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아래쪽에, 리니지가 명작이냐 뭐 하는 글에
개인의 취향이니
호불호니
보는사람에 따라 다르다느니.
하는 얘기가 나와서 쓰는글
1. 미학적인 관점에서
명작이라고 불리우는 작품들은
개인의 취향같은게 고려된게 아님
최소 대학 한학기분 개론급 내용을, 책한권은 우습게 나올 내용을
다 알지도 못하고, 여기 게시판에 풀어낼순 없으니
최대한 간략하게
단적인 예로. 다빈치가 그린 '모나리자' 는 명화(명작)로 분류됨
"눈썹이 없어서 이상해"
"손이 너무 커" 라던가
"배경이 비현실적임"
같은 개인취향따위 당연히 존재하지만 무시됨. 모나리자는 마스터피스임
왜냐하면. 명작으로서의 자격이 되기때문.
명작으로 분류되는 자격조건은 크게 2가지임
a 보편성
b 영향성
그리고 모나리자는 두가지를 다 가지고있음
a 보편성
이건 시대를 뛰어넘는 공감. 이라고 보면 됨. 시간성...이라고쓰는게 더 맞을것같기도 한데 여튼
전문가던 비전문가던, 1900년대 사람도 2000년대 사람도
'미소가 신비롭네' 하고 좋아한다는것
대신 반대로. 그 공감을 증명할 "시간" 그 자체가 필요함
다빈치가 모나리자2를 오늘 그렸다고 쳐도
이게 오늘 바로 명작이 될수는 없다는 이야기
덕분에, 고흐나 피카소처럼
그 당시에는 듣보잡취급받던 그림이나 화풍이
시간이 지나고나서 재조명받고 하면서 마스터피스로 바뀌는 케이스도 많음
b 영향성
이게 중요, 그 시대 혹은 그 이후시대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쳤느냐, 는것
모나리자는,
(그리자마자 지금처럼 유명해진건 아니었다고는 하지만)
신이나 신화관련 장면만 그려대던 그시대에
쌩뚱맞게 그냥 일반여자. 누군지도 모르는 그냥 여자를 그렸다는것 자체만으로도 센세이셔널했음
그리고, 배경.. 인물이 배경보다 한참 위에있는 식의 표현기법도 그렇고
이후 인물화에 큰 영향을 줌
2 물론
이 글대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게임은 종합예술이다" 라는 전제에 동의해야하는 문제가 있긴한데
일단 게임을 나는 종합예술이라고 봐야한다고 생각하므로
a 보편성
b 영향성
의 항목으로 보건대
리니지는 이걸
보편성은 지금 10년넘게 서비스+흥행하면서 증명하고있고
영향성은 말할것도없이... 리니지클론이 지금도 오픈하고있으니
취향이다 아니다를 떠나서
게임도 예술의 장르. 종합예술이나 상업예술 (영화같은) 로 분류해 명작이네 아니네를 따진다면
나도 리니지보단 와우가 100배는 더 재밌고 뛰어나다고 생각하지만
그렇다고 리니지가 명작이 아닌건 아님
리니지는 마스터피스가 맞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