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L 매니아 칼럼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분석] 각 팀별 커리어, 승률 비교 표

Kingdom23
댓글: 10 개
조회: 3382
추천: 4
2014-08-17 14:01:59
* 참고사항
1. 기록은 OGN Champions (롤챔스 기록), lol World Championship (롤드컵) 
   즉 라이엇에서 주관하는 서킷 포인트 대회 및 월드 챔피언쉽 대회 기록만 넣었습니다.

   기타 국제대회 (IEM 등, 라이엇 이벤트전) 성적은 참고사항에 불과하다고 판단하고, 이 점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이 점에 대해서 국제대회 기록까지 커리어 성적으로 넣어서 판단하실 분은 개인적으로 따로 비교하시는 것도 괜찮은 방법일 것입니다.
   
2. NLB 기록은 제외하였습니다.
   일단 NLB에 참가하는 팀과 롤챔스에 참가하는 팀의 풀이 달라지기 때문에
   1) NLB에 일찍 떨어지는 팀이 오히려 승률에서 유리하게 나오는 결과가 나오는 경우도 흔하였으며
   2) 온라인대회 특성상 왜곡된 결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었으며 배제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되었습니다.
   3) 오프라인으로 이뤄지는 상위 라운드도 있지만, 그 경기만 넣는 것도 형평에 맞지 않다고 생각되었습니다.

   이 점에 대해서 NLB 기록까지 넣어서 승률을 판단하고 싶으시다면 따로 표를 만들어서 비교하시는 것도 괜찮은 방법일 것입니다.

3. 각 팀별 대회 반영 성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Blaze : Mig Blaze(2012 스프링) -> Azubu Blaze(2012 섬머 / 윈터) -> CJ Entus Blaze(2013 스프링/섬머/윈터/2014 스프링/섬머)
   Frost : Mig Frost(2012 스프링) -> Azubu Frost(2012 섬머 / 윈터) -> CJ Entus Frost(2013 스프링/섬머/윈터/2014 스프링/섬머)
   Sword : Najin Sword(2012 섬머 / 윈터) -> Najin B Sword(2013 섬머/윈터 / 2014 스프링) => [전면 리빌딩] => Najin B Sword(2014 섬머)
   SK K : SKT T1 #2(2013 스프링) -> SKT T1 (2013 섬머) -> SKT T1 K (2013 윈터/2014 스프링/섬머)
   KT A : KT Arrows(2012 윈터 / 2013 스프링 / 2014 스프링 / 2014 섬머)
   White : MVP White(2012 섬머 / 윈터) -> MVP Ozone(2013 스프링/섬머) -> Samsung Ozone(2013 윈터/2014 스프링) -> Samsung White(2014 섬머)
   Blue : GSG (2012 윈터) -> MVP Blue (2013 스프링/섬머) -> Samsung Blue(2013 윈터/2014 스프링/섬머)

   기본적으로 시드권을 유지하는 팀이 본래의 팀이라고 생각되었습니다.
   따라서 Blaze, Frost의 경우는 현재는 CJ Entus의 팀이지만  (구) CJ Entus의 시드를 이어받은 것은 아니므로 (구) CJ Entus의 성적은 당연히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Blue의 경우도 MVP Blue라는 팀이 따로 존재하였지만 GSG 멤버를 영입한 후 2012 윈터 NLB 우승의 시드를 이어갔기 때문에 (구) MVP Blue의 기록은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이런 것이 더 타당하다고 보입니다.)

   반면 예외도 존재합니다. 
   Sword는 시드를 이어받지 않은 팀이고 전면 리빌딩하였기 때문에 기록을 배제하여야 하는 것이 마땅하지만,
   그렇게 되면 Sword의 지난 커리어들이 전부 날아가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는 예외를 두기로 하였습니다.

   즉, 시드권을 유지하는 것을 팀의 커리어 기록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커리어 기록을 유지하는 것이 타당해보이는 경우에는 예외를 두었습니다.

    이렇게 복잡한 결과가 나오게 된 이유는 
    특정 팀은 기존의 팀을 버리고 새로운 팀을 영입하여 그 새로운 팀의 시드권을 유지하였기 때문이고,
    또다른 특정 팀은 전면 리빌딩을 하여 그 팀의 결과를 뒤엎어버렸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은 당연히 명쾌하지 않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보다 정리가 필요하긴 할 것입니다.
    만일 댓글로 팀 성적 반영 기준을 다르게 해야된다는 의견이 정해진다면 그 방향으로 다시 정리하겠습니다.


4. 롤챔스 우승팀의 기록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 각 팀 성적



* 총 기록 비교



틀린 점이 있으면 댓글로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Lv41 Kingdom23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LoL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