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챔프픽 이유
중국팀의 노림수는 말파 자크 베인
중국에서는 이런 경우 탑 말파, 정글 자크, 미드 라이즈, 원딜 베인
혹은 탑 자크, 미드 말파, 원딜 베인이 주로 쓰입니다.
적절한 타이밍에 자크가 뛰어들고, 말파가 궁 쓰면서 밥상을 차려주면 베인과 라이즈가 쓸어담는 방식입니다.
결승 1경기는 케이틀린을 뺏어오는 목적으로 가져오고, 상대가 트페가 있기 때문에 녹턴을 픽하면서 한번은 조합 포기
중간에 픽할 때 말파를 잠깐 보여준 것을 보면 살짝 미련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쓸어담을 원딜이 베인이 아니라 케이틀린이라 불안한 면도...
말파는 템이 엄청나게 좋지 않아도 궁의 존재감이 매우 큰 챔프이기 때문에 텔포 들고 2:1 라인으로 가서 버티면서 적당히 방템이 나오면 스플릿 푸쉬도 되고 궁으로 인해 한타 기여도도 높습니다.
베인은 베인소나로 라인전 강하게 가던지, 아니면 라인 스왑으로 안전하게 커서 중반 이후 차려진 밥상에 숟가락만 얹으면 됩니다.
자크가 핵심인데 사실 말파 없이 자크 베인만 잘커도 성립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탑 자크가 중국에서 애용되는 것
2. 패배 원인
이 조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크와 베인이 잘커야 한다는 점입니다.
자크가 뛰어 들어가서 양념을 잘해주고 적의 공격도 말파와 함께 받아주면서, 베인이 강력한 화력으로 안전하게 적들을 마무리하는 그림이 나와야하죠.
그런데 자크가 못크면 말파 궁을 쓸 타이밍도 안나오고, 베인으로 쓸어담는 그림은 성립이 안됩니다.
중국 vs 미국 경기에서도 자크 베인이 나왔는데 자크가 초반에 말리니까 자크 클 때 까지 계속 기다렸었죠.
그리고 자크가 크고 나서 한타를 하니까 바로 경기는 뒤집혔습니다.
중국이 미국한테 밀린게 중국이 운영을 못해서 밀린게 아니라 자크 베인을 키우기 위해서 한타를 안하고 기다린 것
(탑 타워 밀고나서 봇 듀오가 안내려가고 상대가 언제던지 용을 가져갈 수 있도록 방치한 것은 좀 문제 같지만)
결승전에서도 똑같이 자르반이 탑갱도 못가고, 탑에서는 자크가 완전 압도적으로 밀리니까 중국이 원했던 구도는 전혀 나오지 않고 일방적으로 끌려가게 됩니다.
이게 결정적인 중국팀의 패배 원인
우리나라처럼 제이스 잘하는 탑솔러들을 자크로 상대해본 경험이 적은 것 같네요.
우리나라팀은 말파 자크 베인을 염두에 두고 플레이했다기보다 그냥 샤이가 탑에서 압도적으로 이긴게 승리를 가져다 준 것 같습니다.
탑 라이즈가 무서워서 라이즈 밴을 한 것도 어떻게든 버티다가 후반에 자크 라이즈 베인 템 좀 나오고 역전 스토리가 나올 수 있는 희망을 없앤 결과가 되었습니다.
만약 말파 자크 라이즈 베인으로 50분 경기가 나왔다면 1만골드 차이가 나도 역전이 나올 수 있습니다.
유리하면 압도적으로 승리, 불리해도 역전이 가능
그게 말파 자크 베인 조합이 중국에서 애용되는 가장 큰 원인인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