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4 시즌 골드였고, 지금은 다5 서식중임.
랭게임의 시작을 실버부터 해서 브론즈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비슷하다 보고 시작하겠음.
1. 사용할 챔피언의 숙련도
너무 당연한 거지만 몇 가지 챔프로 예를 들어보자면
직스의 w로 점프를 하거나 상대방 챔프를 원하는 방향으로 띄울 수 있다.
야스오의 e로 계산된 무빙을 할 수 있고, 바람장막이 어떤 스킬들을 막는지 알고 쓸 수 있다.
럼블의 열 수치에 따른 스킬의 차이를 알고, 활용할 수 있다.
리신이나 제드로 남아 있는 기력의 양을 보고 어떻게 스킬을 쓸지 감이 온다.
위의 예시처럼 정확하게 못 하더라도
특정 상황에서 이렇게 해야지 또는 반사적으로 손이 나가는 정도면 충분하다.
설령 판단이 틀렸더라도 경험치가 쌓이면서 실력이 좋아진다.
2. 아이템의 선택
흔히 게임하다 보면 "너 왜 그거 갔음?" 이런 말이 오고 가는걸 경험했을 것이다.
아이템의 선택 유무는 개인의 취향 이지만
이 글은 골드까지를 위한 글이기에 라인전에서의 상황들을 예로 들겠다.
내가 아리고 상대방이 제드일 때
제드가 파고들어서 궁을 써도 침착하게 매혹을 맞추고 싸울 수 있다면 딜템을 가고
자신이 없다면 존야를 간다.
상대방이 피들같은 걸 했다면 초반에 헤르메스를 올려 본다.
상대방이 티모고 내 챔프가 평타 기반이면 1, 2코어 이후 벤쉬나 퀵쉴을 가본다.
물론 챔피언 공략에 다 나와 있지만 스스로 선택할 줄 알아야 실력이 좋아진다.
3. 챔프간의 상성
공략에도 있듯이 챔프간에는 상성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 상성은 개인차로 인해 100%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참고만 하고 경험해 보는게 중요하다.
그리고, 상성은 특정 타이밍이나 아이템으로 인해 바뀔 수 있다.
타이밍을 예로 들면 내가 티모고 상대방이 아칼리라면
6렙 전 까지는 내가 무조건 이기지만 6렙부터는 원콤에 죽을 수 있다.
아이템을 예로 들면 내가 나서스고 상대방이 티모라면
망령의 두건이 나오면 거의 프리파밍이 되고,
그리고 스택이 어느정도 쌓이면 블라디가 이길 수 없다.
이런 식으로 내가 강할 때와 약할 때를 파악할 줄 알아야 라인이 터지지 않는다.
4. 운영
골드 까지는 솔직히 운영이 필요하다고 생각지 않는다.
핑찍히는 것도 안맞고 오라고 해도 안온다.
그냥 마음 놓고 하면 될거 같다.
5. 한타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보는건 포지션과 기세다.
포지션은 대치 상황에서 사려야할지 들어가야할지 지켜야할지를 파악해서 움직여 줘야한다.
예를 들면 내가 레오나일 때 궁을 쓰면서 들어가면 이길거 같을 때는 들어가고
딜러가 살아남아야 이길거 같을 때는 옆에 붙어서 보호해준다.
기세는 오브젝트를 먹을 때 길목앞에서 적이 못오게 견재 혹은 무빙을 하고,
타워를 부술 때 달려 들 것 같은 무빙이나 스킬 사용으로 위협을 준다.
공략은 이정도 까지 하고, 경험에 비추어 볼 때
1, 2, 3만 지켜도 골드는 충분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