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게임을 플레이하는 여성 전반에 대한 칼럼이 아닙니다.
경쟁적인, 프로페셔널한 e스포츠 산업에 종사하는 여성 선수들에 대한 칼럼입니다.
롤만 꼬집은 칼럼이 아니라, 이스포츠 전반에 대한 칼럼입니다. 하지만 롤의 사례도 몇 번 언급이 되고, 이 이슈에 대해 말을 꺼내는 것이 롤 커뮤니티에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
원본 영상 (41분):
2016년 11월 21일에 BBC에서 <여성들이 이스포츠에서 성차별을 받고 있다!> 라는 논지의 아주 개쓰레기같은 기사가 나와서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 커뮤니티를 발칵 뒤집어놓았습니다.
비겁하게도 기자의 이름조차 적혀있지 않은 이 불쏘시개만도 못한 기사의 논지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번역할 가치도 없는 기사이므로 번역하지 않겠습니다.)
"이스포츠에 여자 선수의 수가 매우 적고, 이 선수들이 제 봉급을 받고 있지 못한 이유는 성차별 때문이다."
이 쓰레기 기사에 대한 대응으로, Thorin (쏘린)이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이스포츠에서의 여성> 이라는 주제로 동영상을 올렸습니다.
또한 관련 트윗도 올리면서 일침을 날렸지요.
이 글은 이 동영상의 요점들을 번역하고 요약한 글입니다. 41분짜리 긴 영상이므로 전문 번역은 하지 않았습니다.
-------------------------------------------------------------------------------------
지금부터 나열할 요점들은 동영상의 시간 순서로 나열된 것이 아닙니다. 동영상의 후반에 나온 말이 이 리스트의 앞쪽에 있을 수 있습니다.
1. 지금 이 BBC 같은 놈들이 하는 말이 뭐와 같냐 하면, "암컷은 알을 품고, 수컷은 알을 품지 않고 사냥하는 새가 있다고 하자. 그럼 어떤 사람들은 암컷과 수컷이 똑같은 시간동안 알을 품도록 강제로 행동을 개조해야 한다, 고 주장하는 것이다." 비유하자면 이 상황인 것이다. 정말 말도 안되는 발상이다.
2. 더더욱 웃긴 것은, BBC 같은 주류언론에서 이런 류의 기사를 쓰는 작자들은 게임 산업이나, 이스포츠 산업에 대해 제대로 아는 것이 별로 없는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페미니즘 논리만 알고, 이것을 이스포츠 산업에 무턱대고 적용시키려 한다. 자신들의 주장을 맞추고, 사실을 그들의 주장에 끼워맞추고 왜곡한다.
3. 예를 들자면, 이들은 "51%의 게이머가 여성이다!"라는 통계를 들먹이면서 이스포츠가 성차별적이라고 하는데, 이는 사실을 크게 왜곡하는 것이다. 51%의 게이머가 여성이다, 할 때 '게임'은 모든 모바일 게임과 캐쥬얼 게임들까지 합친 매우 넓은 범주이다. 여성들이 도타, 카스, LOL, 스타2 처럼 경쟁적인 온라인 컴퓨터 게임을 얼마나 하냐? 라고 질문을 바꿔보면, 그 수는 매우 적어진다. 이것이 팩트다. 근데 이 팩트를 제시하면 그들은 화제를 돌리며 온갖 변명을 하고 눈과 귀를 닫는다.
4. 가장 간단하게 말해보자면, 여성 프로게이머가 정말 드문 이유는 "프로급의 실력을 가진 여성 게이머가 매우 드물기 때문" 이다. 아주 단순하다. 성별과 인종에 상관없이 당신의 실력만 좋다면 언제든지 인정받는 곳이 프로 이스포츠다.
근데 이 BBC 작자들은 뭘 말하려고 하는지 아느냐? "이 여성선수들은 실력이 충분히 좋은데, 사회적 시선때문에 제대로된 대우를 못 받고 있습니다 ㅠㅠㅠㅠ" 라고 말하고 있는 꼴이다.
5. 여성 전용, 여성부 게임 대회는 있지만, 남성 전용 게임 대회는 없다. 지금 펼쳐지는 모든 권위있는 게임 대회들? 그거 남녀 상관없이 실력만 충분하다면 얼마든지 출전해서 상금을 탈 수 있다.
만약에 "흑인 남성 전용 이스포츠 대회"가 개최되었다고 하자. 이것은 인종차별적이라면서 많은 사회적 질타를 받을 것이다. 그런데, 여성 전용 이스포츠 대회에 대해서는 아무 말이 없다. 왜냐고? 마케팅에 도움이 되니까.
6. 남자와 여자는 신체적/유전적인 차이가 분명히 있으며, 이는 이스포츠에 종사하는 프로게이머들의 실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남성과 여성은 평등하지만, 동일하지는 않다. 그냥 서로 다른 방면에서 다른 재능을 보일 뿐이다. 이것은 젠더 논리와 페미니즘을 통해 연구하면 안되는 논제이다. 생물학적, 인류학적인 과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성별이 게임 실력에 얼마나 구체적인 영향을 주는지에 관해서는 모호한 경험담이나 간접적인 증거만 보일 뿐이다.
그 누구도 대조군과 실험군을 설정한 구체적이고 엄격한 실험을 한 적이 없다.
7. 남성은 테스테스테론이 더 많으며, 이는 더 강한 경쟁심과 공격성과 경쟁적인 상황에서 적응할 수 있는 능력으로 직결된다. 또한, 남성은 눈으로 본 정보를 받아들여 손을 정확히 움직이는 능력 (Hand-eye coordination), 공간지각능력, 방향감각, 수학(math) 풀이 능력, 3차원 물체를 식별하는 능력, 큰 근육을 정확히 컨트롤하는 능력, 밝은 빛에서의 시야 등에서 여성보다 더 우월하다고 연구에서 밝혀졌다.
남성이 여성보다 시야가 더 좁긴 하다. 하지만, 위에 명시된 여러 신체적 능력들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일반적으로 더 우월하기 때문에, 남성이 여성보다 게임실력에서 더 앞설 수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다시 말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간접적인 요소다.
8. 다른 정신적 스포츠인 체스의 예를 들어보자. 체스에서도 남성 선수들이 여성 선수들을 대부분은 압도하며, 여성 챔피언과 여성 그랜드마스터의 수는 매우 적다. 여성 체스 선수들 중에서도 역대 최고라 일컬어지는 유디트 폴가 (Judit Polgar)라는 헝가리 선수에 대해서 얘기해보자. 그녀는 만 12세의 나이에 1989년 1월에 FIDE(세계체스협회) 세계랭킹 100위에 들면서, 이 부문 역대 최연소 타이틀을 보유중이다.
그녀는 어릴 때의 경험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다. "전 5~6시간씩 계속 집중하고 연습했는데, 함께 연습하는 다른 여자얘들은 식당에서 요리하는 소리에도 쉽게 산만해지곤 했어요." 또한, 다른 체스 교사는 이렇게 말하였다. "남자얘들은 체스하면서 대회도 잘 나가고 도전을 정면으로 잘 받아들이는데, 여자얘들은 부끄럼을 타면서 경쟁적인 환경에서 물러나더군요." 경쟁을 받아들이는 자세에서 여성과 남성이 다르다는 증거가 여러가지가 있다.
9. 이스포츠 판에서의 여성들의 성차별에 대해서 얘기하려면, 왜 MTF 트랜스젠더(남성에서 여성이 된 트렌스젠더) 선수들에 대한 얘기는 쏙 빼놓냐? MTF 트랜스젠더 선수들의 수는 여성 선수들의 수보다 훨씬 적으며, 사회적으로도 여성보다 훨씬 더 많은 핍박과 편견을 받고 있다. 그러면서도 일반적인 여성 선수들보다 훨씬 더 나은 성적을 보여준 MTF 트랜스젠더 프로게이머들이 배출되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스타2에서 WCS 아메리카를 우승하고, 최정상급 한국인 선수들을 상대로도 승리한적이 있는 샤샤 호스틴이나, LCS에서 뛴 적이 있었던 전 레니게이드 소속의 서포터 Remilia다. 이 트랜스젠더 선수들이 차별과 폭언을 받았으면 훨씬 더 받았지, 덜 받진 않았다. 하지만 그들은 그들의 실력을 증명하고 세계 최고의 무대에서 뛰었다. BBC는 진실을 호도하는 말도 안되는 변명을 하고 있는 것이다.
10. 여성 선수들과 여성 이스포츠 팀 (도타 말고 카운터스트라이크의 Team Secret , CLG Red 등)들은 마케팅 가치가 높기 때문에 많은 연봉을 받고 있다. 그들과 똑같은 실력의 남성 팀들은 스폰서도 못구하는 그저그런 아마추어 팀일 뿐이다. '여성'이라는 특이성 덕분에 마케팅에서의 이점을 확실히 갖고 있는 것이다. 여성 전용 대회들도 마찬가지다.
사실, 당신이 여성 고수라면, 냉혹한 프로세계에서 굳이 뛸 메리트와 동기가 적다. 스트리밍을 하면서 시청자를 끌어모아 돈을 벌면, 대회에 나가서 피말리게 뛰는 것보다는 상대적으로 편하게 돈을 벌 수가 있다.
11. 다시 한번 간단하게 말하자면, 실력만 충분히 좋다면 당신이 여성이든 아니든 상관없이 이스포츠에서 성공할 수 있다. 근데 그런 정상급 실력을 가진 여성 선수가 거의 없다. MLG 올랜도의 WoW 투기장 토너먼트를 우승한 Hafu 정도를 빼면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