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 매일 출근해서 쉴때마다 눈팅하곤 하는데..
몇일동안 자주포 포각과 조준에 관한 화제로 여러가지 팁이 나오고 토론이 지속되는거 같아서..
8티 자주타는 저도 어느게 정답(?)인지..(사실 머리는 장식이고 거의 감으로하죠..넹..) 고민하다 직접 한번 써봅니다.
물론, 저 역시 제 경험과 생각을 말하는 거고, 상황에따라, 사람에 따라 틀릴 수 있겠습니다만..
일단 월탱의 자주포 포각과 그 오차에 대한 제 생각(가설)은..
자주포의 에임 오차는 "기준각"에 대해 조금 더 고각, 혹은 저각으로 발사됬다는
것을 기준으로 앞/뒤 오차가 정해지고, 좌/우로 기준각에서 틀어질 수 있다는 것을 기준으로 좌/우 오차가 적용된다.
입니다.(+포각=사거리 즉, 포각이 고각일수록 사거리가 김)
이에 의거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되겠죠.
(포샵같은 거 못배워 먹은 놈이라 만능 그림판으로 그렸습니다ㅠㅠ..)
초록색 선이 조준점을 기준으로 한 이상적인 예상 포 궤적
빨간색 선이 조준점을 기준으로 좀더 고각으로 날아갔을 때 오차를 적용한 예상 포 궤적
파란색 선이 조준점을 기준으로 기준보다 저각으로 날아갔을 때 오차를 적용한 예상 포 궤적
이 되겠습니다.
그럼 저각부터 보면..
(위의 검은 선 3개는 좌우 오차를 설명용이고.. 아래 포물선들은 앞뒤 오차를.. 초록색 원과 점은 각각 게임상에서 보이는 조준원과 조준점을 의미합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저각일때는 조그만 각에도 앞뒤로는 많이 퍼지게 되고, 반면 좌우로는 조그만 각이라도 날아가는 거리가 적어 위와 같은 탄착군 가지게 되죠.
(크기를 맞추느라 좀 이상하긴 하지만 고각과 중각은 두 그림간 폭이 다르다고 생각해주세요. 전부 포물선으로 가정.)
하지만 더 고각으로 쏴서 중각으로 가면..
자주포는 곡사로 쏘기때문에 앞뒤 각의 오차는 고각으로 됨에 따라 그 차이도 줄어 탄착군의 앞뒤 오차는 크게 줄고,
반면 좌우 오차는 포탄이 날아가는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더 커지게 되죠.
마지막으로 최고각으로 쏜다면..
앞뒤 오차로 인한 탄착군 범위는 더욱 좁아지고, 반대로 좌우 오차로 인한 탄착군 범위는 더 넓어지죠.
.
.
.
각설하고 이러한 원리라면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중~고각을 기준으로(어느정도 거리가 있는 적을 조준) 할 때..
앞부분을 조준하면(조준점을 적차량 중심보다 앞쪽으로 당기면) 파란원의 탄착군이 생기고,
중앙을 조준하면 초록색원처럼 생길 것이며
뒷부분을 조준하면 빨간원처럼 탄착군이 생기겠죠?
그렇다면..
앞을 조준하면 적 차량을 빗나갈 확률은 적어지겠지만 상대적으로 초록원이나 빨간원에 비해 저각으로
날라가므로 상부판정이 잘 나지 않을 것이고,
반대로 뒤를 조준하면 적차량을 빗나갈 확률을 늘어나겠지만.. 상대적으로 초록원이나 파란원에 비해
고각이므로 상부판정이 잘 나리라 생각됩니다.
(상부판정이 나면 고폭탄의 관통이 보다 용이하며, 정면에 비해 높은 확률로 화제, 유폭, 등이 발생
또, 이 글과는 무관한 번외 내용이지만, 측/후면을 노리는 것도 상부판정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냄..)
참고로 이 내용은 적 차량위로 에임점이 자동으로 당겨졌을 때 기준이므로, 바닥을 기준으로 조준했다면 해당 원의 중심점을 포물선 궤적 연장선을 따라 뒤에 찍어야 합니다. 이렇게하면 아래그림처럼 일반적으로 알려진 적전차 약간 뒤를 조준하라! 가 성립하죠.
보시면 아시겠지만 "바닥"을 기준으로 모식도를 그리면 뒤를 조준하는게 좋습니다.)
결론 : 적 차량을 블라인드샷이 아닌 조준을 하였을 경우, 에임점을 중심보다 뒤로
위치시킬수록 명중률은 떨어지겠지만 상부판정은 더욱 잘 난다.
반대로 보다 확실하게 명중시키고 싶다면 중심보다 앞쪽을 조준하는게 좋다
(노 타겟팅 샷의 경우, 차량 중심 혹은 중심 뒤쪽으로 한단계식 뒤로 적용.)
(추가) 직사가 잘되는 기본 포각(주포 배치가 낮은)이 낮은 자주포들(훔멜, s-oil 등)
은 근접 직사시 약간 에임을 뒤로, 기본 포각이 높은 자주포들(s-oil외 나머지
소련 자주포들 등등)은 근접 직사시 에임을 약간 앞으로 두는 편이 잘맞는다.
P.S. 물론, 적이 언덕이냐, 경사로에 존재하느냐, 내가 언덕에 존재하느냐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겠지만..
둘다 비슷한 높이에 있다면 이렇게 된다고 사유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