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과 노하우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일반] 맵별 주요 운영 포인트

아이콘 이단옆차기
댓글: 8 개
조회: 4693
추천: 31
2015-01-15 03:01:46
밑에 비슷한 글이 있는데 중복 안되는 부분에서 제가 생각하는 몇가지 운영 포인트를 맵별로 일일히 댓글 달려다 귀찮아서 걍 한 글로 작성합니다.

1. 블랙하트 항만

지게로봇이 광산과 더불어 몹시 중요한 맵이며, 필자는 가즈로를 할 경우에도 왠만하면 항만에서는 지게로봇을 찍는편이다

왜냐하면 첫 포격시 미드 포탑과 우물이 다 만피였다면, 첫 포격을 맞고 나서도 미드 요새의 체력이 어느정도 온존하며, 첫포격시 깎인 피를 빠르게 지게 쿨마다 수리하여 만피를 만들어놓는다면, 힘으로 미드를 밀리지 않는 경우 두번째 포격에서도 탑의 타워피가 아슬하게 남고, 마찬가지로 이 타워를 수리하면 3차포격에서 탑요새까지만 내줘도된다. 수리를 안할경우에는 3차포격에서 봇 관문쪽 타워까지 피해를 입고, 4차포격에서는 봇 요새가 확정으로 깨지게 된다 (포격만으로도)

반대로 생각하면 상대편에 아바투르가 있다면 거의 지게는 필수로 찍는 분위기라, 아바투르가 있다면 첫 포격시 미리 오더를 내려서 5인 다같이 미드요새를 포격과 같이 철거해 내지 않는다면 위에 쓰인 과정이 반복되며+ 아바투르의 라인관리 능력으로 인해 경험치차가 벌어지게 된다. 미드요새를 같이 힘으로 밀지 못한다면, 은신캐를 활용하여 포격 직후 미드에 붙인 수리로봇을 빠르게 꺠고 나오는것이 상당히 좋다.

이를 생각한다면 초반 라인전에 미드에 힘을 실어서 미드쪽 건물을 좀 부셔 놓는다면, 첫포격에 미드 요새를 안정적으로 날릴수 있기때문에, 초반에는 미드에 힘을 실는편이 좋다.

폴스타트와 빛나래의 매수가 굉장히 좋은 맵으로, 다른캐릭과는 달리 폴스 빛나래는 적 거인을 먹고도 빠르게 퇴각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수로 적 거인을 먹어버리면, 그 거인을 막는 사이 봇 투사를 챙길수 있고, 봇 투사를 챙기면서 우리쪽 거인을 챙겨서 2용병과 같이 힘으로 봇을 밀어버리는 것이 수월해진다

상대할떄도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하는부분이다.

우두머리는 확실하게 먹을수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상대방으로 하여금 뒤치기, 입금, 봇3캠프정리 후 3용병동반 파워러쉬 라는 삼지선다의 선택권을 주기때문에 무리하게 시도하는건 별로 추천하지 않는다.

확실하게 먹는 경우라면 위의 세가지 상황을 다 배제 하는 경우에 먹는걸 추천


2. 죽음의 광산 

흔히 골렘 해골 숫자 밀리면 무조건 진다고 생각을 하는데, 시작시 골렘 진행 방향을 본 후, 그쪽에 4명이 가서 파워 푸시를 해서, 타워 탄약 및 체력을 뺴거나, 부셔놓는다면 골렘 수가 적더라도 골렘이 더 전진할수 있는 여지를 준다. 따라서 초반 푸쉬가 월등한 캐릭이 이득을 보기 좋고, 중국 대회에서 광산에서 이를 위해 자가라를 픽하는 모습도 보여줬다.

마찬가지로 골렘 진행방향에 4인이 간다면, 솔라인을 서는 캐릭터는 라인 클리어 능력이 좋은 캐릭이 가야 한다. 타워 탄약 소모를 최소화 하면서도 경험치 로스가 없도록 안죽을수 있는 캐릭 (ex 아서스, 태사다르)

광산 내부에서 작은 골렘중 9시와 중간의 무리는 다른 무리에 비해 주는 해골수가 많으므로, 힘싸움에서 이길수 있는 상황이라면 내부 진입후 이 근처에서 모여서 빠르게 차지하는것이 좋다. 반대로 밀리고 있는 경우라면 9시 중간을 내주고 다른쪽을 빠르게 챙기는 것이 좋다. 

아즈모단 자가라 가즈로 등의 전문가 캐릭은 빠른 속도로 무덤골렘을 솔플 가능하므로, 광산 카운팅때 미리 내부에 자리잡고 젠되자마자 무덤골렘을 솔플해내면 혼자 30개라는 많은 양을 확보해 낼 수 있다.

그리고 왠만해서는 골렘 나왔을시 공격을 가는것이 무조건 유리하다. 무덤골렘의 땅찍기 데미지가 상상초월이기 떄문, 40: 60 정도의 차이정도라면 막다가 상대방이 다이브 들어와서 죽는것보다 건물을 그냥 내주고 5명 다같이 공격가서 
특히 cc가 좋은 영웅들이라면, 들어가서 cc를 넣은 사이에 골렘이 뿌리묶기나 땅찍기를 사용해준다면? 역전의 찬스를 만들수 있는 여지가 생긴다
(스랄 패치 이후로 데미지 원래대로 줄어듬) 그냥 골렘수 밀리면 수비합시당.

+ 추가로 골렘 수비시 1인 수비라면 땅찍기를 쓰지 않습니다. 그러니까 어중간하게 두명이 막을바엔 그냥 용병처리 빠른 아즈모단 자가라 가즈로 이런애들이 혼자막으면서 투지게 불러내면 혼자막는게 효율 더 좋습니다. 투지게로봇을 요새나 성채 뒤쪽 먼곳에서 불러낸다음 혼자서 수비하면 80골렘 정도 까지는 혼자막으면서 요새나 성채 안날라갑니다. 3지게로봇도 해봤는데 90 골렘인데 오히려 요새 성채 피가 차오릅니다.

 
그 이상의 차이라면? 그렇게 차이가 벌어지도록 광산싸움 못한 우리편 잘못이니 그냥 건물 내줘라

그리고 독살을 가진 영웅이 많을 경우, 초반킬이 안나왔을 경우, 첫 광산에서 바로 진입하지말고, 탑봇경험치를 다 챙긴 후 4를 찍자마자 독살을 비롯한 4렙특성으로 뒤치기를 하면 높은 확률로 킬을 가져올수있고, 남은 해골을 다챙겨도 충분하다
 
 

3. 용의 둥지

초반 7레벨 이전까지의 용기사는 몹시 약해서, 굳이 초반에 신단을 무리하게 차지하는거보다는 내주더라고 경험치 안밀리는게 더 중요하다. 

용병캠프끼리의 거리가 매우 짧기때문에, 용병의 왕 특성이 상당히 좋다.

특히나 신단싸움하는 와중에 반대편을 용병왕 받은 용병이 쓱싹쓱싹 밀어내는 효과가 크고, 봇의 경우 매수를 통해 그 효과를 더 극대화 할수 있다.

용기사의 날리기 공격은 날리러 대쉬하다가 자기에게 부딛히는 순간 이동기를 쓰면 캔슬 가능하다. 스턴이나 속박 역시 가능

용기사를 먹었다고 무리하게 미니언 없는데 타워에 몸을 대고 미는 경우는 수비하는 상대 영웅이 없을떄나 하길 바란다 물론 그럴리 없겠지만. 생각보다 초중반 용기사 몸빵은 타워 여러개와 영웅들의 공격을 받아가면서 밀수있을 정도로 좋은편이 아니니, 돌격병이 없다면 브레스로 돌격병 정리 후 돌격병과 같이 미는걸 추천한다.


4. 저주받은 골짜기

첫공물은 왠만해서 내주는 편이 솔큐에서는 어느정도 유리한 편이다. 첫공물에 목숨건 사람들 라인 비우는 사이에 챙긴 경험치로 인해 빠른 7렙으로 2번째 공물싸움에선 엔간해선 지지않고, 2번째 공물을 레벨차로 인해 손쉽게 가져간 이후에는 3인은 라인경험치, 2인은 깜짝우두 같은 전략이 가능해진다. 우두를 먹지 않았더라도 3번쨰 공물 직전에 투사과 거인을 굴린 후 3번째 공물 싸움을 하면, 시간을 끌면 이득이 된다. 이로 벌어진 경험치는 10 또한 먼저 찍을수 있게 해준다.

공물 싸움에서 시간을 끌면 끌수록 아바투르나 기타 테러로 운영하는 캐릭들에게 타워철거로 인한 경험치 이득을 볼수 있게 해 주므로, 이번 공물을 취할것인지 버릴것인지는 빠르게 판단해야된다. 상대보다 머릿수가 적다면 진짜 어지간하면 포기하는편이 좋다. 

라인이 많이 밀어논 상태라면 저주를 내주더라도 건물 피해가 크게 없을수도 있기때문에, 라인 상태 역시 공물을 취할것인지 버릴것인지 택할수 있게 해준다.

이번 공물을 내줘야 되서 저주타이밍이라면, 용병캠프를 저주타이밍에 맞춰 먹으면 피해를 줄일수 있다.

그리고 보고 아군 쪽에 가까운 공물이라면 시간 끌수록 유리하고, 적군에 가까운 공물이라면 시간 끌수록 불리하다. 합류 타이밍과 부활후 합류 타이밍 때문에


5. 공포의 정원

첫밤 정원 공포는 피도 적고 데미지도 적게 들어와서, 2인정도면 무난하게 빠른 사냥이 가능하다. 하지만 4레벨을 먼저 찍고 정원 공포를 사냥하는것이 갑작스런 교전에서 대응하기 좋다.

첫밤이외의 밤 타이밍떄의 정원공포는 최소한 3 이상이 아니라면 무리하게 시도하지 않는것이 좋다. 잡다가 피가 많이 빠지게 되고, 그때 뒤치기 들어오면 피해가 막심하다.

상대방이 소환한 정원공포는 cc가 좋은 캐릭터가 막는편이 좋다. 제이나 같은 슬로우를 지속적으로 걸어준다거나, 스턴등의 cc로 인해 아군 건물까지 오는 시간을 지연시켜 주고, 피를 다 뺴서 파괴하는방법도 있지만 이렇게 cc를 통해 아군 건물 피해를 최소화하고, 시간 만료로 공포를 막아내고, 그사이에 우리 아군들과 아군 정원 공포는 더 빠르게 상대 건물 철거를 할수 있기 떄문이다.

정원 공포를 탄 사람은, 초반은 건물 철거 위주로(초반에는 정원공포의 대인능력은 별로이고, 건물을 철거할수록 경험치 이득으로 빠른 7, 10레벨을 가져올수 있다), 후반에는 강력한 싸대기와 변이cc를 이용한 한타참여에 각각 비중을 두면 된다. 

이외에 자신이 생각하시는 팁이라면 댓글로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Lv72 이단옆차기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