 뒤에 해당 버튼을 조이스틱처럼 상-하-좌-우로 조작하면 됩니다.

(참고로 LG 모니터의 경우 버튼 조작 방식이 비슷하더군요.

LG의 경우 조이스틱 버튼이라고 부르며 모니터의 중앙 아랫쪽에 버튼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1460587862_3af1ce769a2ff853c156e922feaf3

1460587899_68e898e1ccb1a13cf05650b3203f2

1460587913_7bb5fb35d54bd1ade5c170c4e97bc

1460587927_fc2475a2bc7e8bdf363c8c329f7c9

 

< OSD 메뉴 >
 
[좌] 입력 선택 : D-SUB, HDMI
 
[우] 눈 보호모드 : ON / OFF 
 
[상] 메뉴 : 
1. 화면 - 밝기(100), 명암(75), 선명도(60), 색상, 업스케일, HDMI 블랙 레벨(낮음),
2. 화면 표시 - 투명도, 화면 위치 조작, 메뉴 언어(한국어 외 다양한 언어를 지원), 
3. 시스템 - 
(1) Free Sync : Free Sync 기술은 지연 현상이나 화면 꺼짐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입니다.

단, Free Sync를 지원하는 그래픽카드에서만 동작합니다. 
(2) 에코 세이빙 플러스 : 에너지 절약을 위해 기기의 소비 전력을 조절합니다.
(3) 꺼짐 예약 : 예약한 시간에 전원이 자동으로 꺼지도록 설정합니다. 
(4) PC/AV 모드 : AV 로 설정하면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가 확대됩니다.
(5) 입력 인식 : 입력 장치의 자동 / 수동 인식 여부를 설정합니다. 
(6) 키 반복 시간 설정 : 버튼을 누르고 있을 때 버튼의 반복 속도를 제어합니다.
(7) 전원 LED 켜짐 : 전원 LED 동작 상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8) 모두 초기화 : 설정 초기 상태로 되돌림..
4. 정보 : 모니터 정보를 표시 - 모델명, 시리얼넘버, 포트 - 주파수 - 해상도 
  
[하] 모니터 전원 꺼짐 
 


[ OSD 메뉴 : 중에서 1~4번 직접 적용 동영상 ]
(1) 업스케일 적용 ON & OFF
(2) HDMI 블랙 레벨 조절 ON & OFF
(3) 눈 보호 모드 ON & OFF
(4) 게임 모드 ON & OFF

 

 

< 무결점 테스트 >
 
1. 모니터 무결점 테스트 사이트
홈페이지 주소 : http://monitor.co.kr/
 
블랙 OR 화이트 화면 상태에서 빛샘이나 광점, 암점 등의 결점 여부를 점검할 수 있습니다. 
바로 아래 사진의 경우 모니터 상단의 밝은 흰 빛은 디카의 플래시가 터진 모습입니다.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사진은 실제 시야로 확인한 모습에 비해 약간의 왜곡이 있습니다.

실제로 디카로도 찍고, 캡쳐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컴퓨터 내에서도 사진을 상당수 찍었지만 전부 다 올리게 되면 내용이 너무 길어져서 일부만 발췌헤서 올려 봅니다. 
(지금도 충분히 스샷 압박의 우려가.. ㅠ)

1460588007_fb47310e58de31929d1300bd82d93

 그 어떠한 빛샘 - 광점 - 암점 등의 결점을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한달 전에 동일한 테스트를 LG모니터에서 시험해봤었고,

LG와 삼성 - 역시 국내 모니터 산업의 양대 산맥 답게 두 모니터 모두 무결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1460588035_97b36daa406cc17e12cc32336f014

 

명암비 점검 테스트입니다.

1460588050_0cbdd28416b3dae3602c3ac87f4ad

 

가독성 테스트입니다.

1460588066_055fca9f6a21ee6ccdf328feaa05e

 

색상 점검과 감마 테스트입니다.

1460588081_f102d6689522c3d4dfaa3912f3a2b

 

스샷 캡쳐 프로그램으로 찍어보면 좀더 상세한 화질의 사진을 볼 수 있습니다.
1460588097_8ceeb2c007131184ee904e926b457

 

5번 응답 속도 측정은 동영상으로 촬영해보았습니다.
[ 응답 속도 측정 - 테스트 ]


< Eizo Monitortest 라는 프로그램으로 확인한 테스트입니다. >
1460588123_99d63ae2c6b5d4e57d68d61cd2d70

1460588137_9636606bd59e3d546ca29b32200bf

1460588147_98e61b253cebf0edea3af0c8a33e0

 

< 픽셀 하자 보증 >
 패널(모니터 화면)에 제조사가 정한 기준 이상의 불량 화소(픽셀)가 발생한 경우 패널 교체가 가능합니다.
불량 화소 발견 시, 서비스센터를 통해 전문상담원의 판정을 거친 후 패널 교체를 받을 수 있습니다.
(불량 화소의 경우, 모니터 전체가 교환되지는 않으며 패널부 교체만 가능합니다.)
※ 픽셀하자보증 기준 [구매일 ~ 6개월 이내]
- 광점 1개, 흑점 5개
 
AIDA64 Extreme로 살펴본 모니터의 스펙입니다.

1460588169_9d6fc3d2c72bdca4ef47934c44c1a

 

모니터의 기본 기능 중에 눈 보호 모드의 경우, 한글 문서 작업이나 텍스트 등을 읽을 때 등, 
장 시간 사무실에서 PC로 작업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할 듯 합니다.

1460588185_931c9be034f5f51fc37124420c681

 

색 표현력과 명암비가 뛰어나고 편안한 동영상 시청이 가능한 커브드 모니터로 애니메이션이나 영화 감상 등이 일품일 듯 합니다.
1460588297_cdcf3ba62990f87be9b5cdd6fa9b1

1460588309_5333b3b8e084afdda8116b0d8770d

 
 C24F390F 모니터의 기본 기능인 게임 모드를 실제 게임 상에서 적용해보았습니다. 게임
상에서 암부로 표현되어 어두운 부분들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효과가 있네요~
z37 겜모드.jpg

 

z38.jpg

 

z100.jpg

마지막으로 삼성과 LG 모니터에서 동영상을 재생 -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4K(UHD) 음악 동영상으로 동영상 업로드시 음악 소리가 들어갈 경우 저작권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에 음 소거를 한 상태로 촬영하였습니다.
 
[ 좌측 - LG (HDMI) ]  [ 우측 - 삼성 (D-SUB) ]  C24F390F


[ 좌측 - LG (D-SUB) ]  [ 우측 - 삼성 (HDMI) ]  C24F390F

 
 C24F390F 모니터는
뛰어난 색 표현력과 높은 명암비, 178도의 광시야각과 인체공학적 설계인 1800R의 곡률이 적용된 커브드 패널로 인하여
컴퓨터로 각종 문서작업 내지 동영상 감상, 게이밍 등을 할 적에 높은 몰입감을 선사해줍니다. 모니터의 기본 기능인 눈 보호 모드의 경우 각종 문서 작업을 할 적에 편리하다는 생각이 들었으며, 게임 모드의 경우 게임 내에서 어두워서 잘 보이지 않는 부분을 선명하게 드러나게 해주는 편리함을 제공합니다. 진한 색감의 IPS에 비해 좀더 화사한 느낌의 VA 패널의 사용으로 보다 따뜻한 색감을 느낄 수 있으며, 국내 모니터 산업의 양대 산맥의 선두 주자답게 삼성 C24F390F 모니터의 경우 그 어떠한 결점도 없는 무결점을 자랑하는 제품이었습니다. 
조그 셔틀이라는 조이스틱 버튼으로 전원을 켜는 것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OSD 메뉴를 손쉽게 선택 조절할 수 있으며,
25W 이하의 낮은 소비전력과 0.3W 이하의 낮은 대기전력에 보다 가벼워진 무게 - (스탠드 제외) 2.8kg, (스탠드 포함) 3.3kg, 1920 X 1080P의 FULL HD 해상도, 그리고 이 모든 걸 다 갖추고서도 20만원대 초반의 놀라운 가성비를 지닌 제품이었습니다.

 

딱히 단점은 찾아볼 수 없었으며, 다만 살짝 바라는 점은 L사도 마찬가지이긴 하지만 무상 AS 기간(현재, S사와 L사 모두 무상 보증 기간 1년, 패널 2년)이 좀더 길었으면 하는 것입니다. 

 

이상으로 필드테스트를 마치겠습니다.

스샷의 압박이 상당하고, 쓰다 보니 꽤 길어져 버렸는데, 이다지도 긴 글을 읽어주신 삼성전자와, 플레이웨어즈의 모든 회원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저를 체험단으로 선정해주신 삼성전자와 다나와에 다시 한번 더 감사드립니다.

 

'이 사용기는 삼성전자와 다나와 체험단을 통해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Lv87 나유타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