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음향기기] 귓가를 울리는 진짜 사운드의 힘을 즐기다! Creative 사운드 블라스터 Z

아이콘 자유전사
조회: 9685
2015-03-08 19:19:11
보통, 컴퓨터 업그레이드에서 우선 대상으로 그 순위가 가장 뒤쳐지는 부품, 하지만 한 번 하고 사용하게 되면 다시 예전으로 되돌아가고 싶지 않는 부품, 바로 사운드 카드가 있습니다.
손톱만한 내장 사운드에서는 결코 들을 수 없는 살아 숨쉬는 사운드를 들려줄 비장의 사운드 카드, 크리에이티브 사운드 블라스터 Z가 바로 이번 리뷰에서 알아볼 제품입니다. 저 또한 지금까지 내장 사운드만을 사용해왔기에 외장 사운드에 대한 동경이 많았는데, 과연 그 기대를 얼마나 충족시켜줄지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리뷰는 크리에이티브 공식 유통사, 제이웍스와 네이버 대표 FPS 카페, 이엠베스트의 지원과 협조 하에 이루어졌습니다.



2.jpg

3.jpg
 사운드 블라스터 Z의 세부 스펙과 크리에이티브 홈페이지

 한 차원 다른 사운드를 느끼다!
우리가 컴퓨터를 업그레이드하는데 있어서 잘 하지 않거나 하더라도 그 우선 순위가 가장 떨어지는 부분은 무엇일까요?
물론 사람마다 취향과 선호도에 따라 다 다를 수 있겠지만, 하나를 꼽아보자면 전 사운드 카드를 들고 싶습니다. 다른 부품에 비해 시스템의 직접적인 퍼포먼스에 영향을 덜 주고, 메인보드의 내장 사운드가 완전히 일반화되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렇기에 컴퓨터 업그레이드의 마지막 한 수로 사운드 카드를 선택하시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또한, 업그레이드로 잘 선택되지 않기에 어쩌면 바꾸고 나서의 더 크게 와닿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번에 알아볼 사운드 카드는 사운드의 명가, 크리에이티브의 고급형 모델, 사운드 블라스터 Z입니다.
내장 사운드가 정착되기 이전에 초기 사운드 카드 시장을 장악했던 크리에이티브의 제품은 내장 사운드가 완전히 보급화된 지금에서는 게임이나 음악, 동영상 감상에서 한 차원 다른 사운드 품질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각광받는 워너비 제품 중 하나일 것입니다. 특히 사운드 블라스터 Z는 차원이 다른 강력한 쿼드코어 오디오 프로세서, 116㏈의 우수한 SNR(신호 대 잡음비), 크리에이티브 특유의 탁월한 사운드 보정 효과는 물론, 특히 DDL(Dolby Digital Live), DTS NEO(Digital Theater System BEO), 독자적인 스카우트 모드 등의 게이밍 특수 효과로 게이머들에게는 더 유용한 제품이기도 합니다.
과연 그렇다면 실제 사용에서 사운드 블라스터 Z는 어떠한 모습을 보여줄지 이제부터 상세히 살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4.jpg
 패키지 디자인
사운드 블라스터 Z의 패키지 모습부터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제품과 달리 인상적인 디자인을 자랑하는 제품답게 패키지부터 상당히 강렬한 모습을 하고 있는데, 금박 + 블랙에 빨간색의 내부 패키지 컬러가 맞물려서 눈에 확 튀는 느낌이 벌써부터 느껴집니다.


5.jpg



6.jpg
 패키지 전체 디자인
패키지 모습을 전체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패키지는 눈에 확 튀는 대비되는 컬러와 큼직큼직한 제품 로고 등으로 멀리 있어도 튀는 디자인을 하고 있습니다. 패키지의 언어는 영어와 일어로 되어 있는데, 한국어로도 되어 있으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7.jpg



8.jpg
 패키지 전면 디자인
패키지 전면 디자인입니다.
제품이 있는 부분에는 투명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어서 개봉하지 않아도 제품 모습을 미리 알 수 있습니다. 그 아랫쪽에는 제품 로고와 주요 특징이 쭉 나열되어 있습니다.


9.jpg



10.jpg
 패키지 후면 디자인
패키지 후면에는 제품의 주요 특징 6개를 그림과 함께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설명은 영어와 일어로 되어 있는데, 한국어도 있으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11.jpg



12.jpg

13.jpg

14.jpg
 패키지 측면 디자인
패키지 한쪽 측면에서는 후면처럼 제품 특징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반대쪽에서는 개봉 방지 씰이 있고, 지원하는 각종 단자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15.jpg



16.jpg

17.jpg
 내부 패키지 모습
패키지 개봉하면 빨간색의 내부 패키지가 보입니다. 소재도 단순한 플라스틱이 아닌 습기에 강해 보이는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내부 구성품
패키지에 있는 사운드 블라스터 Z의 전체 내부 구성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품을 제외한 구성품으로는 드라이버 설치 CD, 사용 설명서와 품질 보증서, 워런티 보증서, 안전 인증서 등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18.jpg
 제품을 제외한 내부 구성품
제품 외의 구성품에는 드라이버 설치 CD와 설명서, 각종 품질 및 안전 인증서가 함께 제공됩니다.


19.jpg



20.jpg

21.jpg

22.jpg

23.jpg
 사용 설명서
사용 설명서는 제품이 지원하는 연결 단자, 장착 및 분리 방법, 그리고 전용 마이크와 헤드폰, 각 채널 별 스피커에 따른 연결 방법에 대해 그림과 함께 상세히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24.jpg
 전용 마이크
사운드 블라스터 Z는 보급형 사운드 카드와는 달리 불필요한 잡음없이 소리만을 잡아주는 전용 녹음 마이크를 기본으로 제공해줍니다.



25.jpg
 강렬한 레드 컬러의 차폐 실드 장착 디자인
제품을 처음 보았을때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사운운드 블라스터 Z만의 특징이로 차폐 실드의 장착 유무를 들 수 있을 것입니다.
시선을 자극하는 레드 와인빛의 메탈 차폐 실드는 디자인 면에서 볼 때에도 훌륭하지만, PC 내부의 노이즈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주고, 116㏈의 높은 SNR(신호 대 잡음비)에도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6.jpg



27.jpg



28.jpg
 사운드 블라스터 Z의 전체 디자인
사운드 블라스터 Z의 전체적인 디자인을 살펴본 모습입니다.
휑하고 드러나 있는 다른 사운드 카드와는 달리 사운드 블라스터 Z는 레드 와인풍의 빨간색 메탈 차폐 실드가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습니다. 제품 크기는 가로(W) 135㎜, 세로(D) 125㎜, 높이(H) 13㎜로 그다지 큰 편은 아니며, PCI-Express x1배속 슬롯에 장착합니다.


29.jpg

30.jpg

31.jpg

32.jpg
 인상적인 메탈 차폐 실드
사운드 블라스터 Z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라 할 수 있는 메탈 차폐 실드의 디자인입니다. 
실드는 제품의 기판 전체 면적을 덮고 있는데, 사운드 블라스터 Z의 오디오 프로세서인 Sound Core3D 부분은 마치 요즘 컴퓨터 케이스의 핵심적인 튜닝 요소 중 하나인 아크릴 측면 패널처럼, 투명하게 내부가 비쳐 보입니다.
또, 메탈 차폐 실드만 보더라도 볼록하고 올라온 투명 아크릴 부분을 중심으로 부드러운 곡선을 강조하는 멋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차폐 실드의 목적은 PC 내부의 노이즈 감소가 가장 큰 목적이겠지만, 사운드 블라스터 Z는 이렇게 외적인 디자인에 있어서도 아주 수준높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3.jpg
 PCI-Express x1 슬롯 사용
사운드 블라스터 Z는 컴퓨터 메인보드에서 PCI-Express x1배속의 슬롯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일반 ATX는 물론 마이크로 ATX 보드에서도 문제없이 사용가능하며, 제품 크기도 작고 슬롯도 한 개밖에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장착 상의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34.jpg



35.jpg



36.jpg



37.jpg
 제품 측면 및 지원 단자
사운드 블라스터 Z는 아주 다양한 입출력 단자를 제공합니다.
마이크와 헤드폰 단자는 기본이며, 다중 채널 스피커를 위한 전면, 후면, 서브우퍼 단자, 그리고 광출력 단자까지 모두 지원하고 있습니다.


 제품 기판 디자인
이번에는 차폐 실드를 분리해서, 사운드 블라스터 Z의 기판 모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차폐 실드는 제품 뒷면의 나사 4개를 풀면 분리되며, 슬롯 또한 같이 분해됩니다.


38.jpg
 제품의 기판 전체 디자인
차폐 실드와 슬롯까지 모두 분해하고 살펴본 제품 기판의 전체 모습입니다.
가운데의 큼직한 오디오 프로세서를 비롯하여, 금도금 단자, 헤드폰 전용 앰프 등 관련 부품들이 뺵빽하게 들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39.jpg
 쿼드코어 오디오 프로세서, Sound Core3D
차폐 실드가 있을 때에도 투명 아크릴로 인해 확 눈에 띄는 오디오 프로세서는 실드는 제거한 상태에서도 시선을 놓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사운드 블라스터 Z의 강력한 성능은 바로 이 오디오 프로세서에서 나타납니다. 하나의 칩 안에 4개의 독립 코어를 한데 묶은 이 오디도 전용 쿼드코어 프로세서는 음악, 영화, 게임 등 어떤 환경에서도 품질 저하없이 뛰어난 음질을 들려줄 것입니다.


40.jpg
 디지털 오디오 컨버터, CIRRUS LOGIC CS4398
Sound Core3D 오디오 프로세서 바로 옆에는 디지털과 아날로그 신호를 전환하는 오디오 컨버터, CIRRUS LOGIC CS4398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1.jpg
 금도금된 입출력 단자
이렇게 실드와 슬롯을 모두 제거하니까, 입출력 단자가 온전히 전체 금도금되어 있는 것을 한 번에 알 수 있었습니다.


42.jpg
 헤드폰 전용 앰프
사운드 블라스터 Z는 헤드폰 사용자를 위해서 제품 자체에 헤드폰 전용 앰프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32옴의 일반 헤드폰은 물론이며, 600옴에 달하는 고임피던스 헤드폰도 완벽하게 지원해줄 것입니다.


43.jpg
 전면 헤더
케이스의 전면 베젤 단자를 활용하기 위한 헤더의 모습입니다.
하지만, 전면 헤더의 사용은 불필요한 노이즈의 유입을 초래할 수 있으니, 가능한 사용하지 말고 제품이 지원하는 단자를 사용하게 더 낫습니다.


44.jpg

45.jpg
 레드 LED 램프
오디오 프로세서 위 아래에는 2개의 레드 LED 램프의 모습이 보입니다.
제품을 장착하고 사용하면, 여기에서 제품 컬러처럼 강렬한 레드 LED가 나타나게 될 것입니다.


46.jpg



47.jpg
 제품 뒷면 디자인
제품의 뒷면 전체 모습입니다.
QC 테스트의 통과, 그리고 수많은 안전 검사를 거치고 관련 인증 마크를 획득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48.jpg
 사운드 블라스터 스피커 설정
사운드 블라스터 Z는 설치 CD로 드라이버를 잡으면, 여러가지 다양한 설정 프로그램도 함께 설치됩니다.
실사용에 앞서서, 스피커 설정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여러가지 다양한 환경 설정 프로그램에 대해 간략히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49.jpg
 스피커 구성
스피커 설정의 첫 화면은 스피커 구성으로, 여기서 헤드폰, 스테레오, 5.1 서라운드 등 채널 구성을 할 수 있습니다.


50.jpg
 저음 관리
저음 관리에서는 베이스와 서브우퍼의 적용 여부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


51.jpg
 극성 선택
극성 선택에서는 스피커의 음극(-), 양극(+) 출력 상태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52.jpg
 스피커 위치
스피커 위치는 스피커를 놓았을 때 거리에 따른 느낌과 효과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53.jpg
 스피커 레벨
스피커 레벨은 ㏈ 단위로 스피커의 세기를 채널에 따라 다르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사운드 블라스터 Z 제어판
아마도 사운드 블라스터 Z를 사용하게 되면서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될 프로그램은 '사운드 블라스터 Z 제어판'일 것입니다.
제품이 지원하는 다양한 부가 기능과 보정 효과 제어는 모두 여기서 가능합니다.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54.jpg
 SBX PRO STUDIO
사운드 블라스터 Z의 첫 화면은 SBX PRO STUDIO입니다.
크리에이티브의 강력한 사운드 음장 효과는 여기에서 대부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으로는 입체감과 현장감을 주는 Surround, 음악과 영화에서 사운드를 풍부하게 해주는 Crystalizer, 저음을 강화하는 Bass, 그리고 그 외에도 여기서만 볼 수 있는 자동으로 오디오 볼륨을 제어하는 Smart Volume, 영화에서 대화 목소리를 향상시켜주는 Dialog Plus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맨 위에서는 샘플을 재생시켜서 효과의 차이를 바로바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55.jpg
 CRYSTAL VOICE
CRYSTAL VOICE는 마이크에 대한 효과 보정을 주고 거둘 수 있습니다.
음색을 여러가지 톤으로 변화시키는 FX, 목소리를 분명하게 하는 Smart Volume, 잡음을 제거하는 Noise Reduction, 반향을 제거하는 Acoustic Echo Cancellation, 영역 외의 잡을 제거해서 목소리를 깔끔하게 만들어주는 Focus 등 다양한 마이크 기능이 모두 한데 있습니다.


56.jpg
 SCOUT MODE
SCOUT MODE는 사운드 블라스터 Z의 독자적 기능으로, 특히 FPS 게임에서 효율적입니다.
 기능은 멀리 있는 적의 소리를 보다 뚜렷하게 하는 기능인데, 본 제품의 게이밍 사운드 카드로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할 수 있을 것입니다.


57.jpg
 스피커/헤드폰
스피커/헤드폰은 스피커와 헤드폰의 채널 구성을 할 수 있으며, 앞서 보았던 스피커 설정도 열 수 있습니다.


58.jpg
 영화관 수준
영화관 수준은 개인적으로 SBX PRO STDIO와 함께 이 제어판에서 가장 많이 사용할 부분이 아닌가 싶습니다.
여기서는 스테레오 소스를 다채널 소소를 인코딩시켜줄 수 있는데, DDL과 DTS NEO로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효과만 적용시켜도 사운드가 굉장히 풍부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59.jpg
 믹서
믹서에서는 스피커의 음량 조절과 녹음 볼륨 세기 및 밸런스 조절을 할 수 있습니다.


60.jpg
 이퀼라이저
이퀼라이저에서는 음악 장르에 따른 자동 조정을 선택할 수 있으며, 개인 취향에 따라 바꿀 수도 있습니다.


61.jpg
 고급 기능
고급 기능에서는 스테레오 믹스를 디지털 출력으로 바꿔서 재생시킬 수 있습니다.


62.jpg
 프로파일
프로파일에서는 자신이 설정한 환경을 지정 네이밍에 따라 저정할 수 있습니다. 물론, 자신이 원하는 이름으로 저장할 수 있고, 다시 불러오는 것도 가능합니다.


 Creative Diagnostics
Creative Diagnostics는 장착된 크리에이티브 사운드 시스템을 검색하고 스피커 테스트까지 모두 한꺼번에 처리해주는 진단 프로그램입니다.


63.jpg

64.jpg
 크리에이티브 사운드 시스템 검색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PC 내의 크리에이티브 사운드 시스템을 자동으로 검색해줍니다.
컴퓨터에 장착한 제품이 사운드 블라스터 Z 하나 뿐이라, 사운드 블라스터 Z만이 검색되었습니다.


65.jpg

66.jpg
 사운드 테스트 및 믹서 설정
사운드 장치를 검색해내면, 드라이버를 비롯한 멀티미디어, 다이렉트 사운드 테스트를 하고 출력 장치를 확인합니다.


67.jpg

68.jpg
 스피커 테스트
스피커 테스트에서는 사용 스피커의 채널 조정하고, 샘플로 미리 살펴볼 수 있습니다.


 Creative ALchemy
Creative ALchemy는 다이렉트3D 게임을 플레이할 때, EAX 이펙트와 3D 오디오를 느낄 수 있게 해주는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69.jpg
 프로그램 첫 화면
크리에이티브 알케미의 첫 화면입니다.
설치된 해당 게임이 있으면 오른쪽의 알케미 쪽으로 옮겨서 적용시키면 되겠습니다.


70.jpg


71.jpg
 게임 설정 및 추가
추가 탭을 클릭하면 게임 설정 화면에서 원하는 게임의 경로를 입력해서 알케미 목록에 게임을 추가시킬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자동 업데이트
소프트웨어 자동 업데이트는 드라이버를 포함한 크리에이티브 사운드 시스템의 각종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간편하게 해낼 수 있습니다.


72.jpg
 소프트웨어 자동 업데이트 프로그램 첫 화면
소프트웨어 자동 업데이트 프로그램은 설치 CD로 드라이버를 잡고 나면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물론, 이 프로그램은 윈도우 시작 화면 창에서 따로 선택해서 실행시킬 수도 있습니다.


73.jpg
 최신 드라이버 검색 및 설치
사운드 블라스터 Z 드라이버는 현재 지금 기준으로는 최신 버전이 1.2.23입니다.
사운드 드라이버의 안정성을 높이고, 혹시나 모를 오류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사용 전에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도록 합시다.



74.jpg
 제품 장착 및 스피커 준비
이제 제품을 컴퓨터에 장착하고 스피커를 준비해서 실제로 음악, 동영상, 게임에서의 사운드 블라스터 Z 성능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운드 블라스터 Z가 외장 사운드 카드 중에서도 손꼽히는 고성능 제품이라, 그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려면 그만큼의 우수한 스피커가 있어야 하는데, 준비된 스피커가 그만큼의 좋은 제품이 아닌게 좀 아쉽습니다. 그래도 내장 사운드보다는 월등한 소리를 내줄 것으로 기대합니다.


75.jpg

76.jpg
 제품 장착
사운드 블라스터 Z는 PCI-Express x1 슬롯에 장착하지만, 만일 그 슬롯이 없더라도 하위호환이 되는 일반적인 x16 슬롯에서 사용하면 됩니다.
장착하고 컴퓨터를 키면 레드 LED가 나타나는데 제품 컬러처럼 LED 세기도 생각보다 강렬합니다. 원래 컴퓨터 케이스의 상단 팬과 내부 팬 LED가 화이트인데, 사운드 블라스터 Z를 장착하니까 여기서의 레드 LED가 화이트 LED를 덮어버릴 정도입니다.
아쉬운 건 이 LED를 OFF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제어판에서 LED에 관한 기능이 없었는데, 다음에는 여기에 관한 기능도 추가되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77.jpg
 장착 이후의 케이스 뒷모습
제품을 장착하고 나서 케이스 뒷쪽에서 슬롯 모습입니다.
준비된 스피커 5.1채널 같은 다채널 제품은 아니라서 테스트에서는 프론트 단자에만 물려서 사용하겠습니다.


78.jpg

79.jpg
 테스트에 사용할 2.1채널 스피커
원래 이정도의 고급 사운드 카드라면 그에 걸맞는 스피커가 준비되어야 제대로 그 사운드를 즐길 수 있습니다.
적어도 같은 크리에이티브의 T20 Ⅱ 정도의 제품이나 그에 준할 스피커가 있어야 하겠지만, 아쉽게도 제가 지금까지 사운드에 큰 관심이 없었다보니 사용하는 스피커도 5만원 이상으로 써본 적이 없었습니다.
이번 테스트에 사용할 스피커는 캔스톤 F&D의 2.1채널 스피커, A320입니다. 10만원 이상 나가는 고가 제품까지는 아니지만, 이 스피커 또한 이 가격대에서는 단연 손꼽히는 제품 중 하나입니다. 내장 사운드에서도 아주 만족스럽게 썼었는데, 사운드 블라스터 Z에서도 기대가 큽니다.


 음악 및 동영상 테스트
본격적인 사운드 블라스터 Z의 청음 테스트를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음악과 영화에서 사운드 테스트를 해보았는데, 중저음은 아주 풍부해지고 고음에서도 해싱력이 깔끔하게 강화되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80.jpg
 케이팝스타 시즌4 '네가 있어야 할 곳'
케이팝스타 시즌 4의 톱 10 무대에서 가장 주목 받았었던 케이티 김의 '네가 있어야 할 곳'을 돌려보았습니다.
다들 멋진 무대가 많았었지만, 이 무대는 단연 돋보였었지요. 빠른 비트감에 케이티 김의 소울 넘치는 음색이 어울러지는 신나는 곡이었는데, 사운드 블라스터 Z의 음장 효과는 제 좁은 방 안을 꽉 채워주는 느낌을 가득 느끼게 해주었습니다.


81.jpg
 나는 가수다 시즌3 '하늘을 달리다'
다음으로는 대표적인 음악 경연 프로그램, 나는 가수다 시즌3의 음악을 들어 보았습니다.
듀엣 미션에서 우승을 차지한 양파 & 김연우의 '하늘을 달리다' 무대는 양파와 김연우의 시원시원한 고음이 아주 짜릿했던 무대였는데, 넘쳐나는 공간감과 울리는 우퍼의 느낌이 아주 강하게 다가왔습니다. 중저음이 생각보다 세게 나타나서 제어판에서 BASS는 따로 적용시키지 않는게 더 좋게 감상할 수 있었습니다.


82.jpg

83.jpg
 노다메 칸타빌레 '브람스 교향곡 제1번', 베토벤 바이러스 '합창'
스피커나 헤드셋 테스트를 할 때 꼭 들어가는 레퍼토리, 클래식으로는 2개의 클래식 드라마로 알아보았습니다.
첫 번째로는 노다메 칸타빌레의 '브람스 교향곡 제1번', 두 번째로는 베토벤 바이러스의 '합창'입니다. 사운드 테스트에서 클래식은 수많은 악기가 한꺼번에 나오고, 특히 '합창'은 악기에 사람 목소리까지 섞여서 저가 사운드 시스템에서는 그 매력이 확 반감하는데, 사운드 블라스터 Z는 고음과 중저음의 분리감, 강렬한 현장감 보정으로 클라이막스로 갈수록 클래식의 웅장함을 살려준 느낌입니다.


84.jpg
 브레이브 하트 'Freedom'
영화로는 역시 제가 사운드 테스트를 할 때 빼놓지 않은 레퍼토리, '브레이트 하트'의 OST. 'Freedom'입니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인 베녹번 전투의 테마곡이기도 한 'Freedom'은 파이프 오르간의 음색이 일품이라, 개인적으로 아주 좋아했던 곡입니다.
사운드 블라스터 Z를 사용해보면서 느꼈던 점은 중저음에서의 보정이 상당히 세게 걸린다는 건데, 둥둥 하고 울리는 우퍼 사운드 위에 목가적 느낌의 고음을 깔끔하게 뽑아줘서 아주 만족스럽게 감상할 수 있었습니다.


 게임 테스트
사운드 블라스터 Z는 음악과 동영상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는 제품이지만, 게임에서 가장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게이밍 사운드 카드이기도 합니다. 게임 테스트는 와우, 디아블로3, 레지던트 이블 HD 리마스터, 배틀필드4, 크라이시스3 등 MMORPG와 RPG, FPS 장르에서 확인해보았습니다.


85.jpg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 드레노어의 전쟁 군주
와우의 최신 확장팩, 드레노어의 전쟁 군주로 20인 레이드에서의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헤드폰으로 게임 진행 중간중간에 공대원들과 대화도 해보면서 마이크의 음질까지 알아보았는데, 크리스탈 보이스로 대변되는 사운드 블라스터 Z의 음향 제거, 노이즈 제거 및 포커스 기능 등으로 아주 뚜렷하게 목소리를 듣고 말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헤드폰을 사용했었는데도 스피커에 결코 뒤쳐지지 않는 사운드로 몰입감있게 게임을 즐길 수 있었습니다.


86.jpg
 디아블로3
새로운 셋트 아이템과 기존 셋트 아이템의 변경을 예고하는 2.2패치가 정말 기대되는 디아블로3입니다.
플레이하면서 느낀 이전 내장 사운드와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는 타격감의 월등한 상승을 들고 싶습니다. 플레이 캐릭터는 야만용사인데, '맹렬한 돌진'으로 적을 가격할 때마다 울리는 타격 사운드의 호쾌함이 대단합니다. 그렇지 않아도 타격감 좋은 야만용사가 사운드 블라스터 Z에서는 더욱 느낌이 살아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87.jpg

88.jpg

89.jpg
 레지던트 이블 HD 리마스터, 배틀필드4, 크라이시스3
FPS 게임으로는 레지던트 이블 HD 리마스터, 배틀필드4, 크라이시스3를 선택해보았습니다.
사운드 블라스터 Z는 게임에 참 강한 사운드 카드이지만, 그 중에서도 FPS 게임에서 더욱 궁합이 잘 맞습니다. 아예 따로 적의 소리를 명확하게 해주는 스카우드 모드가 있는 것이 그 좋은 예로, 보다 선명해지고 현장감을 느끼게 하는 사운드. 효과음을 보정하는 강력한 추가 기능으로 FPS 게이머에게도 좋은 반응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90.jpg
 사운드 블라스터 Z와 다양한 사운드 블라스터 사운드 카드의 가격

★ 장점
① 눈에 확 튀는 레드 컬러의 메탈 차폐 실드
② 내장 사운드를 압도하는 탁월한 사운드과 풍부한 음장 효과
③ 강력한 마이크 보강 기능, 크리스탈 보이스
④ 헤드폰에서도 뛰어난 사운드의 보장

★ 아쉬운 점
① 레드 LED의 ON/OFF 불가
② 내장 사운드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가격에 다소 높은 진입 장벽을 느낄지도...

★ 제품에 대한 짧은 한 마디!
첫 외장 사운드이라 사용 전부터 기대가 컸었는데, 능히 그 기대 이상을 보여준 사운드 카드!
내장 사운드만 써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바꿨었을 때 귓가에 들리는 사운드의 풍부함이 정말 압도적이다.
여러가지 음장 효과와 보정 기능, 옵션 프로그램도 다양하지만, 그런 거 다 빼놓고 그냥 컴퓨터에 꽂고 쓰기만 해도 값어치는 충분히 해내고도 남는다.


이상으로 크리에이티브 사운드 블라스터 Z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90년도 초기에 컴퓨터 썼었을 때를 제외하고는, 외장 사운드를 써본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주변에서 '내장에서 외장으로 사운드가 바뀌면 신세계를 느낀다'. '한 번 사용하면 다시는 내장 사운드를 듣기 싫어진다' 등등 여러 말을 들은 적 있는데, 실제로 직접 사운드 블라스터 Z를 써보고 느낀 점은 이게 과장이 있을지언정 거짓은 절대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일단, 사운드의 풍부함 자체가 달라집니다. 같은 컴퓨터 시스템, 같은 스피커를 사용해도 방 안을 가득 채우는 사운드가 정말 일품입니다. 단순히 배경 사운드의 질을 끌어 올리는데 그치지 않고 작은 효과음을 보듬어 키운다는 느낌이 있어서, 특히 게임에서의 체감이 아주 남다릅니다. 공격할 때의 타격음, 쓰러트렸을때의 느낌이 확실히 배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FPS 게임에서는 내장 사운드에서 느낄 수 없는 사격음과 폭발음 등의 현장감을 맛볼 수 있습니다.
게임에 특화된 느낌이 있지만, 일반 음악이나 동영상 감상에서도 아주 빼어난 모습을 보여줍니다. 여기서는 우퍼의 중저음 강화와 사운드 블라스터 특유의 음장 효과로 다중 채널 스피커가 아니더라도 사운드의 입체감이 확연히 상승되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특히 사운드 블라스터 Z 제어판의 DDL, DTS NEO 인코딩 기능은 일반적인 음감용으로도 게임용에서도 체감 효과가 상당하기 때문에 이를 꼭 한번 활성화시키고 들어보기를 권하고 싶습니다.
성능에서는 전혀 부족함이 없는 이 제품의 아쉬운 점이라면 아무래도 제품 외적인 부분이 있을 것 같습니다. 케이스 LED 튜닝을 거의 강제로 레드로 해버리는 레드 LED의 OFF 불가, 그리고 저처럼 그동안 내장 사운드만을 들어왔었던 사람들에게는 진입 장벽으로 작용할지도 모르는 다소 높은 가격대는 그 뛰어난 사운드와의 교환 댓가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첫 외장 사운드 카드로서의 체험으로 사운드 블라스터 Z는 정말 최고의 만족감을 느끼게 해주었습니다. 여기서 분명히 말하고 싶은 것은 외장 사운드는 내장 사운드와는 확실히 수준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내장 사운드도 사용하는데 있어서 충분히 쓸만하지만, 사운드의 즐거움을 체감하고 싶다면 외장 사운드 카드를 한 번은 진지하게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주의점은 사운드 카드를 바꾸게 되면 적어도 어느 수준을 넘는 스피커가 꼭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저가 스피커에서 외장 사운드가 힘을 못쓰는 것은 물론 아니지만, 제대로 그 성능을 느끼고 싶다면 적어도 중급형 이상의 스피커가 수반되어야 합니다. 들은 바로는 스피커와 사운드 카드의 비율은 거의 7:3으로, 10~20만원 대의 고급 스피커에서 외장 사운드 카드가 진짜 제대로된 사운드를 들려준다고 합니다. 테스트에서 사용한 스피커는 4~5만원의 중보급형 제품이지만, 저 또한 이보다 좀더 좋은 스피커라면 훨씬 더 좋은 사운드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음악과 영화, 그리고 게임에서 보다 몰입감 있고 풍성한 사운드를 즐겨보고 싶다면, 스피커 변경 뿐만 아니라 외장 사운드 카드로서 사운드 블라스터 Z로의 선택 또한 충분히 고려해볼만하다라는 한 줄 평으로, 이번 리뷰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키워드 : Creative, Sound Blaster, 사운드 카드, Sound Core3D, 메탈 차폐 실드, 116㏈, PCI-Express x1

Lv88 자유전사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