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L 매니아 칼럼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분석] 역대 한국 LOL 프로팀 월간순위 리포트 (2012.12 ~ 2013.08)

바규
댓글: 11 개
조회: 4591
추천: 9
2013-09-10 18:59:39

* 체스게임과 스타 래더에서도 사용된 ELO 레이팅 시스템을 이용해 랭킹을 산정했습니다.

* 프로팀은 롤챔스 본선 출전팀에 한정하였으며, NLB는 다이아리그(8강)부터 포함하였습니다.

* 2012 윈터 시즌부터 누적된 자료입니다.



랭킹은 팀들간의 전력을 평가할 수 있는 하나의 척도 입니다.

그러나 LOL 이스포츠계에서는 현재 전체를 아우르는 공신력있는 랭킹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스타1에서는 케스파, 와이고수 랭킹등 많은 랭킹 자료를이 존재했죠.

그래서 신뢰성 있는 ELO 레이팅 시스템을 이용해 윈터 시즌 이후 팀별간 레이팅을 조사했습니다.

(참고로 처음 점수는 1200점으로 시작합니다.)



역대 한국 LOL 프로팀 파워랭킹 (2012.12 ~ 2013.08)


2012년 12월


1위 KT Rolster B 1393

2위 Azubu Blaze 1329

3위 MVP White 1287

4위 KT Rolster A 1270

5위 Azubu Frost 1250

6위 NaJin Sword 1248

7위 LG IM 1203

8위 NaJin Shield 1148

9위 CJ Entus 1123

10위 Team OP 1094

11위 GSG 1051

12위 MVP Blue 1037


윈터 12강과 8강 B조 까지의 경기가 있었던 12월 입니다.

무서운 경기력을 보여주며 슈퍼루키를 과시한 KTB가 1위를 차지합니다.

MVP 화이트도 12강에서 좋은 모습으로 상위권을 달성하고요.

아주부 프로스트는 CJ 엔투스와 접전 끝에 준결승에 올라가서 인지 상대적으로 순위가 낮았습니다.



2013년 1월


1위(↑5) NaJin Sword 1490

2위(↑3) Azubu Frost 1343

3위(↓2) KT Rolster B 1320

4위(--) KT Rolster A 1256

5위(↑1) NaJin Shield 1218

6위(↑5) GSG 1206

7위(↑2) CJ Entus 1181

8위(↓6) Azubu Blaze 1178

9위(↑1) Team OP 1094

10위(↓3) LG IM 1077

11위(↓8) MVP White 1074

12위(--) MVP Blue 1052


윈터 3 4위전과 NLB 3 4위전까지 진행된 1월 입니다.

나진 소드가 전 3위 MVP 화이트와 전 1위 KTB를 압살하면서 많은 점수를 가져가 1위를 차지합니다.

아주부 프로스트도 형제팀인 블레이즈를 꺾으면서 2위로 도약하고요.

NLB 결승진출을 통해 높은 순위 상승을 이룬 GSG

계속된 연패로 큰 순위 하락을 겪은 아주부 블레이즈와 MVP 화이트가 눈에 띄네요.



2013년 2월


1위(--) NaJin Sword 1545

2위(↑1) KT Rolster B 1320

3위(↓1) Azubu Frost 1288

4위(--) KT Rolster A 1256

5위(--) NaJin Shield 1218

5위(↑1) GSG 1218

7위(↑1) Azubu Blaze 1178

8위(↓1) CJ Entus 1169

9위(--) Team OP 1094

10위(--) LG IM 1077

11위(--) MVP White 1074

12위(--) MVP Blue 1052


윈터 결승과 NLB 결승이 성대하게 치러줬던 2월 입니다.

나진 소드가 아주부 프로스트를 3:0으로 격파하면서 1위 수성을 물론 상당히 높은 점수인 1545점을 가져갑니다.

반사 작용으로 KTB가 2위로 올라오네요.



2013년 4월


1위(NEW) SKT T1 2팀 1369

2위(↓1) NaJin Sword 1355

3위(↓1) KT Rolster B 1353

4위(↓1) CJ Frost (전 Azubu Frost) 1325

5위(↑2) CJ Blaze (전 Azubu Blaze) 1257

6위(NEW) SKT T1 1팀 1223

7위(NEW) ahq Korea 1172

8위(↓3) NaJin Shield 1170

9위(↑2) MVP Ozone (전 MVP White) 1148

10위(↑2) MVP Blue 1089

11위(↓6) KT Rolster A 1087

12위(↓2) LG IM 1060


스프링 12강 일부가 진행되었던 4월 입니다.

전 시즌 KTB와 같이 뛰어난 경기력으로 SKT 2팀이 등장하자마자 1위를 점유합니다.

덕분에 나진 소드 KTB프로스트는 한단계씩 내려오네요.

CJ 프로스트도 다시 상위권으로 올라오고, SKT 1팀 ahp Korea도 화려하게 등장합니다.

강력한 모습을 보인 팀이 많아서 그런지 1위부터 5위까지 점수 차이가 매우 밀집되어 있습니다.



2013년 5월


1위(↑4) CJ Blaze 1493

2위(↑7) MVP Ozone 1372

3위(↑1) CJ Frost 1328

4위(↓3) SKT T1 2팀 1296

5위(↓3) NaJin Sword 1279

6위(↓3) KT Rolster B 1187

7위(↓1) SKT T1 1팀 1160

8위(↑3) KT Rolster A 1152

9위(↓1) NaJin Shield 1121

10위(↑2) LG IM 1113

11위(↓4) 훈수좋은날 (전 ahq Korea) 1083

12위(↓2) MVP Blue 1024


스프링 12강 일부와 8강, 4강 그리고 NLB 8강이 진행되었던 5월 입니다.

경기마다 연승기록을 세우며 강한 면모를 보여준 CJ 블레이즈가 5위에 1위로 도약합니다. 

또한 하위권에 속했던 MVP 오존이 전 3위 KTB와 전 1위 SKT 2팀을 꺾고 2위로 치고 올라옵니다.

MVP 오존의 모습은 3위, 1위를 압도한 전 시즌 나진 소드의 모습과 흡사하네요.

8강에서 탈락한 나진 소드와 KTB는 각각 3단계 하락한 5위, 6위를 기록합니다.



2013년 6월


1위(↑1) MVP Ozone 1490

2위(↑1) SKT T1 2팀 1393

3위(↓2) CJ Blaze 1375

4위(↑1) NaJin Sword 1361

5위(↓2) CJ Frost 1240

6위(--) KT Rolster B 1152

6위(↑2) KT Rolster A 1152

8위(↓1) SKT T1 1팀 1119

9위(--) NaJin Shield 1115

10위(--) LG IM 1113

11위(--) 훈수좋은날 1083

12위(--) MVP Blue 1024


스프링 4강과 결승, NLB 4강과 결승이 치뤄진 6월 입니다.

예상을 뒤엎고 CJ 블레이즈를 압살하고 우승컵을 거머쥔 MVP 오존이 1위를 수성합니다.

SKT 2팀도 CJ 프로스트를 대파하면서 2위로 올라오고요. 6월은 CJ 형제팀의 수난시대가 아니었나 싶네요.

나진 소드는 NLB 우승을 통해 다시 순위 상승을 합니다.



2013년 7월


1위(--) MVP Ozone 1466

2위(--) SKT T1 (전 SKT T1 2팀) 1450

3위(--) CJ Blaze 1392

4위(↑1) CJ Frost 1339

5위(↓1) NaJin Sword 1298

6위(NEW) CTU 1261

7위(↓1) Jin Air Falcons (전 SKT T1 1팀) 1224

8위(NEW) Xenics Storm 1216

9위(↓3) KT Bullets (전 KT Rolster B) 1183

10위(↓1) NaJin Shield 1162

11위(NEW) MiG Blitz 1161

12위(NEW) Xenics Blast 1103

13위(NEW) LG-IM #1 1109

14위(NEW) LG-IM #2 1070

15위(↓4) Jin Air Stealths (전 훈수좋은날) 1068

16위(↓10) KT Arrows (전 KT Rolster A) 1052

17위(↓5) MVP Blue 1049


롤드컵 때문에 섬머 시즌이 빠르게 시작됬을 뿐더러 방식 변경으로 16강으로 진행되었던 7월 입니다.

16강 방식 때문에 이전보다 많은 팀이 순위권에 올랐습니다.

이전과 같이 MVP 오존과 SKT T1의 강세로 상위권 순위 변경은 없었습니다.

이번 시즌 슈퍼루키로 급부상 하는 CTU와 제닉스 스톰이 강렬하게 등장합니다.

KT 에로우(전 KT Rolster A)는 리빌딩 이후 예선 진출에 실패하면서 순위권에서 사라집니다.



2013년 8월


1위(↑1) SKT T1 1563

2위(↓1) MVP Ozone 1409

3위(↑6) KT Bullets 1395

4위(↑1) NaJin Sword 1325

5위(↓1) CJ Frost 1302

6위(↓3) CJ Blaze 1242

7위(↑3) NaJin Shield 1222

8위(↑6) LG-IM #2 1195

9위(↓3) CTU 1153

10위(↓3) Jin Air Falcons 1083

11위(↑2) LG-IM #1 1074

12위(↑3) Jin Air Stealths 1049

12위(↑5) MVP Blue 1049


섬머 8강부터 결승, NLB가 진행되었던 8월 입니다.

3개월 만에 MVP 오존을 넘어서며 SKT T1 1위를 차지합니다. 

또한 점수도 역대 최고 점수인 2월 나진 소드의 1545점을 넘어서 1563점인 신기록을 수록합니다.

최고의 포스를 보여주면서 KT 불리츠와 MVP 오존을 꺾었으니 최고점은 예정된 수순이었죠.

KT 불리츠도 8강부터 강력한 모습으로 CJ 형제팀을 무찌르며 파란을 일으켰으나 SKT에게 막히면서 아쉽게 3위에 그치네요.

CJ 블레이즈는 1위를 찍었던 5월 이후로 계속 하락하여 6위까지 내려왔습니다.

하위권을 맴돌던 LG-IM이 리빌딩 이후 2팀이 중위권으로 올라온것이 눈에 띄네요.

여담으로 MVP 블루는 12월 이후 부터 7개월 동안 꼴찌를 했습니다.





글을 마치며


입롤식 팀별 순위 나열이 아닌 최대한 객관적으로 팀별간 순위를 알고 싶어서, 이 랭킹을 준비했습니다.

그래도 절대적인 척도는 아니다라고 생각해주세요.


다음 월간 순위는 WCG 대표선발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10월에 나올것 같습니다.

Lv50 바규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LoL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