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롤 게 여러분~
오늘은 챔피언 블리츠크랭크의 제 경험과 전반적인 운용법을 소개하고자 글을 남깁니다.
중복된 내용 또는 길다~ 싶으면 미리 취소 누르시길~~
----
1. 우선 룬 및 특성 소개


룬은 방어 및 이속에 치중을 두며
적은 수치라도 효율 좋은 마방을 두고 치명타1개를 둠으로 초반 봇 라인전에 변수를 뒀습니다.
특성은 귀찮아서 대충 이속과 탱킹위주로 찍은 거라
특성 연구하신 분께 물어보세요. 읽어 보고 제가 찍은거임. '요리의 대가' 는 참 좋은 것 같습니다 ㅋ
----
2. 초반 라인전 준비 단계
서포터의 기본은
(1) 상대 미드 로밍
(2) 상대 정글러 동선 파악
(3) 그 외 텔레포트
(4) 상대 서포터의 CC로 시작되는 킬각
서포터의 심화 단계는
(1) 아군 봇 조합이 상대 봇 조합보다 강해지는 시기 (9분까지 무난히 컸을 때) ->렙1~6 구간 말하는 거에요.
(2) 미니맵을 전략시뮬레이션 미니맵 보듯 한다. (정글러 및 서포터는 미니맵을 보고 안보고의 차이가 매우 큽니다.)
* 서포터의 경우 30분간 게임을 하면 미니맵만 29분 가량 봅니다. (2분은 어디 갔냐고요? 5:5 영혼의 한타 시간이죠)
----
3. 블리츠 유저의 라인전 필요 덕목
(1) 부시 장악이 생명입니다. 블리츠란 챔프는 부시 시야를 공유 하는 챔프가 아닙니다.
적의 시야를 하나씩 차단해 어둠속에서 상대 서포터로 하여금
"나도 끌어가려고 하네?' '원딜이 과연 나를 살릴 수 있을까?' '나도 끌려가면 뒈진다' 라는 공포를 심어줘야 합니다.
적어도 부시 시야를 장악하면 딜교환 우선권을 그랩's 에이팅으로 가질테니까요.
(2) 모든 챔프가 그렇듯이 블리츠또한 무빙을 요하는 챔프 입니다.
와리가리를 통해 공포심을 유발합니다.
(가끔씩 w 대쉬를 하여 아군 정글러가 봇을 찌르러 왔다는 위협도 필요로 합니다)
(3) 서포터의 덕목은 아군 원딜이 적군 원딜보다 CS를 편하게 그리고 많이 먹게 하는데 있습니다.
롤은 10인게임 입니다. 아군 원딜이 cs를 못먹으면 결국 한타페이즈에 활약이 떨어질 테니깐요.
(4) 블리츠의 조작은 상대적으로 쉽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다이브 및 킬각을 내려면 그만한 숙련도와 경험을 요합니다.
되도록 높은 난이도를 요구하는 다이브 킬각 및 기술 연계는 하지 않으며(소위 말하는 성공10% 실패90% 무리플레이)
여유를 가지고 하다보면 확실하고 쉬운 난이도의 기술 연계를 필요로 하는 순간에 정확히 킬 생성을 합니다.
----
챔프 상대로 몇가지 팁을 적겠습니다.
원리는 이렇습니다.
초반 봇 라인 구조는 QWE라는 기술을 서로 3개씩 가진 챔피언이 대치합니다.
논타겟 및 타겟팅 기술을 가지고 있을텐데요.
상대가 되도록 미니언 또는 허공에 스킬샷을 쓰도록 유도하고
아군은 정확히 상대 챔프에 적중 시키면 딜교환을 잘했다고 판단되겠죠.
이니시 타이밍도 동일합니다.
(1) 상대 원딜러 및 서포터가 QWE 중 Off가 아군보다 많을 시
(2) 미니언 갯수를 보고
2:2 싸움을 유발합니다. 이니시는 아무래도 서포터 몫이니깐요.
==
각설하고
대 이즈리얼
아군원딜러가 되도록 이즈Q를 맞지 않도록 하며
원딜러 간 접근하여 풀딜을 넣을 경우
블리츠 유저는 사이에 끼여서 이즈Q각을 줄여줍니다. (정조준은 모션보고 피하시면 됩니다)
대 베인
은화살 3타는 정말 아픕니다.
하지만 2타 후 타겟팅이 변하게 되면 딜로스가 그만큼 발생하게 되죠
아군 원딜러가 되도록 3타를 맞지 않게 하며
블리츠 유저 또한 되도록 3타를 맞지 않게
은화살 액티브 쿨을 잘 보도록 합니다.
대 레오나
레오나는 돌진형 챔프에 속합니다.
천공의 검 또는 흑점폭발이 이니시 매커니즘 입니다.
결국 천공을 쏘며 아군 원딜을 겨냥해 돌진해 올 때
블리츠 유저는 아군 포탑 사거리로 들어가 돌진한 레오나를 그랩, 이어지는 RE탈진 콤보 또는 E탈진 콤보로 역관광을!
레오나의 5렙 부터는 살짝 긴장을 타셔야 합니다. (자신의 레벨 및 경험치 Bar를 보면 레오나 6타이밍을 알 수 있죠?)
흑점폭발 이니시로 시작되는 블리츠 타겟팅 소규모 교전 시 매우 위협적이니깐요.
(흑점 사거리 및 상대지원군을 항상 신경써 주세요)
대 알리스타
별거 없습니다.
방어력 30내외의 알리스타는 1렙부터 당겨주고 평타 쳐 줍니다.
고통을 줍니다.
30판에 1판 꼴로 보는 알리스타 매니아 정도는
봇 진입로에 벽W로 이루어지는 이니시를 열지만
WQ를 연속해서 쓰거나 하지도 않는 게 보통 알리스타 유저입니다.
하나만 조심하면 됩니다.
알리스타의 이니시 매커니즘은
점멸 + Q + 무빙 + W
아군 원딜이 멍청해서 점멸 Q를 맞았다. 그러면 블츠유저는 내 플을 뺄 각오를 하고
아군 원딜의 뒤 포지션이면 하지 마시구요
아군 원딜과 종(세로)으로 자리 잡고 계셨다면 친철히 알리스타를 그랩해 줍니다.
그리군 블츠도 뒤로 플을 써야겠죠.
이 때,
블츠의 Q가 빠른지, 알리스타가 탈진을 아군 원딜에게 못 걸었는지, 아군 원딜러가 도주기가 있는지로 인해
3가지 중 3가지가 다 해당되지 않을 시 아군 원딜은 뒈지므로 버리시면 됩니다.
알리가 위와 같은 매커니즘으로 이니시를 열 때는
대체로 상대 지원이 온 경우 입니다.^^ 블츠 유저 플 없으면 상황판단 잘하시길 바랍니다~
알리스타는 라인전에서 쓰레기입니다.~~ 상대 입장에서는 라인전 쉬워요~
매커니즘이 매우 단순하며 따이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대 쓰레쉬
쓰레쉬의 핵심은 정작 본인의 도주기가 구리다는 겁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탱킹이 안되죠
------------------
탈진의 원리는
1. 아군 딜러가 잘 컸을 때 상대 앞라인 접근 시 딜러진 보호용
2. 상대 딜러가 딜 정점을 찍으려 할 때
2번의 경우 QWER이 다 빠진 챔프에 탈진을 걸게 되면
탈진을 120%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 입니다.
미리 탈진을 걸 경우도 많겠지만.
상대 딜러가 딜 버스터 직전에 꼭 탈진을 걸어주세요.
------
블츠의 라인전 메커니즘은
1. 포탑 그랩의 경우 바로 R - E 순이며 평타는 E가 끝날 때 까지 섞어주지 않습니다.
(상대 플을 못쓰게 하는게 요체입니다)
2. 소규모 교전 시 꼭 앞 무빙 평타 및 E평타를 익혀 놓으세요.
(리븐의 Q평Q평 등의 베인 잭스와 같은 평캔과 유사합니다.)
3. 그랩은 많은 유저가 강조한 만큼
각을 최대한 줄여서 발사 또는 어쩔 수 없이 끌려 오게 만드는 원리 입니다.
(하지만 굳이 그랩을 쓰지 않아도 되는 디나이 상황, 상대 공성미니언이 살아 있을 때는 되도록 무빙만 해주세요)
4. 상대 공성 미니언의 피를 보고 W 무빙을 통해 막타를 어렵게 치도록 방해해주세요.
---------------
블리츠는 시야차단 위주로 하는 게 좋습니다.
1분 와드를 찍는 것 보단 지우는 팬덴트가 좋다고 봅니다(개취)
하지만,
시야석이 나오게 되면 꼭 지우는 것으로 바꾸시길 강권합니다~~ㅋ
이상 입니다.
질문은 댓글로~~
상아탑 블리츠크랭크학회 연구 보고서. -깡통매니아 샤이닝세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