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만 이미 올킬하신 야드가 8분이나 계셔서 부끄럽습니다만 저는 이제 막 궁정 잡았습니다. 주 1회 일정에 인스 연장하며 이제 막 안수레크 트라이 중이라, 중반부 보스 갱신이 어려울 것 같은 점이 아쉽네요.
그 비단 궁정 킬마저도 상당한 막판 차력쇼였기 때문에, 솔직히 말씀드리자면 '할 줄 아는 보스'는 1-6넴까지인 듯 합니다.
따라서 이 6개의 보스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고, 7/8넴은 제가 아는 내용을 가볍게 정리하는 정도로 작성하고자 합니다.
0. 네룹아르 궁전에서의 야드
8개 보스가 등장하는 이번 레이드는, 단일딜의 비중이 매우 높은 편입니다.
때문에 자연스럽게 야생추적자 계열 빌드가 표준적으로 채택되며,
약간의 쫄이 나오는 1/2/4넴은 그냥 쌩단일하기 vs 원분+잔베+꽁흉포 찍기로 갈리는 면이 있습니다.
워낙 빨리 죽는 놈들이라 개인적으로는 그냥 싹 다 쌩단일 미는 것을 추천합니다.
한편 11.0.7 패치를 기점으로, 수상할 정도로 높은 딜을 보여주는 발톱의 드루이드 로그가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광폭화 중에는 5점이 아니라 8점이 꽉 찰 때까지 필러를 사용'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이 운용법은
엄청난 버스트 포텐셜을 살려 여러 보스에서 야추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고점을 보여준 바 있습니다.
위 이미지는 작성 시점(1.13)의 카이베자 야드 랭킹인데요, 발드가 6개 / 야추가 4개로 메타가 역전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상술한 '광폭화 동안 잔베/칼발 최대한 더 넣기'에 의해, 여기에 직접적으로 비례하는 지속 피해인
'광란의 공격' 피해량이 흉포한 이빨보다도 더 높게 잡히는 괴상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 광란의 공격 역시 출혈 피해이기 때문에 특화와 가속의 영향을 받고,
나아가 반지의 각종 버프와 블러드에 의한 도트 주기 가속이 적용되면서 그 효과가 기형적으로 폭증하는 것입니다.
이 빌드의 활용 자체에 대해서는 저도 매우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다만 발드 계열 빌드 자체의 3가지 한계점은 그대로라는 점을 인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1)킬타임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짧을수록 / 쿨기 턴 직후에 끝날수록 좋음)
2)야추에 비해 칼 떼기에 더 취약하다(찢어발기기가 평타에서 발동 / 도트보다는 직접 공격기 피해 비중이 높음)
3)운적인 요소의 영향력이 크다(찢어발기기 발동 횟수 / 치명타 적중 횟수)
즉 구 고술 승천 띄우기 같은 운빨로 고점 노리는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형 빌드라고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오프너 광폭화에서 찢어발기기가 단 2번 뜰 때의 허무함은 말로 표현할 수 없습니다만,
8번 뜨면 세상을 다 가진 기분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딴데서 사고나서 리트하기)
또한 발드는 곰폼 관련하여 생존력에 기여하는 특성도 제법 있는 편입니다만,
야추도 곰폼 / 나껍 / 생본은 다 그대로 쓸 수 있으므로 죽을 걸 살아나오는 차이는 아닌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것 외의 빌드 및 특성에 대해서는 각 보스 항목에서 다루겠습니다.
본문으로 넘어갑니다.
1. 포식자 울그락스: 쌩단일
1.1. 쿨기 분배
오프너 > 2:00 > 4:00 / 또는 오프너 > (사이페 넘기고) > 보스 다시 나오면(2:50) ~
2분 쿨기가 1사이페에서 오기 때문에 그때 그냥 털기 vs 보스 다시 나오면 털기로 갈린 적도 있습니다만,
사실 여전히 최상위권도 반반 섞여 있어서 별 차이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제는 정말 누구나 잡을 수 있는 난이도이기도 하고...
개인적으로는 쫄이 워낙 빨리 녹기 때문에 보스가 완전히 나오면 쓰는 걸 선호하는 편입니다.
야추 / 발드, 야추 쌩단일 / 야추 원분 + 잔베 + 꽁흉포 중 선택은 완전히 본인 취향대로 하셔도 무관합니다.
저는 보스에만 털었기 때문에 딜은 이렇게 잡히네요.
1.2. 생존기 / 유틸리티
1페이즈에서 주기적으로 사용하는
맹독 채찍이나
거미줄 지우는 작은 독바닥에서 가볍게
나무껍질 써 주면 좋습니다.
조를 나누어 번갈아 들어가는
같이 맞기 패턴에서는,
쇄포를 지원해 줍시다.(쿨감 특성 불필요)
이때, 이
같이 맞기의 주 대상이 나일 경우
표범 변신이 강제 해제되는 알 수 없는 버그가 있습니다.
내가 맞아야 할 경우, 쭉 빠져서

곰으로 안 아프게 맞은 다음 다시

표범으로 돌아와서 열심히 저항합니다.
지금은 아마 빨려들어가도 1-2틱 정도는 살긴 하는데 어지간하면 안전하게 하시고...
사이 페이즈에서, 보스 돌진은 당연히 피해야 하지만 피하더라도 상당히 아픈 광역 딜이 들어옵니다.
초반에는 어차피 쫄도 안 모여 있으므로 뻥뻥 하는 것은

상태로 맞아줍니다.
다시 1페이즈로 돌아오면 하던 대로 하시면 됩니다. 남는 글쿨에는 틈틈이 꽁

재생도 쓰면 좋습니다.
1.3. 최적화 요소
1페이즈 동안 보스의 옆~뒤에서 공격할 수 있도록 합시다.
도발 교대나 보스 위치에 따라 정면을 때리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평타는 물론 일반 기술이나 흉포 등도 무막이 뜰 수 있어 최대한 피해야 합니다.
은신 갈퀴를 썼는데 막히고 기습 공격이 증발하면 깊은 빡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담당하는 같이 맞기 패턴(0:34 등) 동안 칼 떼기가 강제되기 때문에,
특히 야생추적자의 경우 이때 나가기 직전에 도트 리필을 잘 해두실 필요가 있습니다.
제 로그의 해당 타임라인을 첨부합니다.

위에서 얘기한 '내가 같이 맞기 주 대상이면 표범이 해제되는 버그'가 발생한 상황이라,
이때 인간폼 달섬 이후 표범 변신이 포함됐는데 무시하시면 됩니다.
어쨌든 저 38초의 도려 리필 이후 같이 맞는 위치로 뛰어가면서 ~
~ 맞기 직전 곰폼 ~ 맞으면서 광재 ~ 다시 표범 ~ 복귀
이런 흐름으로 떨어져 있는 동안의 딜 로스를 최소화하고 풀버프 도려를 유지하면 되겠습니다.
11.0.7 야드 가이드(12) 심화: 네룹아르 궁전(2) 피결속 공포 & 시크란 으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