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사

인증글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PVP] 냉법으로 흑마전 1:1 완벽 공략!

아이콘 얼음체리
댓글: 60 개
조회: 18473
추천: 44
2011-09-27 23:03:30

완벽 공략이라쓰지만 완벽하지 않음.

택틱은 언제나 고정적이고 틀에 박힌것보단

유동적이고 자신에 맞게 맞춰나갈수있는것이 더 좋다고 생각하여 운영위주로 써보겠습니다.

 

흑마를 상대할때 운용법, 대략의 스타트 택틱을 알려드리고

이를 자신에 맞게 변형시켜나가면 그게 자신만의 택틱이 됩니다.

 

[목록은 간단하게 3가지로 나뉩니다.]

 

첫번째로는 서고구슬 택틱을 알려드리기 전에

이를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

 

두번째로는 한가지 좋은 스타트 택틱 예시

(서고, 구슬을 이용한 초반 압박주기 택틱)

 

세번째는 흑마전에서 꼭 알아야할 운영법

(황수, 딜세게 모는방법, 대처방법)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흑마전에 기억하실거~!

 

1.주문잠금을 무시하고 딜을 할경우 구슬을 최소 5~6초 적중시켜
   구슬 1초 + 법사 시전글쿨1.5초 동안 매우높은 확률로 충돌을 띄워
   마반, 동결을 먼저쓰지않은상태에서 많은딜과 충돌로 시전을 막고 시전훼이크도 차단함으로써
   심리적으로 압박을 주며 거센딜을 가해야만 한다.

 

 

2. 상대흑마가 구슬을 피했다면 이제 주딜링은 시전 얼화에 달려있다.
   따라서 구슬을 피한다면 그에 상응하게 주문잠금을 뽑을 수 있어야 한다는것!

 

 

1,2의 상황 모두 법사가 캐치하지 못했을경우
당연히 흑마가 유리해질수밖에없다!

 

 


-> 파흑이라면 제물-점화, 고흑이라면 불안정한 고통, 유령 출몰 일텐데
    제물 도트가 유지되는 상황에선 법사가 흑마를 맞딜으로
    절대 이길수없고 고흑도 도트가 유지되면 피가 역전되는 기현상이 생긴다.

 

 

흑마전에 얼방은 제물이나 불안정한 고통, 유령 출몰등을 걸때
흐름을 끊는 용으로 사용해야한다.

 

 


이때 주의할점은 제물에 이어지는 점화를 맞고 뒤늦게 얼방을 쓰거나(X)
유출을 맞고나서 얼방이 아니라 맞기전에 얼방을 쓰는것(X)

 

 

1,2가 중요한 이유는 얼방을 단순 흑마딜의 흐름차단 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닌 흐름을 끊고나서 얼방이 풀린후
내가 다시 제물이나 불고, 유출이 걸리지 않고
안전하게 딜할 기회를 만드는것.

 

 

그러나 1,2를 둘다 실패해 버린다면
첫 흑마가 나의 마반, 동결을 소모한후
나의 생명력과 쿨이 역전되는 상황을 자주 볼것이다.

 

 


또 내 마반, 동결이 빠진 상태에서 (구슬이 없는 상태의)10% 충돌을 노려서
끊는 다는건 운에 맡기는 행위가 될 수 밖에없고

 


만약 아웃파이팅이나 도망쳐서 환기를 노리게될경우(쿨없을때 뒤점멸등)
흑마의 환기텀을 주거나 맛난 메론주스가 되어있는 물정을 발견하게 될것.

 


(나의 첫 공격과 쿨기가 수포로 돌아가고 상대적으로 쿨기 의존이 적은 흑마가 유리해진다.)

그래서 흑마전은 첫 스타트가 매우 중요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

 

소환진을 타서 서리고리를 맞아야할까

구슬을 맞으면서 서손 충돌 두빙을 띄워줘야할까 심히 흑마에게 고민을 안겨주는 택틱

 


흑마에게 선깃을 걸든 후깃을 받든 상관이 없는 택틱으로 소개하겠다.
필드나 깃전에 모두 응용가능한 택틱으로 써보자면
(투명화로 유리하게 시작하는건 제외)

 


처음엔 반드시 흑마 소환진 위치 확인

 

 

1-1
소환진이 흑마와 아주 가까운 경우(안깐경우도 포함)

 

 

1-2
소환진이 흑마와 제법 떨어져 있는경우

 


1-1의 경우엔
흑마 물정얼회후 구슬
(Tip 구슬을 쓸때 어느 특정거리를 재고 구슬을 쓰게되면
흑마본체와 구슬이 거의 붙어버리게됨. 이걸 노리시면 더 효율적임)

 

 

물정얼회후 구슬을 해버리면
일단 적어도 5~6초간은 탈출이힘듬

 

 


탈출이 힘들다는건
서손, 두빙을 마음껏 공급받을수있고
힘들게 주문잠금을 훼이크하지 않아도 단시간내에
많은 순간딜링을 가능하게함.

 


또 구슬+ 본체글쿨시전으로 매우많은 충돌을 띄울수있다.
충돌을 띄울수있다는건 초반에 동결이나 마반을 쓰지 않고도
흑마의 시전이나 혹은 시전훼이크를 무마할수있다는것.

 


이는 상대 흑마에게 초반에 동결 마반을 줌으로써
후반에 피가 역전되는 상황을 방지하기위함
(흑마 피가 꽤 빠진 상태에서 동결, 마반이 남아있을경우
흑마는 심적부담감이 상당히커지며 급장타이밍도 뻔해지게된다.)

 

 

이 첫 택틱의 의미는 단순하게
딜+2초 충돌이 아니다.

 

 


(그 이유는 보통 택틱인 물정얼회-얼화-얼창-동결에 딜후
구슬이 적중하지 않거나 주잠이 잘빠지지않는 경우엔
흑마피가 서서히 내피를 역전하기 때문)

 

 

이방법으로 5~6초간 신나게 딜을하고 첫시전을 충돌로 끊었다면
구슬이 끝나가거나 흑마가 피하는쯤에 서손하나를 남기고 본체얼회로 똥개를 얼린후 똥개위에 서리고리
그다음 본체 흑마에게 동결
(동결후에 강한 얼화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며 이는 흑마급장과 어격 혹은 죽고가 반드시 나오도록 유도하는것)

 

 

여기서 다시 갈리게 된다.

 

 

동결을 풀지 않았다 -> 얼화 2번으로 냉법개객기가 뭔지 보여주고 마반하나로 운영하면 끝

 

 

동결을 풀고 어격이나 죽고를 아꼈다.
-> 똥개 얼어있는 시간 주시하며 마구마구 얼화를 당겨주자.

 

 

동결 풀고 어격 -> 점멸후 얼화 1번쯤당기고
                         운영으로 간다. 어차피 마반은 남아있다.
                         내 동결쿨은 돌아오고있고 동결남은 시간이 흑마의 저승길
                         흑마는 시한부인생이라고 보면됨

 

 

동결 풀고 죽고 -> 공격적으로 가려면 급장에 역마반넣고 세게 몰아버려도된다.

                           그러나 이때 약점은 주잠후 공포라는것 주의하시길


                     -> 운영으로 가려면 다음 공격을 막는데 얼방을쓰거나 공포 한번맞고 얼방
                         펫 추방부터 먼저한다면 급장에 역마반도 괜찮다.

 

 

여기까지 대략 이렇게 하신후 그다음은 스타일대로 운영하시면됩니다.
아웃파이팅을해도되고 인파이팅을 해도되고
처음부터 끝까지 완벽히 쓴 택틱은 완벽하지 않다고 보기에
그다음은 플레이하시는분들의 스타일에 맡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의 경우엔

아마 구슬의 개념을 알고있는 흑마라면 얼회-구슬에 바로 소환진을 타버릴 확률이 높습니다.

(소환진과 자신이 제법 떨어져있는경우이기때문에)

 

 


그러면 내 구슬이 막히고 상대적으로 주잠을 무시한 즉시딜링을 놓치게되고
충돌이 뜰확률이 낮아짐으로써 내 동결 마반이 빨리 나오게 되겠죠.

 


위에도 말씀드렸는데 구슬을 빠르게 피해버린다면
법사역시 시전딜로써 승부를 봐야하기때문에
주잠을 뽑아야 유리하게 갈수있습니다.

 

 

1-2의 경우엔 소환진 위치확인후 소환진에 서리고리 - 본체 물정얼회 - 구슬 이런식으로 갑니다.

 

 

여기서 반응이 두개로 나뉩니다.

 

 

1-1의 경우처럼 그냥 서리고리를 보고 소환진을 타지않는경우에는
위 1-1과 같은 택틱으로 상대해주시면됩니다.

다만 주잠이 안나왔을때 똥개서고후 얼화는 힘들겠죠.
그것만 유의하시고 싸우시면됩니다.

 

 

두번째 반응은 구슬을 피하기 위해 바로 소환진을 타는 경우입니다.
그러면 서리고리에 걸리겠죠.

이때 유의할점은 괜히 똥개한테 멋드러지게 냉돌이나 거리 벌린후 쏘는게아니라
바로(중요) 얼화-얼창을 땡겨버리세요.

 


짤리든말든, 훼이크할 필요도없습니다.

상대가 얼화에 주잠을 사용한경우는
주잠 깡마가 풀리고 약간 버틴후 서고 1.5초 대략 남짓남았을때 비작을시전
그리고 냉기계열쿨 돌아올때까지 비작이나 마훔후 주잠의 영향을 받지않고
파워하게 얼화딜링을 하면됩니다.

 

 

참고로 서고가 비작에 깨진후 냉기계열쿨 텀이있을텐데 법사가 주잠깡마 효과가 풀린후 마반을 들고있기때문에
냉기계열쿨이 돌아오는순간 급유리해지게됩니다.

흑마는 주잠동안 나에게 아무것도 못잇는 상황에 내 마반은 남아있는상황

 

 

또 다른경우는 주잠을 아끼는 경우인데
주잠아끼면 실로 엄청난 데미지가 들어갑니다.

서고에 얼화-얼창
그다음 깨지고나선 어차피 동일한 상황이기때문에 딱히 불리할게없습니다.

 

 

그다음 운영에선 약간 주의를 하셔야될게

점감 18초가 끝나지않은경우엔 서고 다음 동결은 2.5초라는걸 알고계실겁니다.
이건 플레이스타일에 따라 시전짤에 한번쓰고 얼창 한방 날려도좋고
18초 끝난후 5초풀짜리를 박아놓으셔도 좋습니다.

 

 

어차피 급할게없어요 법사는 어떤 상황이든 마반이있고
흑마는 주잠이 뽑혀서 비작을 맞고 시작하거나 주잠안뽑히는대신 얼화-얼창 쌩으로 세게 맞고시작하는거니까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

 

위에 상세한 택틱을 적어드리지 않은대신
대흑마전 운영법을 간단하게 적어볼까합니다.


- 어떻게 딜을 세게넣죠? 흑마가 도트넣거나 제물들어가기시작하면 못이기겠어요 ㅠㅠ

 

 

흑마와 1:1에선 흑마가 얼음회오리류를 자력으로 풀지 못한다는점에 초점을 맞출필요가있어요.
이는 딜링과도 직결된 문제구요.

알아두셔야 할것.

 

 

1. 주잠이 빠지고 쌩 얼음화살보다 냉돌4초 얼리고 얼화-얼창이 화력이 압도적으로 높다.(얼화는 5퍼 크리보정을 받는데 얼회시 데미지20%증가와 순수크리보정 X3 +15%를 받기때문)

-> 이는 쌩얼화를 쓰면 흑마가 몇대 맞아주고 쿨이 나올수도있지만(버틸만 하기때문에 유리한 상황을 잡으려는것)
    주잠이 빠진상태에서 냉돌-얼화-얼창 , 얼회 - 얼화-얼창 이런 콤보는 흑마입장에서 식겁할 데미지가 들어오기때문에
    상대 쿨기 예측도 유용하다!(흑마가 반드시 끊으려할것이기 때문

                                            -> 이는 상대가 나를 공격하기 위해 쿨을 쓰는게 아니라 수비적으로 쓴다는 말이된다.) 
   

 

이것 유의해서 싸우시면 좋아요
흑마가 주잠 죽고 (어격, 공울)이 없을경우 얼회에 강한딜이 들어가는걸 쌩으로 맞아줄수밖에없습니다.

 


- 황수가 켜지면 어떡해요?

 

 

-> 황수에 계열데미지를 주면 황천의 보호란 버프가생겨 받는 계열 데미지를 30% 감소시킵니다.
    가령 냉기계열로 데미지를 주면 황천의 보호(냉기)로 받는 냉기 데미지를 30% 감소시킨다는거지요.
    황수가 나오기전까진 환영컨에 자신이없으시다면 환영을 뽑지 않으시는것이 좋고

    (화작으로 인한 버프 황천의보호(화염) 추가 발동으로인해 내 마훔글쿨이 하나더 소모된다.)

 


    황수때 얼불로 때리는것도 금물입니다.(황보버프 냉기-화염 2개발동)

    황수를 지우시는 가장 좋은 방법은 황수가 켜지고 난후
    물정 얼음화살이나 내 딜을 완전히 멈출수있는경우엔 바로 한번 훔치기로 끝

 


    그게 아니고 황수가켜져서 냉기데미지를 받아서 디버프가 켜진경우엔
    황수를 냉기 계열 데미지(얼음창, 얼화등)으로 완전히 없앤후

    (완전히 없애지않고 훔치기를 시도할경우 더 많은 시간이 소모될수도있다.)
    황보(냉기) 하나를 훔쳐버리면 끝

   
파흑상대로는 황수를 글쿨 1~2번에 끝내실수있는게 좋음.
이게 펫컨트롤이나 여러 가지 판단 미스로 글쿨 2번에 끝낼수있는걸 3~4번까지 만들어버림.
또한 이때 영불 버프나 소각빨라지는 버프를 띄워 막는 경우도있는데
주로 이걸 노려서 키는 경우가 많으므로 눈치싸움을 잘하셔야함

 

황보킨 새낀 더맞아야되는게 당연하지만 반드시 황수-황보를 빠르게 끝내놓고 더 때릴것.

 

 

- 싸우다보면 잘싸운거 같은데도 제가 말리는 느낌이 들어요 왜그러죠?

 

 

-> 주로 쿨기를 마구 쓰는 사람들의 경우인데
    흑마전엔 차분히 운영하는걸 기억해야 한다.

    가령 첫 물정얼회를 쓰고 그게 풀리면 풀리고나서 18초 후에 얼회를 다시 쓰거나
    아니면 첫물정얼회가 풀린후 본체 얼회를 써서 쿨을 같이 돌리는게 점감 초기화 하는데 유리하다.
    이 말을 왜하냐면 막 얼창 얼회 냉돌 얼창 동결 얼회 이렇게 점감을 무자비하게 낭비해버릴경우
    얼창 한방은 더들어가겠지만 분명히 막타를 날리지못하고 허무하게 역전될때가 많다.
    첫 물정얼회의 의미는 강한 딜과 동결텀을 얻기위함이고
    다음 풀 얼회혹은 4초 냉돌, 4초 얼회는 서리고리, 구슬을 활용하기 최적화 되어있다.

    (대흑마전에서 구슬이 주는 압박은 흑마에게 너무나도 크다.)
    또한 충돌을 자주띄울수있다는건 상대의 시전기나 시전훼이크를 무마하고
    내쿨을 아껴 모든 시전을 차단할수있는 방법임을 생각하면서 싸워야한다.
    흑마는 얼회 해제가 불가능하니깐.

 


- 임프 파흑이 너무힘들어요 어떡하죠?

 

 

-> 임프파흑은 위에 택틱을 따로 쓰지 않았는데 이유는
    보통 임프파흑은 임프를 제대로 알고있지 않은 냉법에게 지옥이되어버린다.
    동결 ㅋ 급장안쓰면 넌 죽음 -> 어?
    그러면 마반! -> 급장 어?
    퍽퍽 임프강화 펫강화-불작 불작! 이런 패턴이다.
    임프는 똥개보다 확실히 경험이없으면 힘들다.
    근데 택틱을 저위에처럼 적지 않은 이유는
    임프는 파훼법을 잘만 생각하고 해보면 정말로 쉽다.
   
    임프는 흑마 본체 마법 해제를 해준다.
    이말은 동결이나 마반을 쌩으로 넣으면 바로 임프가 해제를 해준다는개념인데
    임프는 버프를 하나밖에 먹지못한다.
    또 주문잠금이 없어 법사가 시전딜이 너무 쉬워지는 장점이있는 반면
    단점으론 딜이 센데,
    파흑 펫강화는 파흑의 치타확률을 증가시켜주고

    (파흑이 똥개를 쓰면 펫강화가 고흑한테 유리한것이라 딜측면에서 임프가 훨씬세다.)
    또 임프를 쓸경우 일정확률로 불작이 즉시로 나간다.
    또 마법 해제때문에 상대적으로 차단에서 자유로워지는것만 주의하면된다.
   
    임프파흑은 얼회류를 치고 시전딜을 땡기는 연습을 해야한다. 또

    얼회가 점감도중일때 구슬을 넣는것이 더 유리하다.
    왜냐하면 얼회때 구슬로 즉시딜을 하는것이아니라

    얼회텀에 얼화,얼불 디버프와 섞어 동결이나 마반을 넣어야 하기때문,
    구슬은 얼회 3개 점감이 끝나면 넣어서 흑마를 압박해주는것이좋다.
    또 공포에는 가급적 동결이나 가능하다면 충돌로 짜르되
    제물을 정확히 마반으로 짤라주면 도움이된다.
    임프 파흑상대로는 정확히 계열차단 하는것이 더 중요하기때문에

    (흑마가 시전 훼이크를 성공할경우 마해로 바로 깡마효과를 태우고 멀쩡히 그계열을 다시쓸수있기때문)
    급장 역마반도 꽤 효율이 좋다.
    기본베이스는
    본체얼회 물정얼회 냉돌에 얼화-얼창을 세게 당기면서 
    흑마의 행동에 반응하면 된다. 어격이면 점멸 상대 시전에 동결, 마반, 충돌등등
    얼회 쳐놓고 바로 얼창 치지않는게 중요한데 이렇게되면 상대가 임프 마법해제를 효율적으로 쓰지못하게된다.
    똥개가 없는 이점을 이용하는것이다.
    또한 파흑전에 구슬텀은 얼회점감도중에 사용함으로써 흑마가 자유롭게 딜타이밍을 잡는것을 힘들게한다.

 

p.s 펫 스왑해서 싸우는건 순간순간 주의를 하면된다.

     펫스왑의 약점은 특성이나 문양에 에러가 생긴다는것.(대부분 주로 싸우는 펫을 나중에 뽑는 형식)

 

나머지는 각자의 스타일에 따라서 싸우면된다.

별로 상세하진 않고 난잡하게 쓴감이 있지만 틀에 짜인 택틱보다는

좀 유동성있는 택틱이나 방법을 알려드리는것이 더 좋을거같아서 이렇게 써본다.
혹시라도 도움되는 사람이 있으면 좋겠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Lv51 얼음체리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와우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