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과 노하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전략] 카운터픽 가이드

아이콘 쿠아곰
댓글: 70 개
조회: 27407
추천: 67
비공감: 1
2014-05-04 14:49:47

롤을 하다보면 자기 케릭 카운터 만납니다. 많이 만납니다.

 

가뜩이나 실력도 버거운데, 자기 카운터챔프가 맞라인전 하고 있으면 암걸리시죠?

 

그래서 제가 일반적인 카운터픽에 대해서 간략하게 적어볼까 합니다.

 

1. 케릭터 사거리와 돌진기의 여부로 따지는 카운터 관계(보통 탑에서, 가끔 미드에서도 나옴)

 

케릭터군은 크게 3개로 나누겠습니다.

 

돌진기가 없는 근접케릭터군

Nasus(나서스)Singed(신지드)Darius(다리우스)Garen(가렌)Mordekaiser(모데카이저)Trundle(트런들)

돌진기가 있는 근접케릭터군

Riven(리븐)Jax(잭스)Vi(바이)Xin Zhao(신 짜오)Zed(제드)Renekton(레넥톤)

원거리 케릭터군

Vladimir(블라디미르)Teemo(티모)Ryze(라이즈)Kennen(케넨)

 

이 세 부류 간의 카운터 관계는

보통 돌진기가 없는 케릭터들은 돌진기가 있는 케릭터들과의 맞다이에서 강한 모습을 보입니다.

돌진기가 있는 케릭터들은 원거리 케릭터와의 딜교환에서 아예 안으로 파고들어가 강력한 딜을 박습니다.

원거리 케릭터는 돌진기가 없는 케릭터들을 농락하면서 디나이를 합니다.

 

물론 세부적으로 케릭터간 상성은 원거리 견제기 유무 등의 변수로 이것이 적용되지 않는 케릭들도 일부 있으나, 대체적으로 이것이 적용된다고 보면 됩니다.

 

2. 미드라이너들 간의 상성관계

 

여기서는 암살자형, 딜탱형, 포킹형으로 나눠보겠습니다.

 

암살자형

LeBlanc(르블랑)Akali(아칼리)Talon(탈론)Katarina(카타리나)Zed(제드)Kassadin(카사딘)

딜탱형

Galio(갈리오)Swain(스웨인)Malphite(말파이트)Mordekaiser(모데카이저)

포킹형

Lux(럭스)Nidalee(니달리)Ziggs(직스)Orianna(오리아나)

 

여기서 암살자형은 극초반(3렙)에 킬을 못내면 딜탱형에게 묶여서 로밍도 못가고 킬각도 내기 힘든 상태가 됩니다.

반면 딜탱형은 거의 공통적으로 포킹형들이 사거리 안으로 들어오지 않는 이상, 짤짤이를 계속 맞을 수 밖에 없고요.

반면에 포킹형 챔프는 암살자형 챔프가 사거리 안으로 들어오면 상당히 위험한 상황이 됩니다.

 

3.서포터 간의 상성관계

 

서포터도 잘 아시다시피

 

포킹형

보조형

CC형으로 나눌 수 있고, 이들 간 상성관계가 존재합니다.

 

포킹형

주로 논타겟 스킬들을 이용해서 상대 원딜의 파밍을 막는 것이 주 역할인 서포터입니다.

Nidalee(니달리)Lulu(룰루)Lux(럭스)Morgana(모르가나)

보조형

주로 아군을 치유하거나 보호막 등을 이용해서 아군 원딜의 유지력을 올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Soraka(소라카)Sona(소나)Nami(나미)Janna(잔나)Taric(타릭)

CC형

강력한 CC기 연계를 통해서 순간적으로 상대의 킬을 노리는 역할을 합니다.

Alistar(알리스타)Annie(애니)Blitzcrank(블리츠크랭크)Nautilus(노틸러스)Leona(레오나)Thresh(쓰레쉬)

 

주로 포킹형은 포킹을 해도 보조형 서폿들이 피를 채우거나, 보호막 등으로 포킹을 약화시키는 형태를 띱니다.

반면 보조형 서폿들은 순간 방심에 CC형 서폿에게 킬을 내주거나 스펠을 빼게 되지요.

CC형 서폿은 포킹형 서포터들에게 CC각이 잘 나오지 않아서 고전하게 됩니다.

 

4. 원딜 사거리 차이로 인한 상성관계

 

원딜들도 자세히 보면 어느 정도 사거리 차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가장 극명하게 나타나는 것이 베인/케이틀린인데요. 능숙한 케이틀린은 베인을 라인전 내내 개피로 만들어서 정상적인 파밍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사거리가 긴 케릭터군

기본 사거리가 575가 넘거나, 스킬로 기본사거리가 늘어나는 경우)

Caitlyn(케이틀린)Varus(바루스)Ashe(애쉬)Tristana(트리스타나)Kog'Maw(코그모)(W킬때만, 아닐때는 사거리 짧은편)

 

사거리 보통정도인 케릭터군

(사거리는 다른 원딜과 비슷하지만, 스킬 등으로 기본사거리 이상의 공격이 가능한 경우)

Ezreal(이즈리얼)Corki(코르키)Sivir(시비르)(기본사거리는 500으로 원딜 중 최하위인 시비르)

 

사거리가 짧은 케릭터군

(사거리가 짧고, 스킬로도 사거리 밖의 적을 공격하기 어려운 케릭터들)

Graves(그레이브즈)Vayne(베인)Draven(드레이븐)Twitch(트위치)(궁이 있으면 사거리 길지만, 궁을 견제용으로 쓰진 않잖아요.)

 

감이 오시죠? 사거리가 보통인 케릭터군들의 스킬셋을 보면 상당히 공격적입니다.

이즈리얼 같은 경우, Q를 이용해서 파밍 혹은 견제를 하고, 코르키도 인광탄이 은근히 거리가 길어서 상대 견제에 사용 가능합니다. 시비르 견제는 말이 필요가 없고요.

반면 사거리가 긴 케릭터들은 스킬셋이 공격적이라고 보기 살짝 어렵습니다.

케이틀린 같은 경우, 덫을 딜용으로 쓰기 어렵고, 바루스도 E같은 경우는 이속감소+치감을 위해 쓰는 경우입니다. 애쉬같은 경우 매날리기라는 아주 잉여한 스킬이 있군요. 트리스타나는 모든 스킬이 AP계수라서, 스킬딜을 노리기 어렵습니다. 코그모도 E가 이속감소로만 쓰이는 바람에 딜용으로는 부적합합니다.

 

사거리가 보통인 케릭터들은 반면에 사거리 짧은 케릭터들이 안으로 파고들어오면 상대가 껄끄러워집니다.

사거리 보통인 케릭터들이 도주기가 있어도, 사거리 짧은 케릭터들이 들어오는 속도가 더 빠르거든요.

거기에 서로 주고받으면 보통 사거리 짧은 케릭터들이 이깁니다.

 

사거리 짧은 케릭터들은 굴러가더라도, 사거리 긴 케릭터들에게 상당히 많은 피해를 받고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교전에서 어려움을 겪습니다.

 

5. 특수한 상성관계

 

상대가 Olaf(올라프) 골랐을 때, 우리편에서 Jarvan IV(자르반 4세) 나오는 것은 상당히 좋은 선택입니다.

Olaf(올라프) 궁인 Ragnarok(라그나로크)는 모든 CC를 무시하지만, Cataclysm(대격변) 벽은 뚧고 지나가질 못합니다.

 

상대 원딜이 Tristana(트리스타나)Miss Fortune(미스 포츈)같은 케릭터라면

 Dr. Mundo(문도 박사)Volibear(볼리베어)Singed(신지드)Sion(사이온)Warwick(워윅)같은 케릭터를 가급적 피하시면 좋습니다.

한타싸움 할 때, 저 케릭터들은 치유/흡혈기반으로 생존력을 확보하는데 비해서, Tristana(트리스타나)Miss Fortune(미스 포츈) 그 위력을 줄이는 치유감소 효과를 걸어서 평소 한타때보다 탱커의 생존력이 줄어들게 됩니다.

 

상대편에 Lee Sin(리 신)Twisted Fate(트위스티드 페이트) 있다면

 Shaco(샤코)Akali(아칼리)Twitch(트위치)Vayne(베인)Talon(탈론) 등을 피하시기 바랍니다. 보통 이런 케릭터들은 은신기술을 통해서 치고 빠지는 생존전략을 노리지만, 리신의 Q와 E는 맞는 즉시 은신상태를 보이게 만들기 때문에 가뜩이나 생존력이 안좋은 은신케릭터들을 쉽게 잡습니다. 트페같은 경우는 궁을 키면 은신챔프들 위치가 바로 발각되기 때문에 한타에서 은신을 했는데 트페가 궁을 키면 그자리에서 죽는거나 마찬가지입니다.

(물론 트페같은 경우는 맞라인전으로 아칼리, 탈론 등이 오면 쉽게 썰리는 포킹형 챔프라서, 맞라인에 온다면 초반에 압살해서 끝내는걸 고려해볼 만 합니다.)

 

Yorick(요릭)이놈은 흔히 보기 어려운 챔프입니다. 그런데 이놈에게 당해본 사람들은 이새끼 십새끼라고 욕을 해댑니다.

그러면 이 놈을 상대하는 방법은?

1. 포킹형으로 거리를 내주지 않는다.

2. Mordekaiser(모데카이저) 고른다.

Yorick(요릭) 소환물 기반으로 전투를 벌이는 챔프입니다.

반면 Mordekaiser(모데카이저) 주변에 적이 많으면 딜량이 늘어나 쉴드량이 많아지는 특이한 형태를 보입니다. 그래서 어느 정도 장비만 갖춰지면 Yorick(요릭) 아무리 스킬을 부어도 Mordekaiser(모데카이저) 보호막을 채워주는 결과만 발생하기 쉽습니다.

 

마치며

 

물론 이러한 카운터관계는 챔프의 특성을 대략적으로 알고 있어야 적용이 가능한 것이고

또한, 특정 스킬의 유무 등으로 인해서 카운터관계가 무효화되거나 역전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롤의 챔프 숫자는 100개 이상이며, 모든 케릭터의 상성관계를 외울 순 없으므로

이러한 기본적인 지식을 기반으로 카운터픽을 한다면 플레이를 유리하게 풀어나갈 수 있습니다.

 

이 팁에서 또 아쉬운 것이 있다면 정글 간의 상성관계를 정리하지 못한 점입니다.

정글 같은 경우는 카운터픽의 유무보다 라이너들 간의 호응만으로도 역카운터인 케릭터가 카운터인 케릭터를 압도하는 그림도 자주 나오기 때문에 정리가 어렵습니다.

Lv76 쿠아곰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LoL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