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L 매니아 칼럼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분석] 재미로 살펴보는 랭크 티어 통계

접으리우스
댓글: 17 개
조회: 9302
추천: 1
2013-08-21 16:24:24



많이들 봤을 랭크 티어 분포 통계이다. (Iplol.kr 제공)

서두부터 글의 결론을 내려보자면, 우리가 그렇게 무시하는 실론즈는 사실 대한민국 83%라는 거. 이 사실을 대부분의 롤 유저들이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벤을 비롯 다양한 커뮤니티는 물론친구들 사이에서도 실론즈는 게임을 잘 못하는부류로 취급받는 것이 현실이다.

 

물론 83%이기 때문에 못하는 것이 맞다라고 얘기하면 딱히 할 말은 없지만, 유난히 타게임에 비해  게임을 못하는 유저의 분포 범위가 넓은 것은 사실이다.

 

이렇게 된 원인으로는, 아무래도 각 티어에 대한 세부적인 비율이 가지는 의미보다도, 티어는 총”5단계” (챌린저는 우선 제외)라는 것이 사람들에게 더욱 큰 의미로 다가가기 때문일 것이다. 무슨 얘기냐면 실버의 비율이 46%라는 것을 인지하더라도, 결국 실버는 밑에서 두 번째라는 인식이 더 강하다는 것이다. 학업성취도로 비유해보면 실버는 수////가 중에 이고, 브론즈는 로 인식될 뿐이다.


이를 적절히 비유한 사례로, 스타2의 랭크 시스템과 롤의 시스템을 비유한 글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언급하지 않고 아래의 이미지로 대체하겠다. (원본 글 보기 : http://goo.gl/Hy5OQ3)




어찌됐든 Riot이 설계한 랭크 시스템 구조가 이러니 우리는 따라갈 수 밖에 없고, 이러한 인식이라는 것을 계몽하여 깨뜨릴 수도 없는 것이 사실이다. 내가 하고자 하는 얘기는 제목에도 써놨듯이 재미로 살펴보는 통계일 뿐이며, 이러한 통계를 참고 삼아 실론즈 비하 발언이 조금은 자제되었으면 하는 마음만 살짝 내포되어 있다고 봐주시기 바란다.


그럼 본격적인 비교 통계를 살펴보자.

 



 

1. 대한민국 평균 키로 살펴보는 랭크 통계


참고 자료>

92년생 징병검사 통계


참고 사항>

티어 구분을 하기 위해 반올림을 한 수치들이 있어서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 Raw Data 자체가 181~185cm는 총 36,855명 이런 식으로 나와서, 임의로 각 수치를 5로 나눠서 181~185cm는 각 7,371명이라고 설정하였다. 나이가 어릴수록 평균 키가 크기 때문에 자신이 30대라면 기분 좋게 1~2cm정도 빼고 보도록 하자.


평균 키>

173.9cm = 실버 5






2. 대한민국 평균 소득(연봉)으로 살펴보는 랭크 통계


참고 자료>

2012 국세통계 연보 과세대상 근로소득 급여 총계


참고 사항>

티어 구분을 하기 위해 반올림을 한 수치들이 있어서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  중도퇴사자, 이중근로자의 급여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인 근로자의 급여수준에 대한 지표로 사용하기는 다소 곤란하다.


평균 연봉>

3,940만원 = 실버 5






자신의 랭크 티어를 위 두 표에서 재미로 매칭시켜보길 바란다.

우연히도 내 현 랭크 티어에 매칭되는 키는 내 실제 키와 똑같다. 반대로 연봉은 현실이 넘사벽으로 낮다 (나이가 들수록 연봉이 높아지기 때문에 게임유저들의 평균 나이를 고려해보면, 브론즈 하위 티어가 아닌 이상 대부분 낮을 것이다)

 

단순 통계로만 따져보면 아래와 같은 재미난(?) 비교들이 가능하다.


1) 실론즈는 쓰레기다 = 남자 키 180이하는 쓰레기다.

2) 다이아 득실대는 인벤에서 플래티늄5티어라고 개무시받음 = 패션 게시판에서 185cm 키 정도로는 명함도 못 내밈

2) 실버2티어라고 무시했던 친구 녀석은, 연 소득 6천만원의 고소득자?

3) 몇 가지 팁만 알면 금장은 100% 달 수 있다 = 조금만 노력하면 연봉 7,000만원 무조건 달성

4) 친구 중에 챌린저가 없는 건 당연한 거였다. (연봉 10 or 200cm 이상)

 

게다가 더 재미있는 사실은, 확실한 통계는 없지만 롤 유저 중 랭크를 하는 유저는 일부분이라는 사실이다. 얼핏 듣기로는 언랭 유저가 50%정도라고 했는데, 보수적으로 약 20%정도만 언랭이라고 쳐도 실질적인 브론즈의 비율은, 현재의 35%보다도 Apdo적으로 높아질 것이다. 이러한 부분까지 고려하면 실질적인 실버의 위상은 지금보다는 더 높아져야 하지 않을까^^:


 

결론....

개인적으로는 랭크 시스템의 브론즈, 실버 비율을 조금 더 좁히고, 금장~플레티늄 비율을 살짝  높이면, 지금처럼 83%의 유저들이 실론즈라는 불명예를 받는 일은 줄어들 것 같다. 하지만 어찌 됐든 지금의 시스템이 라이엇의 의도이니 따를 수 밖에 없고, 이것 역시 나름의 매력은 있다고 생각한다. 지금처럼 경사 높은 피라미드 구조가 있기 때문에 오히려 수많은 실버, 브론즈 유저들은 금장을 찍기 위해 더 노력을 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갭이 크기 때문에 포기하는 유저들이 있을 수도 있겠고.….사실 이러한 시스템의 장/단점은 깊게 생각할수록 잘 모르겠다@.@a

어쨌든 지금의 랭크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부정하거나 비판하는 글은 아니므로, 그에 대한 토론은 사양한다. 랭크 통계 수치를 일상 생활에서 접하기 쉬운 키나 소득으로 비교해봤다는 것에 의의를 두었으면 하고, 어디까지나 재미로 비교해본 통계 자료이니 참고만 해주시기 바란다.

 

** 그러고보니 나도 모르게 반말로 썼다뒤늦게 사과 드리지만, 수정하긴 귀찮다. 이해 바람(니)다

Lv24 접으리우스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LoL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