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케이스/파워] 80PLUS 인증과 애프터 쿨링으로 새롭게 업글된 파워,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500W

아이콘 나유타
조회: 1156
2016-10-23 09:52:01


 

z01.jpg

 

마이크로닉스의 Classic II 시리즈는 가성비와 효율이 좋은 보급형 파워로 널리 사랑받고 있는 제품인데, 얼마 전 부터 애프터쿨링 효과와 80PLUS 인증 까지 받은 업그레이드된 버전으로 돌아왔습니다. 업글되기 이전에도 80PLUS 인증을 공식적으로 받지는 않았지만 실제론 최대 85%의 효율을 보여주긴 했었죠.
클래식2 500W의 경우 원래 오픈마켓 기준 최저가는 4만 5천원대였는데, 오늘 확인해보니 오픈마켓 기준으로 43,700원으로 나와 있군요. 다른 파워 제품들도 전체적으로 가격이 인하되어 있는 듯 합니다.

 

z02a.jpg

1477181661_dfd7942edc6ecafbb276ddc71e701

 액티브 PFC를 채용하여 99% 역률을 방지하며, 하스웰 & 스카이레이크 모두 완벽하게 지원하고, 대기 전력 1W 이하, 80PLUS 인증에다가 애프터쿨링 효과로 내구성 까지 향상되었습니다. 대만 TEAPO사의 105도 메인 커패시터를 사용하며 12V 다중 레일이 아닌 싱글 레일을 채용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2V 가용량은 최대 450W이며 무상 보증 기간은 3년입니다.

 

제품은 완충재=뽁뽁이로 두툼하게 감싸져서 안전하게 도착하였습니다.

1477181689_8f06da5ee18ed07348b97b234dc75

 
제품 박스의 뒷면엔 85%의 효율, RoHS 인증, 12V 싱글레일 채용, 액티브 PFC 등의 특징이 영어로 서술되어 있습니다.
1477181702_ea3176c17bfba6a5f52439f194f76

 전면에도 싱글 레일, 액티브 PFC, RoHS, 애프터 쿨링 등의 특징이 나와 있으며, 보증 기간은 3년으로 나와 있습니다.

 

다음은 측면입니다.
1477181728_43405ea171ec143232394c7e535b1

 한쪽 측면에는 케이블과 커넥터의 종류에 대해 나와 있고, 다른쪽 측면에는 파워의 효율에 대해 기재되어 있습니다.

 

제품을 개봉해보았습니다. 
박스에 손잡이가 달려 있어서 박스채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네요.
1477181745_0aa58be782f659a705f77ee62fb4b

 

구성품은 파워 본체와 전원 코드, 4개의 파워 고정 나사와 한 장의 품질보증서입니다.
1477181764_ae6940919293e26cd2b57ebd18dd2

제품보증서에는 주의사항과 무상&유상 서비스 기준에 대한 설명이 들어 있으며 하단엔 고객 지원 센터의 연락처가 기재되어 있습니다. 
전원 코드의 경우, 플러그 쪽에는 16A - 250V라고 나와 있으며, 파워와 연결하는 커넥터 쪽에는 10A - 250V라고 표기되어 있습니다. 그 외에도 각종 인증 마크가 상당히 많이 찍혀 있네요. 빨간색의 마이크로닉스 스티커가 붙어 있는 특징도 있습니다.

 

1477181783_6c2e1e99a726d57a085f16c07f741

 

다음으로 각종 커넥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각각의 커넥터가 다채로운 컬러로 구분되어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1477181795_089b4c26761c55274d00abb233033

 

1477181804_de0f41cc019a3b362c232b2f34a4b

 

1477181812_cb36e6e2118c079e730887f5afa31

각각의 커넥터가 색깔별로 확실하게 구분되어 있으며, PCI-E 케이블의 경우 하나의 케이블에 6+2핀의 2개의 커넥터가 달려 있고, SATA 커넥터는 2개의 케이블에 각각 3개의 커넥터가 달려 있습니다.  IDE의 경우 하나의 케이블에 3개의 IDE 커넥터가 달려 있고,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FDD 커넥터도 1개 달려 있습니다. 
다소 특이한 것은 보조 전원(CPU) 커넥터가 8+4핀의 형태로 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대개 일반적으로 4+4핀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마이크로닉스 클래식2의 경우 8+4핀으로 되어 있는 점이 신기하군요. 아마도 구형 보드(4핀을 사용)와 최신 보드 모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려한 걸로 생각됩니다.  

 

다음으로 파워 서플라이 본체를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 보겠습니다.
1477181831_a1bce672f689e24400532e966374c

 한쪽 측면에는 전력효율표와 제품 박스에서도 보았던 여러 특징들이 서술되어 있으며, KC, CE, CB 등 각종 인증마크도 기재되어 있네요. 반대쪽 측면에는 마이크로닉스 클래식2라는 제품명이 검정과 보라색의 배색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배기홀의 경우, 육각형 벌집 형태의 타공망이 아닌 사각형 형태의 타공망이 형성되어 있으며,
1477181844_6d0811dc8ae438258cffbd483212b

 흡기홀엔 120mm 팬이 달려있는 것이 보이네요. 흡기홀의 하단쪽에 봉인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는데, 봉인씰을 제거할 경우 무상보증을 받는데 제한이 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필자는 내부를 확인하면서 테스트하기 위하여 과감하게 제거해보았습니다.

 

아래 사진은 파워 내부의 모습입니다.
1477181866_3be4c9e9e07b057661390d72d3c3c

바로 위에 보이는 사진은 AC 전원 입력부로 EMI필터가 탑재되어 입력 라인의 노이즈로 인한 파워 서플라이 내부 부품 손상을 방지하고 외부 기기를 보호해주며 보다 안정적인 전류 공급을 가능하게 합니다.

 

스위칭 트랜스입니다.
1477181879_2a3e7a8c26cefdfb761b6dd6dfa11

 스위칭 트랜스포머를 장착하여, 입력부의 전류를 과부하 & 과전류 없이 안정적으로 출력부에 전달할 수 있는 성능의 스위칭 트랜스를 구성하여, 안정적인 12V 채널 출력과 저발열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고효율의 출력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양쪽에 2개의 커다란 히트 싱크 방열판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1477181891_7bb39b971b93499779f4e11c2f63e

 히트 싱크 방열판 : 내부의 발열을 방출시키기 위하여 커다란 히트 싱크 방열판을 장착 
 
< 보호회로 IC칩(GR8313 컨트롤 칩셋) 탑재 >
① OPP (Over Power Protection) : 과전력 보호, 과부하 보호 설계로 시스템이 PSU의 허용치 및 용량보다 큰 전력을 필요로 할 경우 과부하 보호 기능이 자동으로 활성화 됩니다.
② OVP (Over Voltage Protection) : 과전압 보호로 전압이 자체 허용 수치보다 높게 증가하면 PSU에서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스위치를 차단합니다.
③ UVP(Under Voltage Protection) : 저전압 보호 설계, 전압이 자체 허용 수치 아래로 떨어지면 PSU에서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스위치를 차단합니다.
④ SCP (Short-Circuit Protection) : 단락 보호, 합선 현상이 발생한 경우 보호 기술이 활성화되어 PSU의 핵심 부품 및 컴퓨터 부품의 손상을 방지합니다.
1477181911_0f54639bfc9981eb0332731d5f104

  저가형 페라이트(FERRITE) 코일이 아닌 고가형 SENTUST 코일을 사용합니다.
 
평활 커패시터는 TEAPO사의 330uF 400v 105도 정류 콘덴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보급형 파워의 경우엔 주로 85도 컨덴서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마이크로닉스 클래식2 500W 제품의 경우엔 TEAPO사의 105℃ 콘덴서를 채택하여 교류 전압을 안정적인 직류 전압으로 변환해 파워의 안정적인 동작과 고효율을 도모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1477181925_17322a9901e9146cfd0d7bb028cc4

 

내부 부품 보호를 위하여 접지 설계가 구성되어 있으며, 출력 파트 부분엔 깔끔하게 선이 정리되어 있고 출력파트 쪽에도 105도 콘덴서가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AUTO FAN CONTROL 기능으로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팬의 RPM이 변화하여 최적의 내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액티브 PFC를 채용하여 전력 손실을 최소화시키고 99% 역률을 방지하여 효율을 최대한으로 향상시킵니다.

 

120mm 팬의 경우, GLOBE FAN사의 슬리브 베어링 팬이 사용되었습니다. 
(모델명 : S1202512L, DC 12V, 0.18A)
1477181944_4d91ca5f9f92cd72eb96827c7ab84

 

 
다음으로 파워 서플라이 테스터를 이용하여 전압값을 측정해보았습니다.
z20.jpg

 전압변동률 표로 ±5% 이내가 정상 허용 범위입니다.
  
1477181974_9e87b053afa7a4e3e73551f9c4526

 각각의 커넥터를 개별적으로 연결하였을 때와 전부 연결하였을 때 모두 너무나 안정적인 전압값이 측정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메인 시스템에 연결한 뒤, 
z22.jpg

 메인보드 바이오스에서 확인한 전압값입니다. +3.3V, +5V, +12V 전부 정상적인 수치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OCCT 테스트를 측정해보았습니다. 소프트웨어인 OCCT를 이용한 경우 측정값 자체가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단지 OCCT 테스트 통과 여부에만 중점을 두면 되겠습니다.

 

[ 테스트 PC 사양 ]
CPU : Intel i5-4690
CPU 쿨러 : DEEPCOOL GAMMAXX 300 FURY BRAVOTEC
RAM : AVEXIR DDR3 8G PC3 12800 CL11 CORE RED 24GB
M/B : 기가바이트 G1 Sniper B6
SSD : 샌디스크 X110 128GB
HDD : Seagate 2TB Barracuda ST2000DM001 (SATA3/7200/64M) x2
        Toshiba 3TB DT01ACA300
VGA : ZOTAC GTX960 OC D5 2GB
POWER :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500W

 

z23.jpg

 

z24b.jpg

 
★ 장점
1. 액티브 PFC를 채용하여 99% 역률 방지
2. 12V 싱글 레일
3. 최대 85%의 효율에 80PLUS 인증
4. 애프터 쿨링 효과로 내구성 향상
5. 보급형 제품임에도 TEAPO사의 330uF 400v 105도 메인 정류 콘덴서가 사용됨
6. 화려한 색깔별로 구분되어 있는 커넥터에 IDE 4핀 커넥터는 3개, SATA 커넥터는 6개로 넉넉한 확장성

 

★ 단점
1. 보조 전원(CPU) 커넥터가 8+4핀 형태로 되어 있는 점은 호불호가 갈릴 듯 합니다. 5만원대 이하 케이스 제품 중에서 보조 전원 커넥터 홀이 지나치게 협소하게 제작된 케이스의 경우 4핀 짜리가 겨우 통과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경우도 있는데 클래식2의 커넥터의 경우 8핀이 4+4핀의 형태로 제작되어 있지 않기에 보조 전원 홀을 이용할 수 없게 될 수도 있습니다. 
2. 80PLUS 인증 마크가 파워 본체 내지 제품 박스에 붙어 있으면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500W는 4만원대의 보급형 파워임에도 12V 싱글 레일을 채용하였고, 액티브 PFC로 99%의 역률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하고, 이번에 새로이 업그레이드 되어 최대 85%의 효율에 80PLUS 인증까지 제대로 받았기에 가성비와 효율성이 상당히 인상적인 파워입니다. 내부의 부품 역시 우수한 제품군을 사용하였고, 애프터쿨링 효과 까지 가미되어 효과적으로 발열을 해소할 수 있어 내구력이 향상되었으며, 팬 소음 역시 상당히 정숙한 제품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상으로 필드테스트를 마치겠습니다.

 

'이 사용기는 한미마이크로닉스와(과) 다나와 체험단을 통해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experienceReviewIncrease.php?p=LtbYsujIC

Lv87 나유타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