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단은 귀에 딱지가 앉을 정도로 주인공에게 한말이 있는데
바로 다른 무언가에 의한 것이 아닌 주인공 스스로의 생각과 판단. 그리고 아크 = 희생. 이 두가지를 강조함.
그리고 지금까지의 아크는 끝없는 분쟁과 혼란을 야기한 원흉임. 이그하람이 아크라시아를 침공한 것도 찬란한 아크의 힘 때문이고 할과 라제니스의 전쟁도 원인이 무엇 되었든 아크가 중심이 되어 전개 됨.
포튼쿨 전쟁 역시 마찬가지고 새롭게 페트라니아의 제왕이된 카제로스 역시 아크라시아와 페트라니아를 하나로 만드는 것과 만들고 아크를 원했음.
그리고 이 과정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음.
카단은 이러한 것을 목도해왔고 아크가 곧 올바른 힘이 아니라는 것을 어느정도 눈치 챈거임. 운명에 의해 반복되는 아크의 분쟁과 아크의 개방과 사용은 희생을 만들뿐
근본적인 해결을 만들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생각함
만약 사슬전쟁때 카제로스를 소멸했다면? 결국 또다른 카제로스나 또다른 포튼쿨 전쟁이 일어났을거임(지금 황혼 스탠스로 봐선 포튼쿨 시즌2가 유력)
루테란이 카제로스를 봉인에 그친 이유도. 아크 없이는 카제로스를 막을 힘이 본인들에게 없음 + 카제로스를 소멸 시킨다면 아크의 대한 기억은 더욱이 사라진채 아크를 둘러싼 희생의 굴레가 반복 될거임. ← 이게 카단이 말하는 루테란이 한게 최선의 선택이라는 이유라 생각함
그래서 루테란이 선택한 것은 카제로스를 봉인하고 머지 않는 시기에 다시 준동할 악마와 아크에 대한 기억과 올바른 선택을 위한 멘토(에스더 특히 카단)등 이러한 밑작엊들을 준비한게 아닐까 생각중
그래서 이번 계승자인 주인공에게 아크는 희생이며 운명에 휘둘리지 않는 스스로의 생각과 판단이 중요하다고 강조해온것 주인공이 자신의 운명과 아크에 맹신하고 집착하지 않도록 경고를 해온거임
물론 아크없이 어캐 카제로스를 막을진 몰?루 아만이 희생될 것이라는 것이 유력할거같음.
비슷한 예시로 애니 이누야사가 있는데
절대적인 힘 + 그것을 모으는 여정 + 그 과정에서의 수많는 갈등과 희생 + 그것을 목도해온 주인공의 올바른 선택
조금 진부하지만 깔끔한 그런 결말로 1부가 마무리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라우리엘이 말하는 니가 원하는 미래는 오지 않는다.
= 카제로스의 그릇이 유력한 아만, 아크를 개방할 플레이어
이 두 존재가 결정적인 선택을 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라 생각함. 아만과 주인공 모두 빛의눈을 파괴하면 아크라시아가 멸망하거나 위기를 맞이할 것이라는 걸 알고 있음.
(:카양겔의 잔해들이 아크라시아를 덮칠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인공은 라우리엘도 막고 지상도 구원할것이라는 선택을 했고 아만은 당신답다며 최선을 다해 라우리엘을 막겠다고 했고 결국 과정에서 빛의눈을 파괴하는 결과가 나타남
그리고 그들의 선택이 끝났을때 '신의 개입'이 나타나서 아크라시아를 구원했음.
사슬전쟁 당시 가장 큰 문제중 하나는 '대답없는 신'
하지만 엘가시아에서는 라우리엘이 지상의 악마를 구원할 것이라 맹신한척한 절대적인 빛의힘을 파괴했음에도
프로키온이 개입하여 구원함. 신의 대답을 이끌어낸것.
이 선택이 추후 주인공과 그릇인 아만의 올바른 선택에 기점이 될것이고 신의 개입을 이끌어냈으니 카마인에게 니가 원하는 미래는 오지 않는다고 한것이라 추측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