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L 레드 포스트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포럼] (번역) Thorin - Alex Ich

아이콘 영원의달
댓글: 48 개
조회: 15681
추천: 17
2014-10-07 02:44:13




Alex Ich -

The model of an esports man

If I had a hero in esports, Alex Ich would be it. Monster of the Mid lane, master of Season 2 and multiple-time champion.


알렉스 이치 -
e-스포츠맨의 모범

나에게 e-스포츠의 영웅이 있다면, 그것은 '알렉스 이치'다.  미드 라인의 괴물, 시즌2의 지배자, 수많은 대회의 챔피언. 




"Don't ever underestimate the heart of a champion!"

"절대로 챔피언의 심장을 얕보지 말아라!"





 Alexey 'Alex Ich' Ichetovkin finds his career encircled by uncertainty in a manner he has never before experienced. Once the most effective Mid lane player in the world, the leader and star of the best team in professional LoL, the Russian would, right up until many points in this year, have been a heavily contested free agent, had he ever chosen to leave Moscow Five or Gambit Gaming. Separating Alex Ich from Gambit was a seemingly impossible scenario to even conceive of; Alex Ich was Gambit, for some fans, or at least embodied the spirit of Gambit.

 알렉세이 'Alex Ich' 이치도브킨은 자신의 진로가 지금껏 한 번도 겪지 못한 방식으로 불확실성에 둘러싸인걸 깨달았다. 한때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던 미드라인 플레이어, LoL 최고 프로팀의 리더이자 스타, 이 러시아인은, Moscow 5 혹은 Gambit Gaming을 떠나기로 결정한 순간부터, 바로 올해 여러때에 걸쳐 영입 경쟁이 치열했던 자유 계약 선수였다. 알렉스 이치를 갬빗에서 떼어놓는다는 것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시나리오로 여겨졌었다; 어떤 팬들에게는 알렉스이치가 곧 갬빗이었고, 아니면 적어도 갬빗의 정수라 일컬어졌다.

When the moment came that Alex did decide to leave his Eastern European comrades, following their disastrous LCS Spring 2014 split play-off performance, the worst finish of their careers with that magical five man line-up, he found himself a comfortable new home within the NiP organisation. Surrounded by other formerly elite LCS talents and seemingly destined to return to LCS for Season 5, the way seemed clear for Alex to write a fresh new chapter in the story of his career, dictated according to his own terms and in line with his vision for Alex Ich the professional League of Legends player.

알렉스가 그의 동유럽 전우들을 떠나기로 결정한 그 순간에, 마성의 원년멤버들이 사상 최악의 마무리를 지은, 2014 LCS 스프링 플레이오프의 형편없는 결과 직후, 그는 NiP에 새로운 보금자리를 만들었다. LCS 출신의 재능있는 엘리트들을 병풍삼아 시즌5 LCS 진출은 당연해 보였고, 그의 방식과 알렉스 이치라는 프로 선수로서의 자아관에 따라서, 그의 경력에 상쾌한 새출발의 장을 열기에 그 길은 순탄해 보이기만 했다.
  

Now, with visa difficulties hanging over his career in Europe, faced with the possibilities of potentially having to leave his continent or perhaps even retire, the legendary Mid laner, once a demi-god of the position, finds the next phase of his career as difficult to deduce the right direction of as those who speculate on destinations he might end up at. A man who has helped his teams to more than $400,000 in prize money winnings finds himself seeking any kind of spot at all in LCS.

그런데, 그의 유럽생활 내내 끊이지 않는 비자 문제와 더불어,  대륙을 떠나거나 심지어 은퇴까지 고려해야하는 가능성에 당면하자, 전설적인 미드라이너, 한때 반신의 영역에 올랐던 그는,  그의 종착지를 짐작하는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개중에 옳은 방향으로 그의 인생의 다음 장을 가닥 잡는것을 어려워 하고있다. 자신의 팀에 40만 달러(4.3억) 이상을 안겨줬던 한 사람이 이제는 LCS의 남루한 한 자리에도 굶주려있다.

Alex Ich is more than just one of the greatest players to ever compete in LoL, he is a man I respect above all others in his field. He is, in every sense, an icon of Western LoL.

알렉스 이치는 LoL 사상 가장 뛰어난 선수들 중 하나일 뿐만이 아니라 , 그는 롤 업계에서 내가 가장 존경하는 인물이다. 그는, 모든 의미로, 서양 LoL의 아이콘이다.


Monster of the Mid lane

미드 라인의 괴물

Alex Ich is one of the 10 greatest players in the history of competitive League of Legends. As the best player on a team which held position as the strongest in the world for the better part of 2012 and Season 2, he was one of the quickest to accumulate accomplishments and accolades. A six time champion, placing top four in 15 significant offline tournaments, Alex Ich has known success few other European players can approach or imagine. As the best player on the teams accomplishing such feats, his place in history is as undeniable as his play during that time-span was unforgettable.

 알렉스 이치는 롤 프로 역사상 가장 위대한 10명의 선수 중 한명이다. 2012 전반과 시즌2의 가장 강력했던 팀의 최고 선수로서, 그는 가장 빠르게 업적과 명예를 쌓은 사람중 하나였다. 6 관왕, 15 개의 권위있는 대회에서 모두 4강 이상의 성적, 알렉스 이치는 소수의 다른 유럽 선수만이 근접하거나 꿈꿀 수 있는 성공을 맛 보았다.  이러한 위업을 이룬 팀의 최고의 선수로, 그 당시 그의 경기들이 결코 잊혀지지 않는것을 볼때, 롤 역사에서의 그의 위상은 부정할수 없다.

When Moscow Five kicked open the door of the Western scene and took their place atop the throne, it was Alex Ich whose play led the way and set the tempo for the destruction they would visit upon their opponents. Every member of that near-mythical line-up had his own unique playing style, often setting meta trends and innovating new approaches directly, but Alex Ich's Mid lane play defined and directed the unstoppable march to more titles and top placings.

Moscow 5가 서양 롤판의 문을 박차고 들어와서 왕좌를 차지할때, 그들에게 길을 제시하고 상대에게 파멸을 안겨주기 위한 조율을 한것은 알렉스 이치의 플레이였다. 거의 신화와 같은 모든 멤버들은 각자의 독특한 게임 방식이 있었고, 종종 메타 트렌드를 설립하고 새로운 접근을 직접 혁신했지만, 알렉스 이치의 미드 플레이가 챔피언 타이틀과 상위 랭커으로의 막을 수 없는 행군을 유도하고 확립했다.


Moscow Five's special secret was that they were a team who synergised both in attitude and the combination of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 weakness of one player, which would have been exposed in another team, would be covered by the strength of one of his team-mates and vice-versa. After putting the pieces together though, the mouth of the ravenous lion devouring their enemies was Alex Ich. If M5/Gambit was the spear, then Alex Ich was the sharpened head.

Moscow 5의 비법은 그들이 태도와 장단점의 조합에서 모두 조화를 이뤘다는 것이다. 한 선수의 약점은, 보통 다른 팀에게 파훼될 법하지만, 다른 선수들의 강점에 의해서 가리워졌고 이것은 역으로도 성립했다. 그러나 이렇게 서로를 맞추어 간 후에, 적을 집어삼키는 사자의 아가리는 알렉스 이치였다. M5를 하나의 창이라고 한다면, 알렉스 이치가 날카로운 창두였다.


When one conjures up a vision of a classic Gambit team-fight, one can vividly see a Kha'Zix firing its void spikes from distance, pacing as the fight progresses, awaiting that one glorious moment of fierce and fast-paced fury in which he flings himself from afar onto fresh meat, reset following reset as the death counter seems as startled and slow to react as the now lifeless enemy champions below his feet, until the fight is finished and the battle won.

 전형적인 갬빗식 한타를 상상해보면,  카직스가 공허의 가시로 포킹하며, 전개되는 싸움의 흐름을 따라, 그 영광스러운 순간 - 빠르고도 날카롭게 싱싱한 먹잇감을 덮치며 싸움이 끝날때까지 초기화를 이은 초기화로, 그의 발아래 목숨잃은 적들과 같이 겁먹고 뒷북치는 아나운서의 종언 - 을 기다리는 걸, 그리고 승리한 전투를 생생하게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Thoughts of Moscow Five's best days bring to memory moments of Alex Ich laning against opponents from thousands of miles to the West of his native Russia and thousands to the East, finding ways to defeat and out-perform each of them. Where so many other legendary players are associated with a few champions, often seeing their careers marked by the developer's whims when they come to buffing and nerfing that avatar, Alex Ich has transcended metas and champion pool changes again and again.

Moscow 5의 전성기에 대한 생각은 알렉스 이치가 그의 조국 러시아로부터 동서로 수천마일 떨어진 곳의 상대와 맞서, 그들을 물리치고 농락할 방법을 찾던. 추억의 장면들을 회생 시킨다. 다른 많은 전설적인 유저들이 특정 챔피언과 연관되고, 종종 개발자의 변덕에 의한 챔피언 패치로 경력에 흠집이 생겼던 반면에,  알렉스 이치는 메타를 초월해왔고 끊임없이 챔프폭을 바꾸고 또 바꾸었다.

Master of Season 2

시즌 2의 지배자

Those who have not seen Alex Ich prior to 2013 may find the context of his play difficult to ascertain, with so many legendary names occupying that lane during Season 2, so some specifics should be stated. Alex Ich of Season 2 was better than Toyz, better than Ambition, better than Reginald, better than Misaya. All of these players represented the best their region had to offer, but none could match Alex Ich, in terms of overall play and impact on the game.

2013년 이전의 알렉스 이치를 보지 못한 사람들은 당시 그의 경기력에 대한 의구심이 있을 수 있는데, 시즌 2에는 기라성 같은 수많은 미드라이너들이 있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할 것이다. 시즌 2의 알렉스 이치는 Toyz 보다, Ambition 보다, Reginald 보다, Misaya 보다 뛰어났다. 이 모든 선수들은 각자의 지역에서 최고로 꼽히지만, 그 누구도 게임의 영향력과 경기력면에서 알렉스 이치의 상대가 되지 못 했다.

Alex's only true rival existed as the star of his team's most famous rival: CLG.EU's Froggen. In this author's opinion, that Dane was the better of the two, but that's a judgment offered in line with a specific philosophy on how best to define the value of a star Mid laner, the debate is very much one which can be had and fought well from both sides.

알렉스의 오직 진정한 라이벌은 라이벌 팀의 스타로서 존재했다:CLG EU의 프로겐. 필자의 의견으로는, 그 덴마크인이 둘 중에 더 뛰어났지만, 그러한 판단의 근거는 진정한 미드라이너를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갈리며, 이 주제에 대한 논쟁은 양 선수쪽으로 비등한 토론이 될 것이다.


When M5 were at their most dangerous, they would steamroll opponents before 25 minutes. In such victories, Alex Ich would tear apart team-fights and run down enemies with a steadfast focus that approaches the no-mind states described in zen Buddhism, unwavering and without hesitation, acting from a place of pure intention. M5 did lose games and Alex Ich was beaten in lane and in fights, even gods can bleed, but during this time it took a fellow diety of the Mid lane, playing in peak form, to best the Russian maestro of the Mid lane.

M5가 가장 위협적일때는, 25분 전에 이미 상대팀을 밀어버리곤 했다. 이러한 승리들에서, 알렉스 이치는 불전에 적혀있는 무아의 경지 -순수한 의지를 토대로 흔들리지 않으며 망설이지 않는 마음상태- 에 이르러 칼 같은 집중력으로 한타를 찢어버리고 도망치는 적을 사냥해냈다.
M5 또한 패배했으며 알렉스 이치도 한타나 라인전에서 밟힌적이 있지만, 전쟁의 신도 피를 흘리는 법이고, 보통 이런 경우, 러시아의 미드 거장을 쓰러뜨리는건, 다른 팀의 신급 미드가 전성기를 구가할 때였다.

With a team as focused around synergy between key parts, it's too much to call Alex Ich the hard carry, but he was certainly one looked upon to do heavy lifting in many of their key matches and tasked with the responsibility of competing with some of the most skilled players in the world, across him in the Mid lane, at a time when their impact on the game could be enormous, should they be fed and loosed upon the rest of the map.

팀이 주 요소간의 시너지에 집중하는 스타일이라, 알렉스 이치를 하드캐리라고 부르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바로 그가 중요한 경기 대다수에서 버스를 태우고,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선수들을 미드에서 마주하고 상대하는 임무를 해냈는데, 이들이 만약 잘 커서 고삐가 풀린다면 전 맵을 활개치면서 경기에 막대한 영향을 끼칠 터였다 .

Come with me and win

나를 따르라

When speaking of Alex Ich's Mid lane play, it should be impossible and even considered negligent to ignore the synergy he was able to achieve with Jungler Diamondprox. The two may never have lost a game in which both their individual games were on point and their chemistry in full effect, such is the impact they could have on a match and an opposing team. Diamondprox's counter-jungling is an innovation he can claim as his own, but the execution of that approach required the help of his Mid laner.

알렉스 이치에 대하여 말할때, 정글러인 Diamondprox와 이뤄낼 수 있었던 시너지를 언급하지 않는건 불가능하며 태만하게까지 여겨질 것이다. 그 둘은 기량이 물 오르고 호흡이 잘 맞았던 시절 아마 한번도 지지 않았는데, 그들이 상대팀과 경기에 끼칠 수 있는 파급력이 그 정도였다. 다이아몬드프록스의 카운터 정글링은 그 만이 할 수 있는 전매특허였는데, 그것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미드라이너의 도움이 필요했다.

Even more significant, is that Alex's ability to hold his own man-on-man with anyone in his lane meant that Diamondprox was not required to body-guard his star from ganks, as many junglers have often found themselves forced to.

더욱 중요한것은, 알렉스는 상대가 누구든 간에 대등하게 라인전을 가져 갈 수 있었다는 점인데 이는 다이아몬드프록스가 다른 많은 정글러들이 강요받는 스타의 보디가드 노릇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뜻 이었다.

It's not exaggeration to say that Alex Ich set the identity of Moscow Five as a result of not just his play, but his very personality and attitude to the game. Diamondprox's story of how he conceived of his approach to counter-jungling was that it came due to an ephiphany gained watching Alex Ich stream. When Edward, then known as GoSu Pepper, joined up with Team Empire, bringing the unknown and inexperienced Diamondprox along with him, it was on the condition that Alex Ich help teach them both to play.

알렉스 이치가 Moscow 5의 정체성이라고 말하는 게 과장이 아닌것은 그의 경기 뿐만 아니라, 그의 그 인성과 게임에 대한 자세에서도 기인한다. 다이아몬드의 이야기에 따르면 그의 카운터 정글링 시도의 처음은 알렉스 이치의 방송을 보다가 깨달음을 얻어서 였다고 한다. Edward, 또는 GoSu Pepper,가 Team Empire에 들어올때, 무명의 경험없는 다이아몬드를 데려왔는데, 알렉스 이치가 그들을 가르친다는 조건이 있었다.


Alex Ich's playing style and strengths were Moscow Five's: a wide and never-ending champion pool, including new picks and used in new manners; unleashed aggression; an intimidating aura of certainty regarding the imminence of victory; the belief that no matter the darkness surrounding one, victory's light can still be found if sought with enough fervour and paid for with earnest intentions. M5 had the right kind of players, but it also had the right leader and star.

알렉스 이치의 플레이 스타일과 강점은 곧 Moscow 5의 것이기도 했다: 끝을 모르는 챔프폭, 새로운 픽과 색다른 시도; 고삐풀린 공격성; 승리를 향한 절박함이 실제로 만들어내는 위협적인 오오라; 아무리 암담한 상황에 처해도, 넘치는 열정과 진정한 의지에서 여전히 찾아볼 수 있는 승리를 향한 한줄기 빛. M5는 바람직한 선수들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리더이자 스타또한 갖고 있었다.


The leader

리더

Alex has himself described the problems that Gambit Gaming would undergo, in terms of internal strife and issues with focusing on improvement and staying apace of meta changes, by stating that he was the leader of Moscow Five, but not of Gambit Gaming. Even so, there is a degree to which Alex Ich was always the leader of his teams. The playing style he brings to the server gives his team-mates the belief that they can trample over even the most fearsome of opponents and battle back, trading life-for-life in chaotic team-fights to force the hand of chance in their favour.

알렉스는 갬빗이 겪는 문제점들, 내부 갈등과 메타를 따라잡기위한 노력, 을 직접 설명하기를,  자신은 Moscow 5의 리더였지만, 갬빗의 리더는 아니었다 라고 말한다. 그럼에도, 알렉스가 어느 정도는 계속 리더 역할을 했다. 그의 플레이 방식이 물어오는 이점은 그의 팀 동료들에게 그 어떤 두려운 상대도 짓밟고 넘어설 수 있다는, 또 목숨이 오가는 난전 속에서도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믿음을 심어 주었다.

Alex Ich is a player who has seemingly never felt the shock of nervous energy which electrocutes and paralyses so many when they arrive upon the grand stages of top level competition. Alex Ich has played badly and been beaten for it, but never has he been found to choke in a series for M5 or Gambit. To the contrary, when others around him fall and lose their footing, the Russian Mid laner is a rock upon which all can rely.

알렉스 이치는 많은 플레이어들이 세계 정상급 대회에 서면 겪는 긴장의 에너지로 인한 감전과 마비를 한번도 느끼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알렉스 이치는 잘못된 플레이를 해서 밟힌적은 있지만, M5에서나 갬빗에서나 한번도 대회때 긴장에 시달린적이 없었다. 오히려 반대로, 그의 동료들이 흔들리고 넘어질때, 이 러시아 미드라이너는 그들이 딛고 일어설 수 있는 든든한 발판이 되어주었다.



Consider his final game as a Gambit member, his team entirely discombobulated by the first truly failed bootcamp of their careers, already having placed worse than they had ever with that fivesome and now on the brink of elimination from top level European competition entirely, a prospect that would have been claimed as blasphemy even weeks prior. His team-mates' weaknesses fully on display, the team's style exposed as outdated, the end of Gambit Gaming moments away. In this moment emerged the true spirit of Alex Ich. The shackles of poor form fell away and the youth of genius returned. Alex Ich hard carried Gambit Gaming into another split of LCS. One last legendary game for his magnificent brothers.

그의 갬빗 멤버로서의 마지막 경기를 보면, 그의 팀은 사상 처음으로 실패한 합숙 훈련에 의해 졸전을 펼치고 있었고, 5명이 모여 거둔 중 최악의 성적표를 가진것은 물론이고, 아예 유럽의 경쟁구도에서 나가 떨어질 위기에 처해있었는데, 당시엔 몇 주 전만하더라도 신성모독으로도 느껴졌을 법한 상황이었다. 그의 동료들의 약점은 적나라하게 드러났고, 팀의 전략은 노출됐고 낡았으며, 갬빗의 멸망은 눈앞에 아른거렸다. 이러한 상황에서 알렉스 이치의 진정한 정신이 부각됐다. 거지가 차고있던 고랑이 벗겨지고 천재의 젊음이 돌아왔다. 그는 갬빗게이밍을 하드캐리해서 또다시 LCS에 올려놓았다. 그의 아름다운 형제들을 위한 전설적인 마지막 경기였다.

The man

인간 알렉스

Alex Ich the man is much like his play at its best: entirely focused, buoyed up by a loose and joyful personality which ensures the weights of pressure and competition cannot weigh him down, and dedicated to a pure intention. When he answers a question, he thinks for a moment and then speaks with a certainty and force that speaks to a fully actualised being, aware of who he is and what he is doing.

알렉스 이치의 인물상은 그의 플레이 스타일과 합치한다. 전적으로 집중하고, 헌신적으로 몰두하며털털하고 명랑한 성격이 그를 경쟁과 긴장의 무게로부터 자유롭게 해준다.

Interviews of the last few years have always been brought, by Alex's direction, to the topic of his dedication and focus on his family life, recognising his roles as husband and father, yet also with an understanding that competition must have its own place carved out where it can be entirely the object of a healthy obsession. The man whose nerves held fast in pressure matches against the best teams of all time can be relied upon in his place at the head of his family.

알렉스와 한 지난 몇년간의 인터뷰는 항상 그의 가족에 대한 헌신과 집중을 나타내주는데, 남편과 아빠로서의 역할을 이해하면서도, 그의 마음 한켠에 경기는 건강한 집착의 대상으로 단단히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역대 최고의 팀들과의 경기에서도 항상 굳게 유지되던 그의 마음은 가장이라는 그의 자리에서도 잘 해낼것이다.



"Place no head above your own."


-The Buddha

(역자주 - 不要在自己的頭上安頭 다른 사람 말에 휘둘리지 말고 스스로 묻고 찾으라는 부처님 말씀)


I don't believe in heroes or idols, those who we admire enough to place above ourselves and out of reach. I think such paradigms of thought limit the individual and his conception of what he can actually do and where his inspiration comes from, as motivation should be, by my reckoning, thought of as the lighting of a roaring internal fire from the tiny spark an external one sends off when witnessed with an open and understanding heart.

나는 영웅이나 우상처럼, 흠모해 마지않아 우리보다 높은 위치에 두고 닿을 수 없다 여기는 그런 존재를 믿지 않는다. 내 생각에 그런 상투적인 생각은 개인과 그의 역량과 그의 영감을 제한하고, 내 생각에, 진정한 동기란, 외부에서 일어난 작은 불씨를, 깨닫고 열린 마음으로 관찰했을때 일어나는 맹렬히 타오르는 내면의 열정의 빛으로 보아야 한다.


With that said, if I had a hero in esports then Alex Ich would be it. One of my favourite films is 'Gladiator', as I consider it the best cinematic description of what a real man should and can be. In that sense, Alex Ich is one of the rare few men I've met in esports I can say the same about, a model of what a professional, a champion and a man can be.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에 나에게 e-sports의 영웅이 있다면 그것은 'Alex Ich'일 것이다. 내가 제일 좋아하는 영화중 하나가 '글레디에이터' 인데, 내 생각에 이 영화는 진정한 남성이 어떤것이고, 그극치는 무엇인지를 가장 영화적으로 잘 표현했다. 그런 의미에서, 알렉스 이치는 내가 만난 e-sports 업계 사람들 중 극소수의 한명으로, 진정한 프로 선수가 어떤 것인지, 챔피언이 어떤 것인지, 남자가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모범상이다.

With the right team and the right circumstances, Alex Ich can become a champion again and once more represent Europe as one of her finest Mid laners, of that I have little doubt. Nevertheless, whether Alex Ich plays another game of professional League of Legends or not, he has my respect and admiration.

걸맞는 팀과 제대로 된 환경이 갖춰진다면, 알렉스 이치는 다시 챔피언이 되어서 한번 더 유럽최상의 미드 라이너로서 유럽을 대표할 수 있고, 나는 이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어쨌든간에, 알렉스 이치가 LoL의 프로로서 다시 경기를 하든 안하든, 나는 그를 흠모하고 존경한다.


Photo credit: ESL



Lv79 영원의달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LoL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