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하드디스크] 엠지텍 MG870 vs 리뷰안 880K vs 마이크론 BX200 비교 사용기~!!

아이콘 나유타
조회: 2849
2016-07-04 02:53:20


 

z01.jpg

 

최근 게이밍기어 뿐만 아니라 SSD 분야에서도 수많은 제품군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요, 이번엔 그 중에서 특히 국내 기업에 속하는 리뷰안테크와 엠지텍의 SSD를 비교분석해보는 시간을 마련해보았습니다. 추가적으로 국내 기업은 아니지만 마이크론의 BX200도 같이 비교해보겠습니다~^^
 
우선 엠지텍 MG870 240GB의 외관입니다~
z03.jpg


 엠지텍이라는 회사에 대하여 잘 모르시는 분들도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일단 엠지텍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외장 하드로 상당히 유명한 곳이죠. 무려 1997년에 설립된 회사로 최근엔 외장 하드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스피커, SSD 등 다양한 분야의 라인업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도 엠지텍에서 SSD까지 만드는 줄은 올해에 첨을 알았군요~^^;
 
아래의 사진은 현재 보유중인 엠지텍 외장 하드들입니다~
z04.jpg

 왼쪽에 보이는 것이 MSIG-SU2 40GB HDD (엠지텍 제품) 로 2005년 3월 29일에 구매했던 제품입니다. 그리고 가운데 블랙 모델이 MG25테란2 500GB로 2010년 02월 19일에 구매했던 외장 하드입니다.
 
그리고 아래에 보이는 것이 3.5인치 외장 하드인 엠지텍 MG35-Z3 2TB입니다.
z05.jpg

 E-SATA 방식의 외장 하드를 써보고 싶어서 2012년 01월 26일에 구입했던 제품입니다. 현재 다나와 검색해보니 2TB의 경우 단종 모델이군요.
특이하게도 3개의 외장 하드가 전부 삼성 하드더군요~ 40GB 제품은 처음부터 삼성 하드가 들어간다고 상품페이지에 명시되어 있었지만, 나머지 2개의 경우 삼성 / 웬디 / 시게이트 제품 중에서 랜덤으로 들어간다고 명시되어 있었는데, 받아보니 전부 삼성 하드더군요.. ^^;;;
 
본론으로 들어가서..
현재 엠지텍의 SSD는 이번에 비교 대상이 된 엠지텍 MG870 뿐만 아니라 MG870s도 있고, MX970이라는 MLC 제품도 있고, MX950 M.2라는 M.2 SSD도 있더군요~
참고로 엠지텍 MG870와 엠지텍 MG870s는 TLC 제품군입니다.
엠지텍 MG870은 TLC SSD로 읽기 속도 560MB/s, 쓰기 속도 503MB/s로 상당한 수준의 속도를 보여주며 Phison PS3110-S10 컨트롤러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보증기간은 3년이군요.
 
필드테스트에 사용할 메인 PC의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필드테스트 PC 사양] 
CPU : Intel i5-4690
RAM : 아벡시아 DDR3 PC3-12800 24GB
M/B : 기가바이트 G1 Sniper B6
VGA : ZOTAC GTX960 OC D5 2GB
POWER : POWERREX REX3 600W 
OS : 윈도우7 얼티메이트 X64
 
비교 대상인 SSD입니다~
z06 a.jpg

왼쪽에서 부터 [ 리뷰안 880K 256GB ] / [ 마이크론 BX200 240GB ] / [ 엠지텍 MG870 240GB  ] 입니다.
 
우선 크리스탈 디스크 인포로 정보 확인을 해보았습니다.
1467566633_8b7e4cbdd00c9f1abb69ccb529974

 
- 설정 사항 - 
PC의 전원 관리 옵션 : 고성능으로 설정
제어판 - 장치관리자 - 디스크 - SSD 속성 탭에서 장치에 쓰기 캐시 사용, 장치에 대한 윈도우즈 쓰기 캐시 버퍼 플러시 끄기 2개 모두 체크 후 테스트
 
1. HD Tune Pro 5.60

1-1. 벤치 마크 (읽기 /쓰기 ) 진행 전 설정 사항
- 파티션 파티션 볼륨 미생성 미생성 후 진행
- 파일 > 옵션 > 벤치 마크 > 블록 크기> 8MB 설정 확인

 

우선 읽기 속도입니다.
1467566659_68f082873424cfee281a49c89eb1a

 
엠지텍 MG870이 평균 속도 525.6MB/s, 마이크론 BX200이 522.1MB/s, 리뷰안 880K가521.2MB/s로 읽기 속도에선 3개의 SSD가 모두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으며, 엠지텍 MG870이 근소하게 1위를 차지했군요~

 

다음은 쓰기 속도입니다. 
1467566678_32f4f8a8fd655ca8f61a793c7cc5f

  쓰기 속도에서는 리뷰안 880K (427.0MB/s) > 엠지텍 MG870 (105.5MB/s) > 마이크론 BX200 (63.7MB/s)의 순서대로 나왔습니다.

 

1-2. 2. 파일 벤치 마크 진행 전 설정 사항
- 파티션 볼륨 생성 상태에서 상태에서 벤치 마크 진행
- 파일 > 옵션 > 벤치마크 > 블록 크기 > 8MB 설정 확인
- 파일 길이 > 10000(10GB) 설정
- 데이터 패턴 > 랜덤 (Random)
- 블록 크기 측정 체크 > 파일 길이 64MB

 

다음은 파일 벤치입니다.
1467566698_e3a0890f4cf2cf11b1d10231fcc6d


엠지텍 MG870이나 BX200 240GB의 경우 1000MB로 세팅하여 측정할 경우 준수한 결과가 나왔지만 10000MB(10GB)로 세팅하여 측정하니 SLC 가속 쓰기 기술의 캐쉬 효과가 사라지면서 엠지텍 MG870은 4GB 이후 부터, BX200 240GB는 2GB 이후 부터 쓰기 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에 MLC 제품인 리뷰안 880K는 읽기와 쓰기 속도 모두 일관된 모습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실제 SSD 유저들이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SSD 성능 테스트 프로그램인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입니다. 
 
 
2. Crystal Disk Mark 5.1.21.2 x64

 
- 데이터 패턴 무작위 : Settings : Settings → Test DATA → Default (Random) 선택
- 횟수 5회, 사이즈 32 GiB, Disk 선택
- 테스트 테스트 간격 시간 : Settings -> Interval Time > 5 sec 선택
- All 실행

 

1467566725_ed57819dbc9d85d93d33475464cbb

측정값을 32GB로 설정하였을 때 읽기 속도는 3개의 제품 모두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반면, 쓰기 속도에선, 엠지텍 MG870이 97로, 마이크론 BX200이 249.4로 속도가 상당히 저하된 모습을 보여줍니다.
 
참고로, 1GB로 설정하였을 때의 엠지텍 MG870과 마이크론 BX200의 비교 결과값입니다~
1467566742_8bda7b4808f0ec55db0d633633ae8


둘 다 상당히 좋은 결과값이 나왔습니다. 엠지텍 MG870의 결과값이 마이크론 BX200보다 좀더 높게 나와서 조금 놀랐네요~

 

 

다음은 AS SSD Bench Mark 측정값입니다.
 
 3. AS SSD Bench Mark 1.8.5636
- Disk 선택 , 사이즈 10GB
- View → MB/s 측정
- View → iops 측정
- Start 실행

 

1467566768_6fad9be7c7f027fd264b55a3fced0

 
 리뷰안 880K가 스코어 914점으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엠지텍 MG870이 583점, 마이크론 BX200이 646점을 기록하였습니다.

 

 

4. AnvilBenchmark_V1.1.0
- Test size 32 GB 설정
- Drive 선택 후 Run 실행


1467566787_f0e56e97cf9bd27d9b94fb769b066

 

 
5. 나래 온 더티 테스트 테스트 6.0.3
- 시험할 시험할 드라이브 드라이브 선택
- 남길 용량 10% 설정
- 속도 기록 단위 0.1%
- 윈도 캐시 효과 적용 활성화
- 로그 저장 (TXT파일 저장 경로 설정 )
- 시작

 

1467566805_b409e79aaf96eafadcaea0a83ffbe

 
[ 리뷰안 ]
***************************************
최대 속도 : 2375MiB/s
최소 속도 : 4MiB/s
평균 속도 : 477MiB/s
평균 속도 50% 미만 구간 : 0.4%
***************************************

 

[ 엠지텍 MG870 ]
***************************************
최대 속도 : 2447MiB/s
최소 속도 : 6MiB/s
평균 속도 : 295MiB/s
평균 속도 50% 미만 구간 : 85.6%
***************************************

 

[ 마이크론 BX200 ]
***************************************
최대 속도 : 2379MiB/s
최소 속도 : 10MiB/s
평균 속도 : 92MiB/s
평균 속도 50% 미만 구간 : 9.0%
***************************************

3개의 SSD를 각각 더티테스트를 하였을 적에 리뷰안테크 880K의 경우 거의 안정적으로 속도를 유지하는 반면에 BX200과 엠지텍 MG870의 경우 TLC의 특성상 어느 정도 데이터가 차게 되면 그때부터 SLC 가속 쓰기 캐시가 떨어지면서 속도 저하가 심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6. 파일 복사 테스트 테스트
- 파일 생성 사이즈 사이즈 10GB 이상
10GB짜리의 더미파일을 생성한 후에 3개의 SSD로 각각 파일 복사 테스트를 진행하여 보았습니다. 
 
z15.jpg

 

z16.jpg

 

z17.jpg

 

z18.jpg

 (10GB 더미 파일의 복사 속도 측정값)

 

리뷰안 → 마이크론 : 2분 20초 
리뷰안 → 엠지텍 : 1분 10초 
마이크론 → 리뷰안 : 24초
마이크론 → 엠지텍 : 1분 10초
엠지텍 → 리뷰안 : 24초
엠지텍 → 마이크론 : 2분 29초

 

리뷰안 내 파일 복사 : 23초
마이크론 내 파일 복사 : 2분 25초
엠지텍 내 파일 복사 : 1분 35초

 

3개의 SSD 사이로의 서로간 복사와 하나의 SSD 내부로의 복사 양 방향으로 진행해본 결과 MLC에서 TLC로의 복사 속도는 초반에는 상당히 빠른 속도를 보여주다가 캐싱 효과가 사라진 후 속도 저하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TLC에서 MLC로의 복사는 굉장히 우수한 속도를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MLC타입과 TLC 타입의 제품을 함께 사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거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엠지텍 MG870은 120 / 240 / 480 / 960GB 제품군이 있으며,
읽기 속도는 560MB/s, 쓰기 속도는 506MB/s 정도이며,
Phison PS3110-S10(쿼드코어) 컨트롤러를 탑재하고, 도시바 NAND 플래쉬 TLC 메모리를 사용한 제품으로 SLC 가속 쓰기 기술 (SLC Buffer Size Up) 적용된 SSD 제품입니다. MTBF 200만 시간을 보증하고, 작동 온도는 산업용 기준 -25 에서 +75도 까지 이며, 기본적으로 TRIM을 지원하며, 무상 보증 기간은 3년입니다. 

 

리뷰안 880K는 MLC 낸드 제품으로 읽기 속도 560MB/s, 쓰기 속도 450MB/s를 자랑하며, 안정성에 이미 충분히 검증이 된 SMI SM2246EN 컨트롤러를 채용하고, 보증 기간은 6년입니다. 

 

마이크론 BX200 실리콘모션 사의 SM2256EN 컨트롤러를 탑재하고, 읽기 속도 최대 540MB/s, 쓰기 속도 최대 490MB/s를 자랑하며, 보증 기간은 3년입니다.

 

최근엔 TLC SSD 제품군도 날이 갈 수록 점점 상향 평준화 되어가는 듯한 느낌이 드는군요.. 엠지텍 MG870과 마이크론 BX200의 경우 읽기 성능은 거의 MLC 제품과 맞먹는 수준인 듯 하고, 대용량 파일의 경우 SLC 가속 쓰기 기술에 있어서 SLC 캐싱버퍼가 2~4GB 이후 구간부터 떨어지기 시작하면서 상당히 속도 저하 현상이 나타나지만,  1~2GB 정도의 저 용량 파일의 쓰기 속도는 상당히 우수한 편입니다. 

 

이상으로 필드테스트를 마치겠습니다. ^^
 

Lv87 나유타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