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인벤은 해외 기업으로부터 600만달러 (68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받아, "인벤 글로벌" 서비스를 런칭하였습니다. 영어 등 다양한 언어로 인벤의 컨텐츠를 포스팅하겠다는 것입니다.
현재는 인벤 글로벌의 독자적인 사이트는 없으며, 레딧에서 InvenGlobalOfficial 이라는 계정 이름으로 인벤의 한국 사이트에 올라온 기사 일부를 LOL레딧과 MMORPG레딧을 비롯한 다양한 레딧 사이트에 번역하여 올리고 있습니다.
InvenGlobalOfficial 계정이 올린 글&댓글 모음:
InvenGlobal 영어 소개글:
LOL 레딧에서는 InvenGlobalOfficial이 올린 번역글들이 좋은 반응, 높은 인지도, 그리고 많은 추천수를 얻고 있습니다. 피글렛 인터뷰, 노페 감독 인터뷰, 아프로무-스틱세이 인터뷰 등 다양한 인터뷰와 기사들이 LOL 레딧에 번역되어 소개되었습니다.
인벤 e스포츠팀은 이번 롤드컵을 맞아 롤드컵 파워랭킹을 발표했습니다. 그리고 이 기사를 압축하여 레딧에 올렸고, 좋은 반응이 나왔길래 번역하려고 합니다.
참고로 인벤 파워랭킹 순위는:
1티어:
1위: 락스, 2위: EDG, 3위: TSM, 4위: SKT T1, 5위: 삼성
2티어:
6위: FW, 7위: G2, 8위: C9, 9위: RNG, 10위: I MAY
3티어:
11위: H2K, 12위: CLG, 13위: Splyce, 14위: AHQ, 15위: INTZ & Albus Nox Luna
입니다.
레딧 번역글 주소:
--------------------------------------------------------------------
Molgan:
"C9 - 강점: 임팩트,
단점: 임팩트에 너무 의존함" ㅋㅋㅋ
ㄴ MoeMo3:
"강점: TOP DIE
단점: ONLY TOP DIE (Top Die 만 할 줄 암)"
ㄴ 인벤 글로벌: 하아, 이렇게 번역했어야 했는데 --;
ㄴ xFl0w21: 지금이라도 글 수정할 수 있으니 ㄱㄱ
Nirvana36:
(B조 순위에 1등 C9, 2등 SKT, 3등 I MAY, 4등 FW를 예측한 라이엇게임즈 '공식' 분석가가 Rusty 입니다. 현재 레딧에서도 겜알못이라며 욕을 처먹고 있습니다. - 옮긴이)
Rusty 왈: "C9은 강력한 정글러를 보유하고 있고, SKT는 그런 정글러가 없습니다. C9의 라이너들은 강하고, FW는 그런 라이너가 없습니다. C9의 의사소통은 자연스럽고, I MAY는 그렇지 못할 때가 있습니다. 북미 시청자분들은 안심하고 C9의 롤드컵을 시청하십시오."
ㄴ Thanaatus: "SKT의 정글은 약하다" 이거 너무 과장된 거 같아... 사람들은 마치 SKT 전체가 쓰레기인 것처럼 여기고 있는데, 그게 아니잖아. SKT는 세체정 스코어를 보유하고 있는 KT에게 다전제에서 패한 거잖아. SKT의 정글이 부진한 모습을 보인다고 해도, 그 기회를 잘 활용할 사람이 C9 Meteos가 될 거 같진 않아.
ㄴ Seoulstice: 그러니까 말야. 사람들은 블랭크가 롤드컵 최악의 정글러인것처럼 말하는데, 블랭크는 지더라도 상급의 정글러들에게만 졌어. B조의 다른 정글러들이 블랭크의 약점을 과연 제대로 물고늘어질 수 있을지 의문이 들어.
인벤 글로벌: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 기사는 예전 기사들과는 달리 좀 휑해 보이죠. 하지만 이건 의도적인 거에요. 일부러 긴 설명문들은 다 빼고, 의도적으로 최대한 간결하게 번역해봤어요. 이런 형식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의견 부탁드려요! 글자를 크게 한게 효과가 있을려나...
ㄴ looqq: 상당히 좋음
ㄴ Acekob: 여태까지 본 파워랭킹 글들의 형식 중에서 제일 좋은 거 같아요. 글이 길어질수록 더 재밌기야 하겠죠. 하지만, 글이 길어지면 요점이 흐릿해지고, 과장이 들어가고 과도하게 방어적인 표현도 들어가기 마련이죠. 아주 좋습니다!
PorkyPokra: 인벤에서 TSM을 3위에 놓았다고? 제발 이러지 말아줘......
설레발 좀 그만치고 TSM은 그냥 약팀이라고 생각하자고!
ㄴ CptAloha(TSM 팬): 지난번에 우리 파워랭킹이 높았을 땐, 완전히 처절하게 박살나버렸지. ㅠㅠㅠㅠㅠ
Sofaboy90: "H2K: 류를 제외하면 플레이메이커가 없다." - 얀코스랑 포기븐은 잊혀짐
(중략)
EU LCS 시청자로서 H2K에 대한 요약을 내보자면, 이렇게 하겠어.
장점: 개인 기량이 매우 뛰어남, 막강한 라인전 실력과 정글러 얀코스 때문에 게임 초반에 위력적이다.
단점: 게임 중후반의 오더능력과 게임 마무리 능력이 떨어진다, 팀 시너지가 부족하다.
CmenDmen123: "TSM - 강점: 비역슨" 이 파트 되게 맘에 듬.
ChilingSmite: FW가 이렇게나 높은 평가를 받은 파워랭킹은 처음 봄. 분석가든 커뮤니티든 상관없이 다들 FW를 정말 심하게 저평가하던데 말이야.
ㄴ Altson2411: 한국 유명인들의 승부의 신 예측을 보면, 대다수의 한국인들이 FW를 SKT 다음으로 2등을 할 거라고 예상했어. 심지어 클템은 FW를 1위, SKT를 2위에 놓았고. (클템이 진지한건지 장난을 치는건지는 모르겠음.)
한국인들은 메이플, 카사, 심지어 소드아트까지 매우 고평가해. Flash Wolves 라는 팀 이름을 달고서는 한국팀에게 한 번도 지지 않은 게 사실이기도 하고.
iluvcheat:
"CLG의 장점: 스틱세이 & 아프로무 봇듀오
CLG의 단점: 엑스미디의 캐리력이 다르샨 & 후히의 멱살을 잡고 캐리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선수 2명이 나머지 선수 3명을 물귀신처럼 끌어내리는 상황, 참 안쓰럽지.
ChipAnndDale: 심지어 한국인들마저 TSM > SKT라고 말할 때, 그 때가 되서야 뭔가 잘못되어도 단단히 잘못되었다는 걸 깨닫게 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