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벤에 보시면 몽테크리스토 Clg 게이밍코치이자 한국 온겜 외국인해설자가 쓴 글이 번역되어 있습니다.
거기에 스프링 시즌 결승 경기에 대해 평가한 부분도 있죠.
주요주장은 블레이즈의 메타는 탑미드 스플릿 푸시인데
오존이 제드를 이용한 더 강한 스플릿 푸시로 뭉개버렸기에 그 결과가 나왔다는 겁니다.
여기서 생각하건대 블레이즈가 유난히 불렛츠에 약한 이유가 있지 않나합니다.
상세히 말하자면 블레이즈의 승리 메타는 밀수왕 파밍왕이라 불리는 앰비션이 cs를 엄청나게 먹고 그걸로 한타를 찍어누르면서
누구보다도 압도적 기량을 지닌 플레임이 라인전도 이기고 푸시하면서 cs격차를 벌려서 딜량 뿜는 방식입니다.
나머지 세명은 이 둘의 서브거나 유틸기로 거들어주는 역할에 불과하죠.
그런데 이 방법은 결국 탑미드의 cs가 엄청나게 필요합니다. 
블레이즈는 이걸 미드는 더티파밍하고 탑은 탑봇으로 교차 스플릿을 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둘의 cs가 엄청나게 높죠.
오존은 제드를 활용해서 탑봇으로 스플릿하는 것을 막고
동시에 이니시용 챔프를 써 미드를 압박해서 더티파밍을 못하게 하는 전략을 사용했습니다.
불렛츠의 류 선수를 보면 아리를 굉장히 잘 다룹니다.
예전엔 단순 로밍챔프로 인식되었으나 요즘 프로에서 활용하는 것을 보면 라인전은 압박과 파밍으로 쓰면서 중반부터 스플릿하면서 암살로 활용합니다.
이걸 보면 오존이 제드로 블레이즈를 이겻던 방식, 몬테크리스토가 말했던 그 운영이 아리에게서 보이지 않습니까?
1경기도 역전 당하게 된 것이 아리가 휘저르면서 니달리의 스플릿을 위축시켰기 때문이죠.
결국 블레이즈가 불렛츠에게 졋던 것은 그들의 운영 방식이 불렛츠의 주챔들이 제공하는 전략에 의해 상성을 띠기 때문이라 생각됩니다.
사람들은 보통 스플릿에 강점이 있는 챔프들만 프로들이 그 방법을 쓴다고 생각합니다.
쉔이나 트페나 제드 같이 이동기가 탁월한 애들요.
그런데 몽테는 블레이즈처럼 탑미드 캐리를 승리의 열쇠로 삼는 팀 또한 스플릿을 활용한다고 생각합니다. 블라디 라이즈 케넨 다이애나 같은 플레임의 주챔.
오존과 불렛츠는 이걸 정확히 카운터 친 거죠. 오존은 제드만 픽한 것을 보면 이것을 알앗던 것 같습니다.
불렛츠는 류가 잘 모르겠다고 인터뷰에서 말햇죠.
그러나 그렇지 않은 듯합니다.
벼랑 끝인 4경기에서 제이스가 인섹의 막픽이 된 것은 그라가스는 그런 스플릿을 안 쓰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 암살자로 스플릿 차단할 필요가 없엇죠.
그리고 5경기에서 제드를 꺼낸다? 김동준 해설은 이것에 대해 망하면 뒤가 없기에 무조건 초중반 이득을 봐야된다고 햇죠.
하지만 불렛츠는 블레이즈의 승리 방식응 탑미드 스플릿 먹방밖에 없다고 생각햇을 겁니다.
그래서 연습도 안한채로 블라인드는 무조건 제드로 간다고 생각햇던 것입니다.
블레이즈는 이 전략에 대해 얼토당토 않게도 원딜을 더욱 서포팅 형식으로 활용함으로써 가다듬으려고 했습니다.
탑미드 캐리를 맞기고 서브인 원딜은 유틸좋은 애쉬, 구원에 좋은 리신과 소나로 탑미드의 서포팅을 더 해주려 한거죠.
결국 블레이즈의 압도적인 패배였습니다.
누군가는 헬리오스의 갱킹력에 대한 의문, 뮤즈의 맵장악력에 대한 성토를 합니다.
첫째는 저도 의문입니다만, 둘째는 암살자가 배회하고 글로벌이 뒤져 서폿템이 격차나기에 맵장악 밀리는 것은 어쩔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그게 블레이즈 스스로 자신들의 승리방식이라고 믿었던 것의 단점인 겁니다.
암살자가 배회하고 맵을 장악당하면 그들이 원햇던 탑미드 먹방의 공간이 축소됩니다.
결국 블레이즈의 문제는 제 생각엔 앰비션에게 있습니다.
그는 더티파밍으로 캐리력 높히기 보다는 암살자 챔프를 활용한 전략을 가다듬을 필요가 있습니다.
플레임은 cs를 과도하게 필요로 하는 챔프말고 가난해도 도움되는 챔프를 좀더 활용할 필요가 잇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