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는 아프리카TV의 재무제표인데, 소스를 아무리 봐도 그림을 넣은적이 없고, 소스에도 그림이 없는데
글을 올리고나니 자동으로 맨 위로 올라가있네요. 버그같은데 소스를 뒤져봐도 그림이 나오는 소스가 없습니다.
수정할수 없어 그냥 두었습니다. 혹시 이 위로 그림이 보인다면 무시하시고 바로 아랫글부터 읽으시면 됩니다.
---------------------------------------------------------------------------------------------
많은 사람들이 프로팀에 대해서 궁금해하고 관심을 가지면서도 정작 스폰서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것같습니다.
특히나, 진에어, 나진등등 국내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LOL 스폰을 통해서 처음 듣게된 경우도 적지 않은데요, 스폰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현재 LOL 프로리그에는 다음과 같은 10개의 팀이 있습니다.
Afreeca Freecs(전 Rebels Anarchy)
CJ Entus
e-mFire(전 나진 e-mFire)
Jinair GreenWings
KT Rolster
Longzhu Gaming(전 Longzhu IM)
Rox Tigers(전 Koo Tigers)
Samsung Galaxy(전 Samsung Khan)
Sbenu Sonicboom(전 Prime ITENJOY)
SKT T1
그러나 스폰을 하는것도 기업이 여유가 있고 상황이 좋을때하는것이죠.
대표적인 예로, Koo같은경우 무리한 스폰과 사업 실패로 인해서 스폰을 그만두게 되었습니다.
나진같은경우도, 나진 사장님이 상당히 후하게 스폰을 해주시는데(관계자를 통해서 들었습니다.)
이번에 스폰을 그만두게 되면서 나진 e-mFire는 e-mFire가 되었죠.
그리고 이번에 논란에 쌓였던 스베누 역시 기업 재무가 나쁜편입니다.
(애초에 작은돈으로 시작한것도 문제고, 이후 품질관리나 재무관리등에서 중,소규모 기업의 한계를 보여주는 사례.)
그럼 10개의 팀을 스폰하는 스폰서중에서 증시에 상장된 회사는 몇개나 될까요?
증시에 상장된 회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프리카 프릭스 -> 아프리카티비(나우콤에서 상호변경하였으며, 현재 국내 개인방송 스트리밍업체)
씨제이 엔투스 -> CJ E&M(CJ 계열사로, 다양한 멀티 미디어를 총괄하고 있다.)
KT -> KT스포츠(엄밀히 말하면 KT에 소속된 계열사중 하나로, 상장되어있지는 않다.)
Samsung -> 삼성전자(삼성 계열사중 하나로, 전자제품 관련된 사업을 주력으로 하고있다.)
SK -> SKTelecom(SK계열사중 통신사로써, 흔히 알고있는 SK는 이 SK다.)
이중 아프리카 TV와 CJ E&M은 코스닥에, SK텔레콤, 삼성전자, KT는 코스피에 상장되어있습니다.
코스닥에 상장하기 위한 조건은 일반기업 기준으로
1. 설립후 3년이상
2. 자본 30억 이상 혹은 기준시가총액 90억 이상
3. 자본잠식이 없을것(부채로 인하여 자본금이 마이너스인 상태면 안됨. 현재 스베누가 자본잠식 상태입니다.)
4. 다음 기준중 한가지 이상 충족
1) ROE 10%
(ROE는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 자기자본이익율이라고 합니다.
이것을 산출하는 과정은 당기순이익/평균 자기자본 ×100 이며,
쉽게 풀어서 이야기하면 ROE가 10%라는말은 1억을 투자했을때 1천만원의 이익이 난다는 말입니다.)
2) 당기순이익 20억
3) 매출액 100억원 & 시가총액 300억
4) 매출액 증가율 20% & 매출액 50억
이 네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되어야 코스닥에 상장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코스닥에 상장된 회사들은 기본적으로 상장할때는 건실한 기업이 아니면 할 수 없습니다.
코스피는 이것보다 훨씬 업격합니다. 대부분의 중견 or 대기업은 코스피에 상장되어있으며, 코스피에 상장된 기업들은 상장할 당시 아주 튼실한 중견기업 이상이라고 보셔도 됩니다.(상장 이후 재무가 나빠질수는 있습니다.)
코스피 상장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기자본 300억 이상
2. 최근매출액 1000억 이상
3. 3년 평균매출액 700억 이상
4. 최근 사업연도에 영업이익, 법인세차감전계속 사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각각 실현
5. 다음기준중 한가지 이상 충족
1) ROE 최근 5% & 3년합계 10%이상
2) 이익액 최근 30억원 & 3년합계 60억원이상
3) 자기자본 1천억이상
4) 법인-> 최근 ROE 3%이상 or 이익액 50억 이상이고 영업현금흐름이 마이너스가 아닐것.
따라서 적어도 코스닥과 코스피에 상장된 5개 기업은 건실한 중견기업 이상 혹은 대기업에 해당합니다.
이 5개 기업을 제외한 나머지 5개 기업
Jinair, Longzhu, Najin(지금은 나진이 후원하지 않지만, 어쨋거나), Rox, Sbenu 5개의 팀을 후원하는 업체는 다음과 같습니다.
진에어 그린윙스 -> Jinair(국내 중,단거리 항공사)
롱주 게이밍-> LongzhuTV(중극 스트리밍업체로, 아프리카TV와 비슷한 기업)
나진 이-엠파이어-> 나진산업(국내 전자제품 유통사)
록스 타이거즈-> YYTV(중국 스트리밍업체, 역시 아프리카와 비슷한 기업)
스베누 소닉붐 -> SBENU(흔히 알고 계시는 국내 기업으로, 아이유를 이용한 마케팅으로 유명한 신발제조사입니다.)
위 5개 기업은 모두 중견 혹은 중,소규모 기업으로써, 상장되어있지 않기때문에, 재무상태를 정확하기 알기 어렵습니다.
(롱주와 YYTV모두 중국 증시에 상장되어있지 않습니다.)
최근 밝혀진 스베누는 매출액이 104억임에도 불구하고 부채가 33억이며, 자산총계가 마이너스 1.1억입니다.
따라서 부채가 터질경우 현금으로 막을 수 없는 상태인것입니다.(자본잠식상태)
스베누의 실패 원인은 분석해보면 과도한 마케팅비용과, 품질관리실패, 영업점에 대한 관리 미숙, 작은 자본등이 꼽히고 있습니다.
이번글에서는 상장된 5개 기업과 스폰, 구단현황등을 알아보겠습니다.
(AfreecaTV, CJ E&M, KT, 삼성전자, SK 텔레콤)
AfreecaTV
현재 국내에서 개인방송 스트리밍 서비스를 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최근들어 일본,대만등등으로 여러곳에 법인을 설립하여 사업의 다각화를 꾀하고 있습니다.(해외로 진출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본사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228번길 15, 2동 201호 , 801호, 901호(삼평동, 판교세븐벤처밸리1
홈페이지 : http://corp.afreecatv.com
대표전화 : 031)622-8001
설립일 : 1996/04/22
코스닥 상장일 : 2003/12/19
대표이사 : 서수길
계열 : 쎄인트인터내셔널
종업원수 : 322명(15년 09월 기준)
주 거래은행 : 국민은행(테헤란로기업금융지점)
개요
-동사는 SNS 미디어 플랫폼 AfreecaTV 및 캐주얼 액션 달리기 게임 테일즈런너와 퍼즐, RPG, 디펜스, 카드, 아케이드 등 다양한 장르의 모바일 게임을 중심으로 한 인터넷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급성장하고 있는 모바일 시장을 선도하기 위하여 캐주얼 모바일 게임의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음
-2012년 3월 29일 기업 인지도 향상을 위해 (주)나우콤에서 (주)아프리카 티비로 상호 변경하였음
-본격적인 일본시장 진출을 위해 2013년 1월 지분 100%를 출자해 일본 현지법인인 AFREECATV CO., LTD.를 설립, 가로세로 낱말 맞추기 2013과 3D 액션 RPG 헤븐소드를 출시
-매출구성은 플랫폼 서비스 98.07%, 인터넷게임 1.92%, 기타(CDN 등) 0.01%으로 구성
연구개발비
14년 12월 기준
44억 3500만원(전체 매출액 대비 8.88%)
13년 12월 기준
30억 2400만원(전체 매출액 대비 6.29%)
인원현황
정규직 : 316명(남 232명, 여 84명)
비정규직 : 6명(남 5명 여 1명)
총계 : 322명(남 237명, 여 85명)
직원 평균 근속연수 : 2년 8개월
1인 평균급여 : 2700만원(1~3분기까지의 급여의 평균이며, 작년 1년 전체 평균 연봉은 4000만원)
재무 분석
매출액의 변화
10년
매출액 : 786억 3천만원
순이익 : 71억 1천만원
11년
매출액 : 478억 8천만원
순이익 : 6억
12년
매출액 : 262억 8천만원
순이익 : 18억 8천만원
13년
매출액 : 366억 7천만원
순이익 : 1억 8천만원
14년
매출액 : 504억 6천만원
순이익 : 27억 5천만원
시가총액 16년 1월 13일 장 마감 기준
2629억원으로써 규모로는 코스닥 163위입니다.
다음은 기업 재무제표중, 매출액과 순이익 그리고 판매비와 관리비 지출현황입니다.

-------------------------------------------------------------------------------------------------------
아프리카TV에서 얼마나 많은 돈을 버는지 처음 아신분들도 많을겁니다. 그러나 재무재표를 보면 생각보다 그렇게 많이 벌어들이는것같지는 않죠.
BJ들의 별풍수익이 1년에 억단위로 나오는것을 생각해볼때, 기업의 순이익자체는 그리 크지 않습니다. 이는 근본적으로 현물을 판매하는것이 아니고, 별풍 수수료+광고료+게임수익이 전부인 단순한 사업구조때문으로 분석됩니다.
그러나 아프리카 TV는 명색이 코스닥 상장사이고, LOL을 후원하는 5대 상장사중에는 가장 작은 규모이지만,
앞으로도 사업이 더욱 확장될 가능성이 있는 괜찮은 회사입니다.
--------------------------------------------------------------------------------------------------------
다음은 CJ입니다.
CJ
CJ그룹은 예하에 71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는 거대 기업이며, 주요 계열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생명공학 분야에 CJ제일제당바이오, CJ헬스케어, 식품 및 서비스 분야에 CJ제일제당, CJ푸드빌, CJ프레시웨이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분야에 CJE&M, CJCGV, CJ헬로비전, CJ파워캐스트, CJ에듀케이션즈
신유통 분야에 CJ오쇼핑, CJ대한통운, CJ올리브네트웍스
인프라 분야에 CJ건설 등이 있습니다.
Entus의 스폰을 담당하고 있는 CJ는 사실 CJ그룹이 아닌, CJ E&M입니다.
CJ E&M은 2011년 3월 CJ인터넷, CJ미디어, CJ엔터테인먼트, 엠넷미디어, 온미디어를 흡수합병해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CJ가 아닌 CJ E&M에 대해서 알아볼것입니다.(CJ엔투스는 CJ E&M 이외에도 로지텍의 스폰을 받고 있습니다.)
CJ E&M에서 운영중인 대표 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방송 - TvN, Mnet, OCN, CH CGV, Super Action, Catch ON, My Catch ON, OnStyle, Olive, XTM, Tooniverse, OnGameNet, 중화TV, UXN, Channel M등이 있으며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드라마 치즈인더트랩, 삼시세끼 등등이 모두 CJ E&M에서 제작된것입니다.
영화 - 히말라야, 도리화가, 쿵푸팬더3, 나를잊지말아요, 베테랑, 국제시장, 명량, 트랜스포머-사라진시대등을 배급하며, 국내 영화시장에서 독보적인 1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음악 - 응답하라씨리즈, 미생, 피노키오, 괜찮아 사랑이야 등의 OST에 참여하고 있으며, 다비치, SG워너비, 로이킴, 정준영 등이 CJ E&M에 전속된 아티스트입니다.
CJ E&M
본사주소 : 서울시 마포구 상암산로 66 씨제이이앤엠센터
홈페이지 : http://www.cjenm.com
대표전화 : 02)371-5501
설립일 : 2010/09/02
코스닥 상장일 : 2010/10/15
대표이사 : 김성수
계열 : 씨제이
종업원수 : 1708명(15년 9월 기준)
주 거래은행 : 우리은행(동역삼동업무팀)
개요
-2010년 씨제이오쇼핑으로부터 분할 설립되었으며, 2011년 3월 (주)온미디어, 씨제이미디어(주), 씨제이인터넷(주), 엠넷미디어(주), 씨제이엔터테인먼트(주)등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계열 5개사를 흡수 합병하였음
-합병 후 주요 사업으로 방송사업, 게임사업, 영화사업, 음악/공연/온라인사업을 영위하는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
-게임사업부문의 물적 분할로 씨제이넷마블 설립 후 씨제이게임즈(주)에 양도 완료, 씨제이넷마블이 종속회사에서 제외되었음
-영화사업부문에서는 영화의 제작, 투자 및 배급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영화 배급사별 관객 점유율에서 지난 수년간 지속적으로 시장점유율 1위 자리를 유지해오고 있음
-매출구성은 방송 67.76%, 영화제작 16.45%, 공연 1.42%, 음악공연온라인 14.36%로 구성
연구개발비
14년 12월 기준
15억 1800만원(전체 매출액 대비 0.12%)
13년 12월 기준
106억 8500만원(전체 매출액 대비 0.62%)
인원현황
정규직 : 1689명(남 844명, 여 845명)
비정규직 : 19명(남 10명 여 9명)
총계 : 1708명(남 854명, 여 854명)
직원 평균 근속연수 : 3년 3개월
1인 평균급여 : 4800만원(1~3분기까지의 급여의 평균이며, 작년 1년 전체 평균 연봉은 6100만원)
재무 분석
매출액의 변화
10년
매출액 : 21억 1천만원
순이익 : -11억 4천만원(적자)
11년
매출액 : 1조 1431억 5천만원
순이익 : 586억 9천만원
12년
매출액 : 1조 3945억 8천만원
순이익 : 232억 6천만원
13년
매출액 : 1조 1881억 2천만원
순이익 : 9억 4천만원
14년
매출액 : 1조 2326억 7천만원
순이익 : 2334억 2천만원
시가총액 16년 1월 13일 장 마감 기준
3조 3503억원으로써 규모로는 코스닥 3위입니다.
다음은 기업 재무제표중, 매출액과 순이익 그리고 판매비와 관리비 지출현황입니다.

-------------------------------------------------------------------------------------------------------
매출액부터 아프리카TV와는 수십배 차이가 나죠. 사실 여러분이 TV에서 많이 보는 드라마, 예능등이 CJ E&M에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종합 엔터테인먼트로 발족되고 난 이후 영화, 미디어, 방송등에서 엄청난 파급력을 지니고 있으며, 종합포털사이트 넷마블도 CJ E&M에 속해있습니다.
명실상부 국내 종합 엔터테인먼트 회사중에서는 No.1으로 꼽힐만한 거대한 기업으로, 재무가 튼실한것은 말할것도 없겠죠.
CJ 엔투스에는 아는 관계자가 있지만, 평소에 별다른 숙소나 주변 환경 대우 등에 대해서 언급이 없어서 적어드릴 수가 없네요.
--------------------------------------------------------------------------------------------------------
다음은 KT입니다.
KT
KT 롤스터는 사실 KT가 아닌 KT에서 운영하는 KT 스포츠에서 운영하고 있는 구단입니다.
KT 롤스터는 현재 KT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스폰서를 가지고 있습니다.
BC Card, KT Skylife, KT is, KT cs, Razer, 동아 오츠카, 비타볼트, 39960km
KT스포츠는 13년 4월 1일 프로야구와 프로농구, E-Sports 그리고 아마추어 사격,하키등 전 종목을 통합한 독립법인으로 출범하였습니다.
현재는 이하 5개의 대표 구단을 운영중입니다.
야구 - KT WIZ
농구 - KT SonicBoom
이스포츠 - KT Rolster(스타크래프트2, LOL)
사격 - KT Shooting
하키 - KT Hockey
KT스포츠는 독립 법인으로, 현재 KT스포츠의 CEO는 김영수 사장입니다. 기업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비전
하나.
우리는 끊임없는 도전과 혁신으로 새로운 전통과 역사를 만들어 나가고,
끈기 있고 열정적인 스포츠를 통해 팬들에게 감동과 희망을 주기 위해 노력한다.
하나.
선수단이 최고의 성적을 내도록 프런트, 코칭스탭, 선수간 상호 화합하는 조직을 만들고
창의적, 효과적인 선발/육성/지원 시스템을 구축하며, 각자의 분야에서 최고 전문가를 지향한다.
하나.
kt그룹의 일원으로 ICT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가치창출을 통해 팬들에게 즐거움과 감동을 주어,
젊고 역동적인 kt 이미지 제고와 스포츠 발전에 이바지 한다.
연혁
2014
진종오, 그라나다 세계사격선수권대회 50m(세계 신기록)/10m 권총 금메달
진종오, 인천 아시안게임 10m 권총 단체 금메달
김민지, 인천 아시안게임 클레이 스키트 금메달
진종오, 인천 아시안게임 50m/10m 공기권총 금메달
여자 하키, KBS배 전국 춘계남녀하키대회 여자부 우승
여자 하키, 인천 아시안게임 금메달
남자 농구, 인천 아시안게임 남자농구 금메달 (조성민 출전)
kt Rolster, 스타크래프트 2014 프로리그 통합 우승
kt Arrows, LOL 챔피언스 섬머 2014 우승
2013
kt sports 독립법인 출범
kt wiz 프로야구단 창단 확정
2012
진종오, 런던올림픽 금메달 2관왕
2011
kt sonicboom 정규리그 우승
kt rolster 이영호 선수 사상 최초 골든 그랜드슬램 달성
kt rolster LOL팀 창단
2010
kt sonicboom 정규리그 2위
kt rolster 09-10시즌 위너스리그, 정규시즌, 광안리 Final 통합우승 달성
2009
진종오, 10m 공기권총 세계신기록 수립
2008
진종오, 베이징 올림픽 50m 권총 금메달
2004
KTF Magicwings 농구단 창단
2002
FIFA 한일 월드컵 공식 파트너 지정
2001
대한축구협회 공식 후원사 선정
1999
ⓝ016 온라인 프로게임단 창단
kt 골프단 창단
1996
여자 하키 애틀란타 올림픽 은메달
1992
이은철, 바르셀로나 올림픽 50m 소총복사 금메달
1988
여자 하키 서울 올림픽 은메달
1985
kt 사격단 창단
1984
kt 하키단 창단
KT 스포츠는 스포츠 전문 기업이나, 현재 KT의 계열사로 상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정확한 기업의 재무나 부채에 대해서는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KT의 재무재표를 알아볼것입니다.
KT는 현재 다음과 같은 계열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kt telecop, kt engcore, kt cs, kt powertel, kt submarine, kt ds, kt sat, kt is, kt m&s, kt linkus, WIC,
INITECH, kt skylife, kt music, nasmedia, kt innoedu, kth, skyLifeTV, kt mhows
KT
본사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불정로 90 (정자동)
홈페이지 : http://www.kt.com
대표전화 : 031)727-0114
설립일 : 1981/12/10
코스닥 상장일 : 1998/12/23
대표이사 : 황창규
계열 : 케이티
종업원수 : 23575명(15년 9월 기준)
주 거래은행 : 국민은행 (종로중앙지점KT출장소)
개요
-동사는 1981년 12월 10일에 전기통신사업법에 근거하여 정보통신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전기통신업 전문업체로 설립되었으며 유무선전화, 초고속인터넷 등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동사는 주요 사업으로 전기통신업, 신용카드업, 위성방송서비스, 차량렌탈 사업, 오토리스 및 중고차 할부금융업, 인력공급업, 보안사업, 금융업, 기계장비 및 관련 물품 도매업, 경비 및 경호업 등을 영위
-2015년 9말 기준 동사의 전기통신업 시장점유율은 가입자수 기준으로 시내전화 80.5%, 이동전화 30.3%, 초고속인터넷 41.6%, TRS 98.6%를 확보하고 있음
-동사는 융합기술원 산하 Infra연구소, Service연구소, Convergence연구소 및 연구지원담당, 미래기술연구담당으로 구성되어 전사CTO 기능을 수행하며,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추진 중
-매출구성은 서비스의 제공 86.61%, 재화의 판매 13.39% 등으로 구분
연구개발비
14년 12월 기준
4504억 7600만원(전체 매출액 대비 1.92%)
13년 12월 기준
3088억 8100만원(전체 매출액 대비 1.3%)
인원현황
정규직 : 22901명(남 19149명, 여 3752명)
비정규직 : 583명(남 371명 여 212명)
기타합계 : 91명(남 71명 여 20명)
총계 : 23575명(남 19591명, 여 3984명)
직원 평균 근속연수 : 18년 7개월
1인 평균급여 : 5500만원(1~3분기까지의 급여의 평균이며, 작년 1년 전체 평균 연봉은 7000만원)
재무 분석
매출액의 변화
10년
매출액 : 20조 2335억 2천만원
순이익 : 1조 1717억 7천만원
11년
매출액 : 21조 2720억 3천만원
순이익 : 1조 2874억 3천만원
12년
매출액 : 23조 8563억 8천만원
순이익 : 1조 1054억 4천만원
13년
매출액 : 23조 8106억원
순이익 : -602억 5천만원(적자)
14년
매출액 : 23조 4216억 7천만원
순이익 : -9661억 8천만원(적자)
시가총액 16년 1월 13일 장 마감 기준
7조 2197억원으로써 규모로는 코스피 37위입니다
다음은 기업 재무제표중, 매출액과 순이익 그리고 판매비와 관리비 지출현황입니다.

-------------------------------------------------------------------------------------------------------
기업이 튼튼한거야 전신이 국영기업이었던 한국통신이기 때문입니다. 국가 세금으로 지었던 많은 통신망들이 통째로 KT로 넘어가면서 KT는 SKT,LGT,KT 3사 중에서 가장 양질의 유선통신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기가비트랜을 보급하면서 또 한번 서비스의 도약을 했지요.
그러나, 기업 재무를 보시면, 13년,14년 연속 적자를 내면서 약 1조원의 손해를 봤습니다.
하지만 15년 다시한번 매출액 21조 8759억, 순이익 8268억을 기록하면서 흑자전환에 성공했습니다.
1조원을 손해를 보고도 1년만에 8268억을 벌어들이고 있죠. 물론 이는 단통법과도 관계가 있는 부분입니다.
어쩃거나 KT도 튼튼한 기업임에는 분명하죠.
직원 근속년수도 18.7년으로 오래 근무한 직원이 많다는뜻 = 정년이 어느정도 보장이 된다는 좋은 지표입니다.
(반대로 말하면 직원들의 평균 나이가 꽤 많다는뜻도 됩니다.)
KT쪽에는 직접적인 지인이 없어, 숙소 내부 상황이나 대우등에 대해서는 알 수 없었습니다.
--------------------------------------------------------------------------------------------------------
다음은 삼성입니다.
Samsung
삼성그룹은 예하에 147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는 거대 기업이며, 주요 계열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상장된 계열사는 15개로
삼성생명, 삼성카드, 삼성물산, 삼성증권, 삼성전자, 삼성엔지니어링, 삼성화재, 에스원, 삼성중공업, 삼성전기, 삼성 SDI, 호텔신라, 제일기획, 삼성 SDS, 크레듀입니다.
이외 비 상장 회사로 132개가 있으며, 너무 많으므로 생략합니다.
삼성그룹은 현재 12개의 구단을 운영중이며 이하와 같습니다.
야구 - 삼성 라이온즈
축구 - 수원 삼성 블루윙즈
남자농구 - 서울 삼성 썬더스
여자농구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배구 - 대전 삼성 블루팡스
E-Spoets - 삼성 갤럭시
육상 - 삼성전자 육상단
승마 - 삼성전자 승마단
배트민턴 - 삼성전기 배드민턴단
탁구 - 삼성생명 탁구단
레슬링 - 삼성생명 레슬링단
태권도 - 에스윈 태권도단
이중 삼성 갤럭시를 스폰하고 있는 기업은 삼성전자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삼성전자에 대해서 알아볼것입니다.
삼성 갤럭시는 2000년 6월 9일 삼성전자 칸이라는 이름으로 창설되었습니다.
현재는 스타크래프트2와 리그오브레전드 두개 종목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많은 사업을 하고있는데,대표 업종은 반도체제조업, 이동전화기, 가전제품입니다. 한국과 런던, 룩셈부르크에 상장되어있으며, 매출액은 세계 12위로 1959억달러(210조원)에 달합니다.
삼성전자
본사주소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삼성로 129(매탄동)
홈페이지 : http://www.samsung.com/sec
대표전화 : 031)200-1114
설립일 : 1969/01/13
코스피 상장일 : 1975/06/11
대표이사 : 권오현, 윤부근, 신종균
계열 : 삼성
종업원수 : 98557명(15년 9월 기준)
주 거래은행 : 우리은행 (삼성센터)
개요
-본사를 거점으로 한국 및 CE, IM 부문 산하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 부문 산하 해외 5개 지역총괄의 생산, 판매법인 등 159개의 동종업종을 영위하는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글로벌 전자기업임
-주요 사업군은 CE부문(TV,냉장고,세탁기 등)과 IM부문(스마트폰 등 HHP,네트워크시스템), 반도체사업(DRAM, NAND Flash, 모바일AP 등) 및 DP사업부문(TFT-LCD ,OLED 등)으로 구성 됨
-2006년이후 2014년까지 9년 연속으로 TV 전체, FPTV, LCD-TV 세계 1위 등 Triple Crown을 지속적으로 달성함 (출처 : 2014.12월 Display Search)
-프리미엄 스마트폰부터 보급형 휴대폰까지 풀라인업을 유지하면서 LTE, Note등 신규시장을 선도하면서 갤럭시S시리즈, 갤럭시Note 등의 Flagship스마트폰의 성공을 바탕으로 글로벌 스마트폰 1위 위상을 유지
-매출구성은 IM 53.30%, 반도체 23.32%, CE 22.42%, DP 14.22%, 기타 -13.26%으로 구성
연구개발비
14년 12월 기준
15조 3255억 700만원(전체 매출액 대비 7.43%)
13년 12월 기준
14조 7804억 3200만원(전체 매출액 대비 6.50%)
인원현황
정규직 : 96062명(남 71038명, 여 25024명)
비정규직 : 2495명(남 1316명 여 1179명)
총계 : 98557명(남 72354명, 여 26203명)
직원 평균 근속연수 : 10년 1개월
1인 평균급여 : 5900만원(1~3분기까지의 급여의 평균이며, 작년 1년 전체 평균 연봉은 1억 200만원)
재무 분석
매출액의 변화
10년
매출액 : 154조 6303억원
순이익 : 16조 465억원
11년
매출액 : 165조 18억원
순이익 : 13조 7590억원
12년
매출액 : 201조 1036억원
순이익 : 23조 8453억원
13년
매출액 : 228조 6927억원
순이익 : 30조 4748억원
14년
매출액 : 206조 2060억원
순이익 : 23조 3944억원
시가총액 16년 1월 13일 장 마감 기준
166조 8901억원으로써 규모로는 코스피 1위입니다.
다음은 기업 재무제표중, 매출액과 순이익 그리고 판매비와 관리비 지출현황입니다.

-------------------------------------------------------------------------------------------------------
코스피 1위 =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기업이죠.
하지만 KT의 근속년수 18년에 비해 근속년수는 10년남짓입니다. 그만큼 정년이 짧다는뜻이며, 젊은 인재만 쓰고 나이가 들면 빨리 퇴직을 해야한다는뜻이겠지요. 반면 연봉은 상당히 많습니다.
삼성전자는 전자기기의 발전이 빠르고 트렌드가 급변하는 특성상 연구비에 상당히 많은돈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한때 PC방 사업에 진출하려고 헀던적이 있으며, 이 와중에 계획된것이 삼성칸이었습니다.(PC방 홍보를 위해서 스폰을 시작했다는설도 있습니다만 정확히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삼성 갤럭시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삼성 숙소는 가장 좋지만(10개 팀중에 손꼽힌다고 함.)
선수들에 대한 월급이나 기타 +@에 대해서는 그렇게 후하지 않다고 합니다.(오히려 좀 짠편이라고 하네요.)
그리고 숙소 아주머니 밥이 맛이 별로 없다는 제보도 익명의 제보자가 제보해주었습니다.
--------------------------------------------------------------------------------------------------------
다음은 마지막으로 알아볼 SK텔레콤입니다.
SKT
SK그룹은 예하에 88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는 거대 기업이며, 주요 계열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에너지 및 화학 분야에 SK이노베이션, SK에너지, SK종합화학, SK루브리컨츠, SK인천석유화학,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SK케미칼, SKC, SK E&S, SK가스 등
정보통신 및 반도체 분야에 SK텔레콤, SK C&C, SK하이닉스, SK플래닛, SK브로드밴드, SK텔레시스, SK텔링크, SK커뮤니케이션즈 등
마케팅 및 서비스 분야에 SK네트웍스, SK건설, SK해운, SK증권 등이 있습니다.
SKT는 SK계열사중 하나로써, 다들 잘 알고있는 통신사 SK입니다.
SK는 현재 SKT스포츠를 설립하여 5개의 구단을 운영중이며 이하와 같습니다.
야구 - SK 와이번스
축구 - 제주 유나이티드FC
농구 - SK 나이츠
여자핸드볼 - SK 슈가글러이더즈
E-Sports - SK텔레콤 T1
이외에도, 대한민국 펜싱 국가대표팀과 핸드볼 국가대표팀을 후원하고 있습니다.
현 SKT T1은 임요환이 있던 동양 오리온이 협상 결렬로 4U(4Union)이라는 비 기업팀으로 활동하던것을 2004년 4월 13일 SK텔레콤이 인수하면서 재 창단된것이 현재의 T1입니다.
과거에는 스페셜포스2 팀을 운영하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스타크래프트2와 리그오브레전드 두개 종목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SK Telecom
본사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65 (을지로2가)
홈페이지 : http://www.sktelecom.com
대표전화 : 02)6100-2114
설립일 : 1984/04/20
코스피 상장일 : 1989/11/07
대표이사 : 장동현
계열 : 에스케이(SK)
종업원수 : 4042명(15년 9월 기준)
주 거래은행 : 하나은행 (SK센터지점)
개요
-동사의 사업 부문은 이동전화, 무선데이터, 정보통신사업 등의 무선통신사업과 전화, 초고속인터넷, 데이터 및 통신망 임대서비스 등을 포함한 유선통신사업, 플랫폼 서비스 인터넷포털 서비스 등의 기타사업으로 구별됨
-치열한 시장경쟁과 요금인하 등의 악화된 경영 환경 속에서도 견조한 가입자 성장과 상품/서비스 혁신을 지속하고 있음
-통신산업의 새로운 성장에 기반이 될 스마트폰 가입자는 LTE 가입자 1,840만 명을 포함하여 전분기 대비 34만명 증가한 2,032만 명을 기록하며 시장 1위 사업자의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였음
-TV사업의 경우 최근 세계 최초로 모바일 IPTV에서 UHD 콘텐츠 전송을 시작함으로써 유무선 통합 UHD 방송 제공을 위한 기술 경쟁력 우위를 입증하였음
-매출구성은 무선통신사업 77.67%, 유선통신사업 14.56%, 기타 7.77% 등으로 구분
연구개발비
14년 12월 기준
3977억 5200만원(전체 매출액 대비 2.32%)
13년 12월 기준
3636억 5200만원(전체 매출액 대비 2.19%)
인원현황
정규직 : 3910명(남 3423명, 여 487명)
비정규직 : 132명(남 75명 여 57명)
총계 : 4042명(남 3498명, 여 544명)
직원 평균 근속연수 : 12년 3개월
1인 평균급여 : 7800만원(1~3분기까지의 급여의 평균이며, 작년 1년 전체 평균 연봉은 1억 200만원)
재무 분석
매출액의 변화
10년
매출액 : 12조 4599억 9천만원
순이익 : 1조 4109억 7천만원
11년
매출액 : 15조 9264억 7천만원
순이익 : 1조 5820억 7천만원
12년
매출액 : 16조 1414억 1천만원
순이익 : 1조 1156억 6천만원
13년
매출액 : 16조 6020억 5천만원
순이익 : 1조 6095억 5천만원
14년
매출액 : 17조 1638억원
순이익 : 1조 7993억 2천만원
시가총액 16년 1월 13일 장 마감 기준
16조 6740억원으로써 규모로는 코스피 16위입니다.
다음은 기업 재무제표중, 매출액과 순이익 그리고 판매비와 관리비 지출현황입니다.

-------------------------------------------------------------------------------------------------------
SKT는 온게임넷의 공식 후원 스폰서이기도 합니다. LOL에서도 SKT T1은 우승경력이 화려하고 예전 스타리그때도 T1이 우승을 많이 했습니다. 국내 E-Sports 공식 팀중에서 가장 우승경력이 많은 팀을 가지고 있죠.
내부 관계자에 따르면 SKT 선수들중에서 가장 연습시간이 긴 사람은 페이커라고 하네요. 몇년간 최상의 기량을 유지해온 비결은 연습시간이 아닌가 합니다.
삼성 화이트가 우승했던 그 시절,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삼성은 다른팀보다 매일 2시간 연습을 더 했다고 합니다.
13년 우승당시 페이커의 1년 연봉은 우승상금을 포함하여 약 8800만원이라는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습니다.
(내부관계자에 의한 내용이지만, 정확하지 않습니다.)
이후 페이커의 대우도 많이 좋아지고 내부적으로 스폰도 더욱 활발해지면서 선수들에 대한 대우는 국내 최고라고 알려져있습니다.
현 코치인 김정균코치에 대해서는 사석에서 처음 만났을때는 남다른 포스를 풍기지만, (관계자에 의하면 가오잡는ㄷ...)
개인적인 친분이 있는 자리에서는 심각하게 망가지면서 똘끼가 충만하고 아주 유쾌한사람이라고 관계자를 통해서 제보 받았습니다.(궁금하신분은 온게임넷 코치 5인방 -김정균,천정희,모쿠자,비닐캣,손대영 5인이 출연한 특별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주 똘끼가 충만한것이 방송에서도 드러납니다.)
국내에서 팬층이 가장 두터움과 동시에 안티도 꽤나 많지만 뛰어난 성적을 거두면서 무패의 SKT를 일구어낸 장본인이 또 김정균코치죠.
맨날 입에 죽겠다, 코치 못해먹겠다를 입에 달고사는 인물입니다.(출처 - 강민)
그러나 요즘들어서 푸만두가 코치로 오면서 정말 살만하다고 코치할맛난다고 신이 났다고 합니다.(출처 - 클템)
--------------------------------------------------------------------------------------------------------
이상으로 국내 5대 팀의 스폰에 대해서 알아봤고, 나머지 5개 기업에 대해서는 상장되어있지도 않고
기업이 워낙 작다보니, 정확한 정보를 기재하기 어렵습니다만, 알아내는대로 다음편에는
진에어, YYTV, 나진, 롱주, 스베누에 대해서 심층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P.S 경영이나 경제학과 전공 아닙니다. 컴퓨터공학 전공입니다 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